생업의 기반에 따라 답작촌(畓作村)·전작촌·원예작물촌 등을 포함하는 농촌과 어로촌·양식어촌·수산제조업촌 등을 포함하는 어촌 및 광산촌·임업촌·축산촌·관광촌 등이 구분된다. 촌락의 제한된 구역 내에 있는 자원은 그 촌락의 인구에 적합해야 하고, 동리는 자연촌락을 지칭하며, 자원개발의 기술에 따라 인구의 부양능력이 달라지며, 촌락은 행정촌락 또는 자연촌락을 지칭한다는 것이다.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촌락의 성립과정에 따라 자연촌과 행정촌이 구분되며, 기타의 생활에 필요한 물질적인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O 응집성 : 촌락사람들의 응집성은 그들이 얼마나 통합되어 있으며, 생활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인구의 규모와 자원의 관계가 달라지기도 한다. 3. 촌락의 기능면에서는 역촌·진촌(鎭村)·도진촌(渡津村)·신앙촌 등이 구분될 수 있으며, 공통의 감정을 가지고 협동하는가에 달려 있다. O 기능과 구성 요소간의 관계 : 촌락사람들의 기본적인 욕구를 만족시켜 주고 신체적 안전을 보장한다. O 물리적 속성 ......
촌락
촌락에 대한 글입니다. 공동체와촌락사회97
O 자연촌락 확인 지표 : 첫째로 동제를 공동으로 하는 범역, 둘째로 동리매 내지 동리추방이 이루어지는 지역, 셋째로 흉사가 있을 때 애도를 나타내는 범역을 들고 있다. 그리고 명칭상 마을 또는 골은 취락 또는 하위자연촌락을 지칭하고, 동리는 자연촌락을 지칭하며, 촌락은 행정촌락 또는 자연촌락을 지칭한다는 것이다.
O 촌락의 형태 : 기준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촌락의 성립과정에 따라 자연촌과 행정촌이 구분되며, 생업의 기반에 따라 답작촌(畓作村)·전작촌·원예작물촌 등을 포함하는 농촌과 어로촌·양식어촌·수산제조업촌 등을 포함하는 어촌 및 광산촌·임업촌·축산촌·관광촌 등이 구분된다.
가옥의 밀집도에 따라서는 집촌(集村)과 산촌(散村)이 구분되고, 촌락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평야촌·산촌(山村)·하곡촌(河谷村)·강촌·해촌·교외촌 등으로 나누어진다.
촌락의 기능면에서는 역촌·진촌(鎭村)·도진촌(渡津村)·신앙촌 등이 구분될 수 있으며, 주민들의 씨족구성에 따라 동성촌 또는 동족촌락과 각성촌 또는 비동족촌락이 구분된다.
3. 촌락의 특성
촌락을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속성과 주민들의 응집성 및 촌락구조의 포괄성이 뚜렷해야 촌락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O 물리적 속성 : 지리적으로 구역이 한정되어 있어서, 촌락 자체가 전체로서의 한 생활단위를 이루고 있어야 한다.
O 명칭 : 그리고 촌락은 특정한 명칭을 가지고 있어서 그 촌락의 이름을 지칭함으로써 그 촌락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물론, 다른 이웃 촌락에 살고 있는 사람들까지도 어느 촌락이라는 인식이 뚜렷해야 한다.
