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 주지주의의 견해에 의문 제시 몸이라는 것은 물체처럼 어떤 공간에 위치하면서 다른 것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철학의 가장 중요한 일은 객관적인 세계를 넘어서서 체험된 세계를 송환하는 것이다. 지각 3.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메를로 퐁티의 문제의식의 출발 지각 知覺 모든 지식은 지각을 기초로 출발하기 때문 1. 세계로-향한-존재 세계를 이해하거나, 상호주관성은 마치 살처럼 서로 얽혀있는 관계 실존적 태도 암시 4. 표현 우리 몸의 움직임, 우리가 우리의 신체에 의해 세계 속에 존재하면서 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그대로, `몸에의 존재`인 세계 . ,, 이를 몸 스스로가 일으키는 행위라 주장 몸 스스로의 어떤 능력이 있다.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지각은 우리의 ‘몸’을 통해 이루어짐 경험주의 몸은 인과에 따라 움직이는 기계 주지주의 몸은 정신의 명령에 의해 움직이는 것 경험주의와 주지주의에서의 몸 고깃덩어리, 우리가 세계를 우리의 신체로써 지각하는 그대로 ......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Merleau-Ponty
목차
1.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2. 세계로-향한-존재 (세계에의 존재)
3. 지각
4. 표현
5. 상호신체성 (상호주관성)
6. 살
몸소 지각하는 원초적인 지각세계
1.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1.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근본적인 철학은 자신을 절대적인 의식에 놓음으로써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절대적인 의식 자체를 문제 삼음으로써 성립한다.
또한 그것은 모든 지식을 해명함으로써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지식을 해명할 수 있다는 이성의 자만을 근본적인 철학적 문제로 재인식함으로써 성립된다(『지각의 현상학』, 76).
1.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철학의 가장 중요한 일은 객관적인 세계를 넘어서서 체험된 세계를 송환하는 것이다.
우리는 세계에 대한 경험을 우리에게 나타나는 그대로, 우리가 우리의 신체에 의해 세계 속에 존재하면서 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그대로, 우리가 세계를 우리의 신체로써 지각하는 그대로 기술해야 한다(『지각의 현상학』, 239).
1.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메를로 퐁티의 문제의식의 출발
지각
知覺
모든 지식은 지각을 기초로 출발하기 때문
1.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경험주의
모든 지식의 원천 감각
자연과학의 정당성은 경험에서 얻어짐
경험은 지각에 의해 얻어짐
주지주의
모든 지식의 원천 지성적인 판단
경험은 믿을 수 없음, 불완전
1.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경험의 오류를 밝혀주는 것은
또 다른 지각
지각은 모든 검증의 최후의 보류
모든 지식은 지각을 기초로 출발
1.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지각은 우리의 ‘몸’을 통해 이루어짐
경험주의
몸은 인과에 따라 움직이는 기계
주지주의
몸은 정신의 명령에 의해 움직이는 것
경험주의와 주지주의에서의 몸
고깃덩어리, 물질적 기계
1.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메를로 퐁티는 몸과 지각에 대한 경험주의, 주지주의의 견해에 의문 제시
몸이라는 것은 물체처럼 어떤 공간에 위치하면서 다른 것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몸이 단순한 생물학적인 세포의 운동이라고 볼 수는 없다.
환지통의 예
`세계에의 존재`인 몸, `몸에의 존재`인 세계
2. 세계로-향한-존재
2. 세계로-향한-존재
메를로 퐁티는 환지통의 예를 통해서, 이를 몸 스스로가 일으키는 행위라 주장
몸 스스로의 어떤 능력이 있다.
몸에 의한 행위는 몸 스스로의 의도이다.
몸의 지향성
2. 세계로-향한-존재
몸은 우리의 행위인 ‘몸의 지향성’을 통해 세계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고 있음
몸은 스스로 어떤 능력을 지니고 나름대로의 기획된 의도에 의해 세계로 ‘투신’
실존적 의도를 지니는 몸
2. 세계로-향한-존재
몸은 ‘지향성’과 ‘실존적 의도’를 지닌다는 점에서 ‘세계로-향한-존재’
몸은 육화된 지향성을 지닌 살로 된 의식
그 자체로 의식과 실존적 의도를 보여주는 지향체
단순한 육체도 정신도 아닌 육화된 주체
2. 세계로-향한-존재
몸은 우리가 세계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매개자이자 주체
“나는 할 수 있다.”는 몸의 지향성
지각의 주체인 몸
2. 세계로-향한-존재
세계를 이해하거나, 인식이나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몸
‘세계에의 존재인 몸’
‘몸에의 존재인 세계’
몸과 세계는 상호 순환적 관계에 있음
몸이 세계를 상대해서 발휘하는 원초적 기능
3. 지각
3. 지각
몸이 세계를 상대해서 발휘하는
원초적인 기능
지각은 몸과 함께 이루어짐
3. 지각
신체를 갖고 세계를 체험하는
‘세계로-향한-존재’로서의 주체에 의해
세계와 얽힌 관계 속에서 분리되지
않은 채로 이루어지는 것
3. 지각
메를로 퐁티가 말하는 지각은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질까
부분의 합 X
대상의 형태와 구조를 전체로서 파악!
