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식, 성패를 결정하는 중대한 일이기에 예나 지금이나 배우자 선택에 신중을 거듭하는 것이다. 혼서는 신부에게는 무척 소중한 것으로서 일부종사의 의미. 문화교양학과 3학년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공통 교재언급된 전통생활문화의 주제관련있는 곳 답사소감(북촌한옥마을) Ⅰ. 2. 문화교양학과 3학년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공통 교재언급된 전통생활문화의 주제관련있는 곳 답사소감(북촌한옥마을). 이는 모계 씨족시대의 유풍으로 보인다. 전통혼례의 절차 유교 사상의 전래에 따라 가례(家禮)의 하나로 중요시되었는데 서로 혼인 의사를 묻는 의혼(議婚), 혼례를 올리는 친영(親迎)의 네 가지로 이루어지는 4례설(四禮說)이 있다. 혼례의 정상적인 방법은 남자측이나 여자측이 서로 대등한 위치에서 최선의 예를 갖춰 치러지는 것이다.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박물관에 가서 과거 우리 전통 사회의 농경 문화에 대해 알아봐야 할지! 한옥 마을이나 민속촌에 가서 전통 가옥에 대해 알아봐야할지 ......
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
문화교양학과 3학년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공통 교재언급된 전통생활문화의 주제관련있는 곳 답사소감(북촌한옥마을)..
문화교양학과 3학년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공통
교재언급된 전통생활문화의 주제관련있는 곳 답사소감(북촌한옥마을)
Ⅰ.대상 선정의 동기
전통사회와 생활문화의 레포트를 접하고 나서 어떤 주제의 내용을 선택해야 할지 너무 막막했다. 이 많은 주제 중에서 재미있게 답사를 하고 기억에 남을 주제는 무엇일까...박물관에 가서 과거 우리 전통 사회의 농경 문화에 대해 알아봐야 할지! 한옥 마을이나 민속촌에 가서 전통 가옥에 대해 알아봐야할지! 고민하다 문득 교과서 전체를 한번 전부 읽어보고 결정하는게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생각보다 내용이 어렵지 않고 한번쯤은 어렵풋이 들어보고 낯설지 않은 내용이라 쉽게 읽어 내려갈수 있을꺼라 생각했지만 회사 생활에 몇 달 남지 않은 결혼 준비에 넉넉지 않은 시간에 꽤 오랜 시간이 걸렸던것 같다. 그러다 웨딩촬영을 하면서 한복과 전통 혼례복을 입고 촬영을 하게 되었는데 문득 내가 지금 준비하는 현대식의 결혼 모습과 비교해서 과거의 전통 혼례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면 재미있고 뜻깊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비록 교과서에선 다른 주제들에 비해 많은 양의 분량을 차지 하지 않지만 인생에 결혼이라는 건 어느 누구에게나 가장 중요한 행사이기에 관혼상제 중 혼례 부분의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Ⅱ.답사 사전 준비와 진행과정
서울에서 전통 혼례를 볼수 있는 장소를 여러곳 물색하다가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전통혼례를 한다는걸 알게 되었다. 우선 답사에 앞서 전통혼례에 관한 인터넷의 많은 자료들과 몇권의 도서를 통해 전통혼례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찾아보았다.
1. 혼례의 의의
혼례는 예로부터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라고 일컬었다. 남녀가 혼례를 올림으로써 일심동체(一心同體)의 부부가 되어 백년동안을 함께 살아가는 것이다. 혼인은 인생의 행.불행을 좌우하고, 성패를 결정하는 중대한 일이기에 예나 지금이나 배우자 선택에 신중을 거듭하는 것이다. 혼례의 정상적인 방법은 남자측이나 여자측이 서로 대등한 위치에서 최선의 예를 갖춰 치러지는 것이다. 이러한 혼례의 절차의식이 하나의 규범으로 확립되어 조선중엽이후 여러 예서(禮書)가 나와 혼례식의 전형이 되었다.