O 기능과 구성 요소간의 관계 : 촌락사람들의 기본적인 욕구를 만족시켜 주고 신체적 안전을 보장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식료와 주거, 기타의 생활에 필요한 물질적인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촌락의 자원과 인구 및 기술상태는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촌락의 제한된 구역 내에 있는 자원은 그 촌락의 인구에 적합해야 하고, 자원개발의 기술에 따라 인구의 부양능력이 달라지며, 생활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인구의 규모와 자원의 관계가 달라지기도 한다. 한 촌락이 얼마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민들이 몇 대(代)에 걸쳐 살아왔는가, 그리고 인구의 이동이 얼마나 일어나고, 어떻게 일어나며, 왜 일어나고 있는지도 그 촌락의 물리적 속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O 응집성 : 촌락사람들의 응집성은 그들이 얼마나 통합되어 있으며, 공통의 감정을 가지고 협동하는가에 달려 있다. 일반적으로 촌락사람들의 구성이 동족이건 비동족이건 간에 3대 이상의 오랜 거주역사를 가지고 서로 친밀한 면대면(面對面)의 상호작용을 계속할 때 그 촌락의 통합정도는 높다고 하겠다. 특히, 촌락사람들이 그들의 생계활동을 하는 데 있어서 생산과 분배를 공동으로 하거나, 협동관행이 철저하게 지켜질 때에는 응집성이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그밖에도 촌락사람들이 신앙과 의례활동이나 공동체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데에 함께 참여한다는 것은 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협동을 증가시키고 단결을 강화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QS 촌락 레폿 촌락 QS QS 레폿 촌락 레폿
. 한 촌락이 얼마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민들이 몇 대(代)에 걸쳐 살아왔는가, 그리고 인구의 이동이 얼마나 일어나고, 어떻게 일어나며, 왜 일어나고 있는지도 그 촌락의 물리적 속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촌락 레폿 RZ . 촌락 레폿 RZ . 일반적으로 촌락사람들의 구성이 동족이건 비동족이건 간에 3대 이상의 오랜 거주역사를 가지고 서로 친밀한 면대면(面對面)의 상호작용을 계속할 때 그 촌락의 통합정도는 높다고 하겠다. O 명칭 : 그리고 촌락은 특정한 명칭을 가지고 있어서 그 촌락의 이름을 지칭함으로써 그 촌락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물론, 다른 이웃 촌락에 살고 있는 사람들까지도 어느 촌락이라는 인식이 뚜렷해야 한다. 촌락의 기능면에서는 역촌·진촌(鎭村)·도진촌(渡津村)·신앙촌 등이 구분될 수 있으며, 주민들의 씨족구성에 따라 동성촌 또는 동족촌락과 각성촌 또는 비동족촌락이 구분된다. O 명칭 : 그리고 촌락은 특정한 명칭을 가지고 있어서 그 촌락의 이름을 지칭함으로써 그 촌락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물론, 다른 이웃 촌락에 살고 있는 사람들까지도 어느 촌락이라는 인식이 뚜렷해야 한다. 촌락의 특성 촌락을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속성과 주민들의 응집성 및 촌락구조의 포괄성이 뚜렷해야 촌락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O 촌락의 형태 : 기준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촌락 촌락에 대한 글입니다.. 그리고 명칭상 마을 또는 골은 취락 또는 하위자연촌락을 지칭하고, 동리는 자연촌락을 지칭하며, 촌락은 행정촌락 또는 자연촌락을 지칭한다는 것이다. 그밖에도 촌락사람들이 신앙과 의례활동이나 공동체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데에 함께 참여한다는 것은 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협동을 증가시키고 단결을 강화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촌락사람들의 구성이 동족이건 비동족이건 간에 3대 이상의 오랜 거주역사를 가지고 서로 친밀한 면대면(面對面)의 상호작용을 계속할 때 그 촌락의 통합정도는 높다고 하겠다. 그리고 명칭상 마을 또는 골은 취락 또는 하위자연촌락을 지칭하고, 동리는 자연촌락을 지칭하며, 촌락은 행정촌락 또는 자연촌락을 지칭한다는 것이다. 3.. 촌락의 기능면에서는 역촌·진촌(鎭村)·도진촌(渡津村)·신앙촌 등이 구분될 수 있으며, 주민들의 씨족구성에 따라 동성촌 또는 동족촌락과 각성촌 또는 비동족촌락이 구분된다. 공동체와촌락사회97 O 자연촌락 확인 지표 : 첫째로 동제를 공동으로 하는 범역, 둘째로 동리매 내지 동리추방이 이루어지는 지역, 셋째로 흉사가 있을 때 애도를 나타내는 범역을 들고 있다. 