3. 지각
우리가 그렇게 지각하는 이유는 우리의 지각 대상과 주위 세계와의 ‘관계성’ 때문!
3. 지각
3. 지각
Right side up it’s a giant bird
3. 지각
Upside down it’s a guy catching a big fish
3. 지각
세잔의 회화
우리의 몸의 원초적 지각 그대로의 모습을 담아내려 했다!
기하학적인 원근법 X
배고플 때는 맛있는 음식 더 커 보인다!
3. 지각
의문점 발생
메를로 퐁티가 말하는 세계는 지각 세계
지각된 세계는 잘못될 수도 있지 않은가
그렇다면 오히려 과학적인 지성에 의한 세계가 참된 세계인 것인가
No, 지각되는 세계가 참다운 세계
3. 지각
지성에 의한 세계는 관념적인 세계일 뿐
영사기 실험의 예
지각은 모든 관념이나 사유의 전제가 됨
“우리가 갖고 있는 관념의 확실성은
지각에 입각하기 때문에 모든 의식은 지각적인 것이다.”
3. 지각
우리의 지각은 표현 그리고 상호주관성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
지각은 몸의 움직임 가운데 가능
지각은 상호주관성 가운데 가능
결국 지각, 표현, 상호주관성은 마치 살처럼 서로 얽혀있는 관계
실존적 태도 암시
4. 표현
4. 표현
우리 몸의 움직임, 즉, 몸짓
이미 존재하는 의미들을 반복하는 표현
원초적 표현
4. 표현
4. 표현
지각과 QO QO QO DownLoad DownLoad 문제의식 몸의 몸의 지각과 문제의식 문제의식 몸의 지각과 DownLoad
지각 3. 세계로-향한-존재 2.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DownLoad EE .” 3.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DownLoad EE . 지각 4. 표현.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철학의 가장 중요한 일은 객관적인 세계를 넘어서서 체험된 세계를 송환하는 것이다. 지각은 몸의 움직임 가운데 가능 지각은 상호주관성 가운데 가능 결국 지각, 표현, 상호주관성은 마치 살처럼 서로 얽혀있는 관계 실존적 태도 암시 4.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메를로 퐁티의 문제의식의 출발 지각 知覺 모든 지식은 지각을 기초로 출발하기 때문 1. 세계로-향한-존재 몸은 우리의 행위인 ‘몸의 지향성’을 통해 세계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고 있음 몸은 스스로 어떤 능력을 지니고 나름대로의 기획된 의도에 의해 세계로 ‘투신’ 실존적 의도를 지니는 몸 2. 세계로-향한-존재 메를로 퐁티는 환지통의 예를 통해서, 이를 몸 스스로가 일으키는 행위라 주장 몸 스스로의 어떤 능력이 있다. 세계로-향한-존재 2. 세계로-향한-존재 몸은 우리가 세계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매개자이자 주체 “나는 할 수 있다. 표현 우리 몸의 움직임, 즉, 몸짓 이미 존재하는 의미들을 반복하는 표현 원초적 표현 4. 몸에 의한 행위는 몸 스스로의 의도이다.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지각은 우리의 ‘몸’을 통해 이루어짐 경험주의 몸은 인과에 따라 움직이는 기계 주지주의 몸은 정신의 명령에 의해 움직이는 것 경험주의와 주지주의에서의 몸 고깃덩어리, 물질적 기계 1.”는 몸의 지향성 지각의 주체인 몸 2. 상호신체성 (상호주관성) 6. 세계로-향한-존재 세계를 이해하거나, 인식이나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몸 ‘세계에의 존재인 몸’ ‘몸에의 존재인 세계’ 몸과 세계는 상호 순환적 관계에 있음 몸이 세계를 상대해서 발휘하는 원초적 기능 3. 세계로-향한-존재 몸은 ‘지향성’과 ‘실존적 의도’를 지닌다는 점에서 ‘세계로-향한-존재’ 몸은 육화된 지향성을 지닌 살로 된 의식 그 자체로 의식과 실존적 의도를 보여주는 지향체 단순한 육체도 정신도 아닌 육화된 주체 2.”는 몸의 지향성 지각의 주체인 몸 2. 세계로-향한-존재 몸은 ‘지향성’과 ‘실존적 의도’를 지닌다는 점에서 ‘세계로-향한-존재’ 몸은 육화된 지향성을 지닌 살로 된 의식 그 자체로 의식과 실존적 의도를 보여주는 지향체 단순한 육체도 정신도 아닌 육화된 주체 2.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경험의 오류를 밝혀주는 것은 또 다른 지각 지각은 모든 검증의 최후의 보류 모든 지식은 지각을 기초로 출발 1. 지각 세잔의 회화 우리의 몸의 원초적 지각 그대로의 모습을 담아내려 했다! 기하학적인 원근법 X 배고플 때는 맛있는 음식 더 커 보인다! 3.. 표현 5. 살 몸소 지각하는 원초적인 지각세계 1. 지각 몸이 세계를 상대해서 발휘하는 원초적인 기능 지각은 몸과 함께 이루어짐 3.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DownLoad EE . 표현 4.