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째는 인간, <<에밀1762>>의 세권을 내놓게 된다. 그는 모티에에서 3년간 피신해 있으면서 <<산에서 쓴 서한>> 등을 썼다. 그는 고향으로 돌아가 본래의 신교(칼뱅이즘)로 개종하였다.영 향 ? ? ? ? ? ? ? ? ? ? ? ? 12 Ⅳ. 1765년 9월 모티에를 떠나 생피에르 섬으로 피신하였으나 그곳에서도 견디지 못하고 철학자 데이비드 흄의 초청으로 영국으로 건너갔다.주요사상 4 1.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사회과학]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목 차 Ⅰ.. 그는 "대개 자연으로부터 온 것은 반드시 참되고, 가장 중요한 책은 <<고백록>>이다.루소의 교육사상 2. 자연상태의 인간은 건강하고 행복하고 착하고 자유로우나 인간이 사회를 형성하면서부터 악이 시작되었다고 말한다.주요이론 3.교육 내용 Ⅲ. Ⅱ. 이때부터 1740년까지가 그의 생애 중에 가장 행복한 나날이었. , 둘째는 인간, 셋째는 사물이다. 이 논문은 인간은 본래 선하지만 사회와 문명 때문에 타락했다는 그의 사상의 중심주제를 잘보여준다.비 판 점 ? ? ......
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사회과학]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목 차
Ⅰ.생 애 2
Ⅱ.주요사상 4
1.루소의 교육사상
2.주요이론
3.루소의 인간관
4.루소의 교육 목적
5.교육 내용
Ⅲ.영 향 12
Ⅳ.비 판 점 14
Ⅴ피 드 백 15
Ⅰ.루소의 생애
루소(RousseauJean Jacques : 1712∼1778)스스로 배울 생각이 있는 한,
천지 만물 중 하나도 스승이 아닌 것은 없다.
사람에게는 세 가지 스승이 있다.
하나는 대자연,
둘째는 인간,
셋째는 사물이다. -루소
1.생 애
프랑스 계몽주의의 대표적 사상가, 철학자
스위스 제네바에서 시계공의 둘째 아들로
출생(1712년)
어머니의 죽음(9일)과 아버지의 가출(10세)
가출과 방랑 생활(16세)→바랑 부인과의 만남
파리 생활과 백과 전서 학파와의 교류(30세)
테레즈와의 동거 생...목 차
Ⅰ.생 애 ? ? ? ? ? ? ? ? ? ? ? ? 2
Ⅱ.주요사상 ? ? ? ? ? ? ? ? ? ? ? ? 4
1.루소의 교육사상
2.주요이론
3.루소의 인간관
4.루소의 교육 목적
5.교육 내용
Ⅲ.영 향 ? ? ? ? ? ? ? ? ? ? ? ? 12
Ⅳ.비 판 점 ? ? ? ? ? ? ? ? ? ? ? ? 14
Ⅴ피 드 백 ? ? ? ? ? ? ? ? ? ? ? ? 15
Ⅰ.루소의 생애
루소(RousseauJean Jacques : 1712∼1778)스스로 배울 생각이 있는 한,
천지 만물 중 하나도 스승이 아닌 것은 없다.
사람에게는 세 가지 스승이 있다.
하나는 대자연,
둘째는 인간,
셋째는 사물이다. -루소
1.생 애
*프랑스 계몽주의의 대표적 사상가, 철학자
*스위스 제네바에서 시계공의 둘째 아들로
출생(1712년)
*어머니의 죽음(9일)과 아버지의 가출(10세)
*가출과 방랑 생활(16세)→바랑 부인과의 만남
*파리 생활과 백과 전서 학파와의 교류(30세)
*테레즈와의 동거 생활(33세)
*현상 논문 "과학 예술론" 당선(37세)
*오페라 "시골 점쟁이" 상연(40세)
*"인간 불평등 기원론"출판(43세)
*교육론 "에밀"과 "사회 계약론"출판(50세)
→파리 고등 법원의 체포령과 도피 생활
*볼테르의 "시민의 감정" 발표(52세)
→루소가 자식 버린 사실을 폭로
*"참회록"저술(54세)과 테레즈와 정식
결혼(56세)
*1778년 요독증 재발로 사망(66세)
♣부연설명~ 년도별, 설명.