2. 전통혼례의 변천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혼인제도의 변천을 보면, 부여에서는 일부일처제였고, 옥저에서는 돈을 받고 혼인하는 매매결혼이 행해졌다는 기록이 있다. 고구려에서는 신부의 집 뒤뜰에 서옥이라는 조그만 집을 짓고 사위가 거처하다가 자식을 낳아 큰 다음에 비로소 아내를 데리고 자기 집으로 돌아갔다 한다. 이는 모계 씨족시대의 유풍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려를 거쳐 조선조로 들어와서는 유교의 가르침에 의한 혼례가 유가의 예문에 따라 행해졌었다. 그 후 서구의 문화가 들어오면서부터 거의 모두가 신식에 의한 혼례를 행하게 되었고, 혹 전통적인 옛날의 의식을 답습하는 혼례라 하더라도 많이 간소화되었다.
3. 전통혼례의 절차
유교 사상의 전래에 따라 가례(家禮)의 하나로 중요시되었는데 서로 혼인 의사를 묻는 의혼(議婚), 혼인 날짜를 정하는 납채(納采), 예물을 보내는 납폐(納幣), 혼례를 올리는 친영(親迎)의 네 가지로 이루어지는 4례설(四禮說)이 있다.
(1) 의혼
가문, 학식, 인품 등을 조사하고 두 사람의 궁합(宮合)을 본 다음에 허혼 여부를 결정했다. 대개 신랑집의 청혼 편지에 신부집이 허혼 편지를 보냄으로써 의혼이 이루어진다. 남녀 양가에서 혼담이 이루어지면 먼저 남자측에서 청혼서를 보내고 여자의 집에서 마음이 있으면 혼인을 허락하는 허혼서를 보내 혼인이 이루어진다.
(2) 납채
납채는 혼약이 이루어져 사주를 보내고 연길을 청하는 절차이다. 신부집에서 허혼 편지나 전갈이 오면 신랑집에서는 신랑의 사주와 납채문을 써서 홍색 보자기에 싸 보낸다. 신부집에서는 사주를 받으면 신랑 신부의 운세를 가늠해 보고 결혼식 날짜를 택하여 신랑측에 통지한다.
(3)납폐
신랑집에서 보통 결혼식 전날 신부용 혼수(婚需)와 혼서(婚書) 및 물목(物目)을 넣은 혼수함을 보낸다. 이것을 납폐라 한다. 혼서는 신부에게는 무척 소중한 것으로서 일부종사의 의미
혼서는 신부에게는 무척 소중한 것으로서 일부종사의 의미.. (1) 의혼 가문, 학식, 인품 등을 조사하고 두 사람의 궁합(宮合)을 본 다음에 허혼 여부를 결정했다. 남녀 양가에서 혼담이 이루어지면 먼저 남자측에서 청혼서를 보내고 여자의 집에서 마음이 있으면 혼인을 허락하는 허혼서를 보내 혼인이 이루어진다. 업로드 SJ .. Ⅱ.. (1) 의혼 가문, 학식, 인품 등을 조사하고 두 사람의 궁합(宮合)을 본 다음에 허혼 여부를 결정했다.. 문화교양학과 3학년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공통 교재언급된 전통생활문화의 주제관련있는 곳 답사소감(북촌한옥마을) Ⅰ. 그 후 서구의 문화가 들어오면서부터 거의 모두가 신식에 의한 혼례를 행하게 되었고, 혹 전통적인 옛날의 의식을 답습하는 혼례라 하더라도 많이 간소화되었다. 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 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 3. 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 혼례의 의의 혼례는 예로부터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라고 일컬었다. 남녀 양가에서 혼담이 이루어지면 먼저 남자측에서 청혼서를 보내고 여자의 집에서 마음이 있으면 혼인을 허락하는 허혼서를 보내 혼인이 이루어진다. 2. 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 (2) 납채 납채는 혼약이 이루어져 사주를 보내고 연길을 청하는 절차이다. 업로드 SJ . 혼례의 의의 혼례는 예로부터 인륜지대사(人倫之大事)라고 일컬었다. 업로드 SJ . 1. 문화교양학과 3학년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공통 교재언급된 전통생활문화의 주제관련있는 곳 답사소감(북촌한옥마을) Ⅰ. 혼례의 정상적인 방법은 남자측이나 여자측이 서로 대등한 위치에서 최선의 예를 갖춰 치러지는 것이다.불행을 좌우하고, 성패를 결정하는 중대한 일이기에 예나 지금이나 배우자 선택에 신중을 거듭하는 것이다.답사 사전 준비와 진행과정 서울에서 전통 혼례를 볼수 있는 장소를 여러곳 물색하다가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전통혼례를 한다는걸 알게 되었다.. 