그런데 촌락의 자원과 인구 및 기술상태는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가옥의 밀집도에 따라서는 집촌(集村)과 산촌(散村)이 구분되고, 촌락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평야촌·산촌(山村)·하곡촌(河谷村)·강촌·해촌·교외촌 등으로 나누어진다. 그밖에도 촌락사람들이 신앙과 의례활동이나 공동체사업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데에 함께 참여한다는 것은 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협동을 증가시키고 단결을 강화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촌락 촌락에 대한 글입니다. 촌락 레폿 RZ . O 응집성 : 촌락사람들의 응집성은 그들이 얼마나 통합되어 있으며, 공통의 감정을 가지고 협동하는가에 달려 있 3. . O 물리적 속성 : 지리적으로 구역이 한정되어 있어서, 촌락 자체가 전체로서의 한 생활단위를 이루고 있어야 한다. 촌락의 제한된 구역 내에 있는 자원은 그 촌락의 인구에 적합해야 하고, 자원개발의 기술에 따라 인구의 부양능력이 달라지며, 생활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인구의 규모와 자원의 관계가 달라지기도 한다. 특히, 촌락사람들이 그들의 생계활동을 하는 데 있어서 생산과 분배를 공동으로 하거나, 협동관행이 철저하게 지켜질 때에는 응집성이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O 기능과 구성 요소간의 관계 : 촌락사람들의 기본적인 욕구를 만족시켜 주고 신체적 안전을 보장한다. O 물리적 속성 : 지리적으로 구역이 한정되어 있어서, 촌락 자체가 전체로서의 한 생활단위를 이루고 있어야 한다. 특히, 촌락사람들이 그들의 생계활동을 하는 데 있어서 생산과 분배를 공동으로 하거나, 협동관행이 철저하게 지켜질 때에는 응집성이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촌락 레폿 RZ . 그러기 위해서는 식료와 주거, 기타의 생활에 필요한 물질적인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촌락의 성립과정에 따라 자연촌과 행정촌이 구분되며, 생업의 기반에 따라 답작촌(畓作村)·전작촌·원예작물촌 등을 포함하는 농촌과 어로촌·양식어촌·수산제조업촌 등을 포함하는 어촌 및 광산촌·임업촌·축산촌·관광촌 등이 구분된다. 한 촌락이 얼마나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민들이 몇 대(代)에 걸쳐 살아왔는가, 그리고 인구의 이동이 얼마나 일어나고, 어떻게 일어나며, 왜 일어나고 있는지도 그 촌락의 물리적 속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O 촌락의 형태 : 기준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그런데 촌락의 자원과 인구 및 기술상태는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촌락의 제한된 구역 내에 있는 자원은 그 촌락의 인구에 적합해야 하고, 자원개발의 기술에 따라 인구의 부양능력이 달라지며, 생활양식이 변화함에 따라 인구의 규모와 자원의 관계가 달라지기도 한다. 촌락 레폿 RZ . 공동체와촌락사회97 O 자연촌락 확인 지표 : 첫째로 동제를 공동으로 하는 범역, 둘째로 동리매 내지 동리추방이 이루어지는 지역, 셋째로 흉사가 있을 때 애도를 나타내는 범역을 들고 있다. 가옥의 밀집도에 따라서는 집촌(集村)과 산촌(散村)이 구분되고, 촌락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평야촌·산촌(山村)·하곡촌(河谷村)·강촌·해촌·교외촌 등으로 나누어진다.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촌락의 성립과정에 따라 자연촌과 행정촌이 구분되며, 생업의 기반에 따라 답작촌(畓作村)·전작촌·원예작물촌 등을 포함하는 농촌과 어로촌·양식어촌·수산제조업촌 등을 포함하는 어촌 및 광산촌·임업촌·축산촌·관광촌 등이 구분된다.촌락 레폿 RZ . 촌락 레폿 RZ . 촌락의 특성 촌락을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속성과 주민들의 응집성 및 촌락구조의 포괄성이 뚜렷해야 촌락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촌락 레폿 RZ . 그러기 위해서는 식료와 주거, 기타의 생활에 필요한 물질적인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O 응집성 : 촌락사람들의 응집성은 그들이 얼마나 통합되어 있으며, 공통의 감정을 가지고 협동하는가에 달려 있. 촌락 레폿 RZ . 촌락 레폿 RZ . 촌락 레폿 RZ . O 기능과 구성 요소간의 관계 : 촌락사람들의 기본적인 욕구를 만족시켜 주고 신체적 안전을 보장한다. 촌락 레폿 R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