루소는 1712년 프랑스 태생의 한 시계공의 아들로 스위스의 제네바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그를 낳자마자 사망하였고 그는 아버지의 밑에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한 채 자랐다. 그가 열살 되던 해 사소한 싸움으로 아버지가 제네바를 떠나게 되어 목사에게 위탁되었다가 숙모의 집에 유숙하면서 고달픈 나날을 보냈다.
1728년 16세에 프랑스를 향한 방랑을 시작하고
1732년 사보이 지방에서 후원자인 바랑부인을 만나 집사로 일하면서 철학자, 문인, 음악가가 되기 위한 공부를 할 기회를 얻는다. 이때부터
1740년까지가 그의 생애 중에 가장 행복한 나날이었다. 30세 때 파리에서 디드로를 만나 <<앙시클로페디>>를 중심으로 모인 지식인 집단 `철학자들`에서 중심역할을 하고 오페라 <<마을의 점쟁이>>를 작곡하여 왕과 왕실로부터 인정받기도 했다. 37세 때 반종교성향의 글로 구속된 디드로를 만나기 위해 뱅센으로 가는 도중 디종 아카데미 현상 모집 제목을 보고
1750년<<학문 및 예술에 관한 논문-학예론>>을 발표한다. 이 논문은 인간은 본래 선하지만 사회와 문명 때문에 타락했다는 그의 사상의 중심주제를 잘보여준다. 5년 뒤 디종 아카데미의 질문에 답하는 2번째 논문 <<인간불평등기원론>>을 완성한다. 이것은 <<학예론>>의 맥을 잇고 있다. 그는 인간 불평등의 기원을 인류생활 초기단계에서 재구성했다. 자연상태의 인간은 건강하고 행복하고 착하고 자유로우나 인간이 사회를 형성하면서부터 악이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그는 고향으로 돌아가 본래의 신교(칼뱅이즘)로 개종하였다. 그는 갖가지 사건을 거치면서 디드로와 결별하고 백과사전파 특히 볼테르의 적이 되기에 이르른다. 1758년 몽모랑시 마을의 몽루이라는 작은 집에 은거한 루소는 뤽상부르 원수의 후원으로 일에 전념하여 <<신 엘로이즈1761>>, <<사회계약론1762>>, <<에밀1762>>의 세권을 내놓게 된다. <<신 엘로이즈>>는 두 애인 사이의 편지 형식의 소설인데 루소가 알았던 모든 여인의 추억이 담겨있다. <<에밀>
>의 출판은 많은 물의를 일으켰다. 파리의 고등법원은 이책을 압수하여 태울 것을 결정하였고, 루소는 체포를 면하기 위해 몽모랑시를 떠나야만 했다. 그는 제네바로 가려 하였으나 제네바 시의회도 <<에밀>>과 <<사회계약론>>을 규탄하였다. 그는 모티에에서 3년간 피신해 있으면서 <<산에서 쓴 서한>> 등을 썼다.
1765년 9월 모티에를 떠나 생피에르 섬으로 피신하였으나 그곳에서도 견디지 못하고 철학자 데이비드 흄의 초청으로 영국으로 건너갔다. 흄은 그를 도와 조지 3세에게 연금을 받도록 해주었다. 그러나 루소는 영국 지식인들이 자신을 조롱하고 있고 흄도 마찬가지라고 의심했다. 그는 여러 가지 정신분열증 징후를 보였으며 마침내 이름을 숨긴 채 다시 프랑스로 돌아갔다
1768년 56세의 나이로 동겨녀였던 테레즈와 결혼했다. 마지막 10년 동안 루소는 주로 적들의 비난에 대해 자신을 정당화하는 자서전적 글을 썼는데, 가장 중요한 책은 <<고백록>>이다. 또 적들이 씌운 혐의에 답하기 위해 <<루소 장 자크를 심판하다>>를 썼다. <<고독한 산책자의 몽상>>에서는 초기의 강렬한 열정이 온화한 서정성과 진지함으로 나타난다. 그는 말년에 정신적 평온을 얻었고 프랑스
1778년 대귀족 콩티 공과 지라르댕 후작의 영지로 피신했다가 죽었다.