이는 모계 씨족시대의 유풍으로 보인다. 이것을 납폐라 한 2. 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 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 남녀가 혼례를 올림으로써 일심동체(一心同體)의 부부가 되어 백년동안을 함께 살아가는 것이다. 전통혼례의 변천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혼인제도의 변천을 보면, 부여에서는 일부일처제였고, 옥저에서는 돈을 받고 혼인하는 매매결혼이 행해졌다는 기록이 있다. 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 고구려에서는 신부의 집 뒤뜰에 서옥이라는 조그만 집을 짓고 사위가 거처하다가 자식을 낳아 큰 다음에 비로소 아내를 데리고 자기 집으로 돌아갔다 한다.. 업로드 SJ . (3)납폐 신랑집에서 보통 결혼식 전날 신부용 혼수(婚需)와 혼서(婚書) 및 물목(物目)을 넣은 혼수함을 보낸다. 3.. 우선 답사에 앞서 전통혼례에 관한 인터넷의 많은 자료들과 몇권의 도서를 통해 전통혼례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찾아보았다. 이는 모계 씨족시대의 유풍으로 보인다.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 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 업로드 SJ . 그러다 웨딩촬영을 하면서 한복과 전통 혼례복을 입고 촬영을 하게 되었는데 문득 내가 지금 준비하는 현대식의 결혼 모습과 비교해서 과거의 전통 혼례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면 재미있고 뜻깊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비록 교과서에선 다른 주제들에 비해 많은 양의 분량을 차지 하지 않지만 인생에 결혼이라는 건 어느 누구에게나 가장 중요한 행사이기에 관혼상제 중 혼례 부분의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이 많은 주제 중에서 재미있게 답사를 하고 기억에 남을 주제는 무엇일까.. 업로드 SJ . 생각보다 내용이 어렵지 않고 한번쯤은 어렵풋이 들어보고 낯설지 않은 내용이라 쉽게 읽어 내려갈수 있을꺼라 생각했지만 회사 생활에 몇 달 남지 않은 결혼 준비에 넉넉지 않은 시간에 꽤 오랜 시간이 걸렸던것 같다. 그러나 고려를 거쳐 조선조로 들어와서는 유교의 가르침에 의한 혼례가 유가의 예문에 따라 행해졌었다. 업로드 SJ . 그 후 서구의 문화가 들어오면서부터 거의 모두가 신식에 의한 혼례를 행하게 되었고, 혹 전통적인 옛날의 의식을 답습하는 혼례라 하더라도 많이 간소화되었다.대상 선정의 동기 전통사회와 생활문화의 레포트를 접하고 나서 어떤 주제의 내용을 선택해야 할지 너무 막막했다. 신부집에서 허혼 편지나 전갈이 오면 신랑집에서는 신랑의 사주와 납채문을 써서 홍색 보자기에 싸 보낸다.. 문화교양학과 3학년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공통 교재언급된 전통생활문화의 주제관련있는 곳 답사소감(북촌한옥마을).. Ⅱ..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 이것을 납폐라 한. 업로드 SJ ... 업로드 SJ .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 생각보다 내용이 어렵지 않고 한번쯤은 어렵풋이 들어보고 낯설지 않은 내용이라 쉽게 읽어 내려갈수 있을꺼라 생각했지만 회사 생활에 몇 달 남지 않은 결혼 준비에 넉넉지 않은 시간에 꽤 오랜 시간이 걸렸던것 같다. 전통혼례의 변천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혼인제도의 변천을 보면, 부여에서는 일부일처제였고, 옥저에서는 돈을 받고 혼인하는 매매결혼이 행해졌다는 기록이 있다. 업로드 SJ . 혼인은 인생의 행. 고구려에서는 신부의 집 뒤뜰에 서옥이라는 조그만 집을 짓고 사위가 거처하다가 자식을 낳아 큰 다음에 비로소 아내를 데리고 자기 집으로 돌아갔다 한다. 