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DownLoad EE .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지각은 우리의 ‘몸’을 통해 이루어짐 경험주의 몸은 인과에 따라 움직이는 기계 주지주의 몸은 정신의 명령에 의해 움직이는 것 경험주의와 주지주의에서의 몸 고깃덩어리, 물질적 기계 1.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경험주의 모든 지식의 원천 감각 자연과학의 정당성은 경험에서 얻어짐 경험은 지각에 의해 얻어짐 주지주의 모든 지식의 원천 지성적인 판단 경험은 믿을 수 없음, 불완전 1. 지각 몸이 세계를 상대해서 발휘하는 원초적인 기능 지각은 몸과 함께 이루어짐 3. 몸의 지향성 2.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메를로 퐁티는 몸과 지각에 대한 경험주의, 주지주의의 견해에 의문 제시 몸이라는 것은 물체처럼 어떤 공간에 위치하면서 다른 것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지각 3.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메를로 퐁티의 문제의식의 출발 지각 知覺 모든 지식은 지각을 기초로 출발하기 때문 1.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경험주의 모든 지식의 원천 감각 자연과학의 정당성은 경험에서 얻어짐 경험은 지각에 의해 얻어짐 주지주의 모든 지식의 원천 지성적인 판단 경험은 믿을 수 없음, 불완전 1. 표현 5. 지각 3.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근본적인 철학은 자신을 절대적인 의식에 놓음으로써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절대적인 의식 자체를 문제 삼음으로써 성립한다. 지각 메를로 퐁티가 말하는 지각은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질까 부분의 합 X 대상의 형태와 구조를 전체로서 파악! 3. 환지통의 예 `세계에의 존재`인 몸, `몸에의 존재`인 세계 2.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DownLoad EE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Merleau-Ponty 목차 1. 세계로-향한-존재 (세계에의 존재) 3. 지각 우리가 그렇게 지각하는 이유는 우리의 지각 대상과 주위 세계와의 ‘관계성’ 때문! 3. 표현 우리 몸의 움직임, 즉, 몸짓 이미 존재하는 의미들을 반복하는 표현 원초적 표현 4. 1. 또한 그것은 모든 지식을 해명함으로써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지식을 해명할 수 있다는 이성의 자만을 근본적인 철학적 문제로 재인식함으로써 성립된다(『지각의 현상학』, 76). 세계로-향한-존재 몸은 우리가 세계와 소통할 수 있도록 해주는 매개자이자 주체 “나는 할 수 있다. 환지통의 예 `세계에의 존재`인 몸, `몸에의 존재`인 세계 2..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DownLoad EE .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메를로 퐁티는 몸과 지각에 대한 경험주의, 주지주의의 견해에 의문 제시 몸이라는 것은 물체처럼 어떤 공간에 위치하면서 다른 것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결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DownLoad EE . 우리는 세계에 대한 경험을 우리에게 나타나는 그대로, 우리가 우리의 신체에 의해 세계 속에 존재하면서 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그대로, 우리가 세계를 우리의 신체로써 지각하는 그대로 기술해야 한다(『지각의 현상학』, 239). 몸의 지향성 2. 1.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경험의 오류를 밝혀주는 것은 또 다른 지각 지각은 모든 검증의 최후의 보류 모든 지식은 지각을 기초로 출발 1.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DownLoad EE . 몸이 단순한 생물학적인 세포의 운동이라고 볼 수는 없다. 지각 신체를 갖고 세계를 체험하는 ‘세계로-향한-존재’로서의 주체에 의해 세계와 얽힌 관계 속에서 분리되지 않은 채로 이루어지는 것 3.. 지각 의문점 발생 메를로 퐁티가 말하는 세계는 지각 세계 지각된 세계는 잘못될 수도 있지 않은가 그렇다면 오히려 과학적인 지성에 의한 세계가 참된 세계인 것인가 No, 지각되는 세계가 참다운 세계 3. 지각 Right side up it’s a giant bird . 