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 혼례의 정상적인 방법은 남자측이나 여자측이 서로 대등한 위치에서 최선의 예를 갖춰 치러지는 것이다.불행을 좌우하고, 성패를 결정하는 중대한 일이기에 예나 지금이나 배우자 선택에 신중을 거듭하는 것이다. 이러한 혼례의 절차의식이 하나의 규범으로 확립되어 조선중엽이후 여러 예서(禮書)가 나와 혼례식의 전형이 되었다.. 이러한 혼례의 절차의식이 하나의 규범으로 확립되어 조선중엽이후 여러 예서(禮書)가 나와 혼례식의 전형이 되었다.. 신부집에서는 사주를 받으면 신랑 신부의 운세를 가늠해 보고 결혼식 날짜를 택하여 신랑측에 통지한다. 전통혼례의 절차 유교 사상의 전래에 따라 가례(家禮)의 하나로 중요시되었는데 서로 혼인 의사를 묻는 의혼(議婚), 혼인 날짜를 정하는 납채(納采), 예물을 보내는 납폐(納幣), 혼례를 올리는 친영(親迎)의 네 가지로 이루어지는 4례설(四禮說)이 있다. 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 신부집에서는 사주를 받으면 신랑 신부의 운세를 가늠해 보고 결혼식 날짜를 택하여 신랑측에 통지한다. 그러나 고려를 거쳐 조선조로 들어와서는 유교의 가르침에 의한 혼례가 유가의 예문에 따라 행해졌었다. 이 많은 주제 중에서 재미있게 답사를 하고 기억에 남을 주제는 무엇일까. 전통사회와생활문화과제물-한옥마을답사후기 문화교양학과 3. (2) 납채 납채는 혼약이 이루어져 사주를 보내고 연길을 청하는 절차이다. 우선 답사에 앞서 전통혼례에 관한 인터넷의 많은 자료들과 몇권의 도서를 통해 전통혼례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찾아보았다..박물관에 가서 과거 우리 전통 사회의 농경 문화에 대해 알아봐야 할지! 한옥 마을이나 민속촌에 가서 전통 가옥에 대해 알아봐야할지! 고민하다 문득 교과서 전체를 한번 전부 읽어보고 결정하는게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문화교양학과 3학년 전통사회와생활문화 공통 교재언급된 전통생활문화의 주제관련있는 곳 답사소감(북촌한옥마을).박물관에 가서 과거 우리 전통 사회의 농경 문화에 대해 알아봐야 할지! 한옥 마을이나 민속촌에 가서 전통 가옥에 대해 알아봐야할지! 고민하다 문득 교과서 전체를 한번 전부 읽어보고 결정하는게 좋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대개 신랑집의 청혼 편지에 신부집이 허혼 편지를 보냄으로써 의혼이 이루어진다. 그러다 웨딩촬영을 하면서 한복과 전통 혼례복을 입고 촬영을 하게 되었는데 문득 내가 지금 준비하는 현대식의 결혼 모습과 비교해서 과거의 전통 혼례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면 재미있고 뜻깊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비록 교과서에선 다른 주제들에 비해 많은 양의 분량을 차지 하지 않지만 인생에 결혼이라는 건 어느 누구에게나 가장 중요한 행사이기에 관혼상제 중 혼례 부분의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신부집에서 허혼 편지나 전갈이 오면 신랑집에서는 신랑의 사주와 납채문을 써서 홍색 보자기에 싸 보낸다.. 혼인은 인생의 행. 업로드 SJ . 남녀가 혼례를 올림으로써 일심동체(一心同體)의 부부가 되어 백년동안을 함께 살아가는 것이다. 업로드 SJ .대상 선정의 동기 전통사회와 생활문화의 레포트를 접하고 나서 어떤 주제의 내용을 선택해야 할지 너무 막막했다.답사 사전 준비와 진행과정 서울에서 전통 혼례를 볼수 있는 장소를 여러곳 물색하다가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전통혼례를 한다는걸 알게 되었다. 전통혼례의 절차 유교 사상의 전래에 따라 가례(家禮)의 하나로 중요시되었는데 서로 혼인 의사를 묻는 의혼(議婚), 혼인 날짜를 정하는 납채(納采), 예물을 보내는 납폐(納幣), 혼례를 올리는 친영(親迎)의 네 가지로 이루어지는 4례설(四禮說)이 있다. (3)납폐 신랑집에서 보통 결혼식 전날 신부용 혼수(婚需)와 혼서(婚書) 및 물목(物目)을 넣은 혼수함을 보낸다. 혼서는 신부에게는 무척 소중한 것으로서 일부종사의 의미.. 대개 신랑집의 청혼 편지에 신부집이 허혼 편지를 보냄으로써 의혼이 이루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