지각 지성에 의한 세계는 관념적인 세계일 뿐 영사기 실험의 예 지각은 모든 관념이나 사유의 전제가 됨 “우리가 갖고 있는 관념의 확실성은 지각에 입각하기 때문에 모든 의식은 지각적인 것이다.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Merleau-Ponty 목차 1. 또한 그것은 모든 지식을 해명함으로써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지식을 해명할 수 있다는 이성의 자만을 근본적인 철학적 문제로 재인식함으로써 성립된다(『지각의 현상학』, 76). 지각 4. 지각 세잔의 회화 우리의 몸의 원초적 지각 그대로의 모습을 담아내려 했다! 기하학적인 원근법 X 배고플 때는 맛있는 음식 더 커 보인다! 3.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DownLoad EE . 지각 Upside down it’s a guy catching a big fish 3.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근본적인 철학은 자신을 절대적인 의식에 놓음으로써 성립되는 것이 아니라 절대적인 의식 자체를 문제 삼음으로써 성립한다.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철학의 가장 중요한 일은 객관적인 세계를 넘어서서 체험된 세계를 송환하는 것이다. 상호신체성 (상호주관성) 6. 지각 우리의 지각은 표현 그리고 상호주관성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 살 몸소 지각하는 원초적인 지각세계 1. 표현 4.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2. 표현. 표현 4. 지각 우리가 그렇게 지각하는 이유는 우리의 지각 대상과 주위 세계와의 ‘관계성’ 때문! 3. 지각 Right side up it’s a giant bird지각 메를로 퐁티가 말하는 지각은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질까 부분의 합 X 대상의 형태와 구조를 전체로서 파악! 3.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1.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DownLoad EE . 1. 지각은 몸의 움직임 가운데 가능 지각은 상호주관성 가운데 가능 결국 지각, 표현, 상호주관성은 마치 살처럼 서로 얽혀있는 관계 실존적 태도 암시 4. 몸이 단순한 생물학적인 세포의 운동이라고 볼 수는 없다. 세계로-향한-존재 몸은 우리의 행위인 ‘몸의 지향성’을 통해 세계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고 있음 몸은 스스로 어떤 능력을 지니고 나름대로의 기획된 의도에 의해 세계로 ‘투신’ 실존적 의도를 지니는 몸 2.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2. 세계로-향한-존재 메를로 퐁티는 환지통의 예를 통해서, 이를 몸 스스로가 일으키는 행위라 주장 몸 스스로의 어떤 능력이 있다.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DownLoad EE . 몸에 의한 행위는 몸 스스로의 의도이다.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1. 지각 신체를 갖고 세계를 체험하는 ‘세계로-향한-존재’로서의 주체에 의해 세계와 얽힌 관계 속에서 분리되지 않은 채로 이루어지는 것 3. 표현 4. 우리는 세계에 대한 경험을 우리에게 나타나는 그대로, 우리가 우리의 신체에 의해 세계 속에 존재하면서 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그대로, 우리가 세계를 우리의 신체로써 지각하는 그대로 기술해야 한다(『지각의 현상학』, 239). 지각 우리의 지각은 표현 그리고 상호주관성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 지각 Upside down it’s a guy catching a big fish 3. 지각 의문점 발생 메를로 퐁티가 말하는 세계는 지각 세계 지각된 세계는 잘못될 수도 있지 않은가 그렇다면 오히려 과학적인 지성에 의한 세계가 참된 세계인 것인가 No, 지각되는 세계가 참다운 세계 3. 세계로-향한-존재 (세계에의 존재) 3.” 3. 세계로-향한-존재 세계를 이해하거나, 인식이나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몸 ‘세계에의 존재인 몸’ ‘몸에의 존재인 세계’ 몸과 세계는 상호 순환적 관계에 있음 몸이 세계를 상대해서 발휘하는 원초적 기능 3. 지각과 몸의 문제의식 DownLoad EE . 1. 지각 3. 지각 지성에 의한 세계는 관념적인 세계일 뿐 영사기 실험의 예 지각은 모든 관념이나 사유의 전제가 됨 “우리가 갖고 있는 관념의 확실성은 지각에 입각하기 때문에 모든 의식은 지각적인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