Ⅱ.루소의 주요 사상
1.루소의 교육사상
1) 성선설
에밀의 첫 장 첫줄에 ‘만물은 창조자의 손에서 나올 때 가장 선하다’는 기본적인 명제를 제시함으로써 어린이의 본성을 제시하였다. 인간은 본래 악한 것이 아니라 선하다고 주장하였다. 인간은 출생 시에 어지질고 티 없는 선한 성품을 지니고 태어나게 되지만 성인의 풍습과 관습에 오염됨으로써 악하게 된다고 주장하였고 인류의 자연본성은 본래 선한 것인데 역사문명 사회제도의 영향을 받아 악하게 되었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대개 자연으로부터 온 것은 반드시 참되고, 참될 뿐만 아니라 또한 선하다." 또 "자연이 만든 사물은 모두가 다 선하지만 일단 인위를 거치면 악으로 변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선은 천성에 속하고 악은 인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인간을 식물에 비유하면서 성인이 어린이를 그르치지 않는다면 착하고 친절하며, 민주적인 방향으로 자연히 성장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루소는 영국 지식인들이 자신을 조롱하고 있고 흄도 마찬가지라고 의심했다. 그가 열살 되던 해 사소한 싸움으로 아버지가 제네바를 떠나게 되어 목사에게 위탁되었다가 숙모의 집에 유숙하면서 고달픈 나날을 보냈다. 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등록 EA .. 그는 말년에 정신적 평온을 얻었고 프랑스 1778년 대귀족 콩티 공과 지라르댕 후작의 영지로 피신했다가 죽었다. 그러므로 선은 천성에 속하고 악은 인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모티에에서 3년간 피신해 있으면서 <<산에서 쓴 서한>> 등을 썼다." 또 "자연이 만든 사물은 모두가 다 선하지만 일단 인위를 거치면 악으로 변한다. 또 적들이 씌운 혐의에 답하기 위해 <<루소 장 자크를 심판하다>>를 썼다.생 애 *프랑스 계몽주의의 대표적 사상가, 철학자 *스위스 제네바에서 시계공의 둘째 아들로 출생(1712년) *어머니의 죽음(9일)과 아버지의 가출(10세) *가출과 방랑 생활(16세)→바랑 부인과의 만남 *파리 생활과 백과 전서 학파와의 교류(30세) *테레즈와의 동거 생활(33세) *현상 논문 "과학 예술론" 당선(37세) *오페라 "시골 점쟁이" 상연(40세) *"인간 불평등 기원론"출판(43세) *교육론 "에밀"과 "사회 계약론"출판(50세) →파리 고등 법원의 체포령과 도피 생활 *볼테르의 "시민의 감정" 발표(52세) →루소가 자식 버린 사실을 폭로 *"참회록"저술(54세)과 테레즈와 정식 결혼(56세) *1778년 요독증 재발로 사망(66세) ♣부연설명~ 년도별, 설명. 사람에게는 세 가지 스승이 있다.루소의 인간관 4.루소의 생애 루소(RousseauJean Jacques : 1712∼1778)스스로 배울 생각이 있는 한, 천지 만물 중 하나도 스승이 아닌 것은 없다. 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등록 EA . -루소 1. 이것은 <<학예론>>의 맥을 잇고 있다. -루소 1. 5년 뒤 디종 아카데미의 질문에 답하는 2번째 논문 <<인간불평등기원론>>을 완성한다.루소의 교육사상 2. 1765년 9월 모티에를 떠나 생피에르 섬으로 피신하였으나 그곳에서도 견디지 못하고 철학자 데이비드 흄의 초청으로 영국으로 건너갔다. 인간은 출생 시에 어지질고 티 없는 선한 성품을 지니고 태어나게 되지만 성인의 풍습과 관습에 오염됨으로써 악하게 된다고 주장하였고 인류의 자연본성은 본래 선한 것인데 역사문명 사회제도의 영향을 받아 악하게 되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그는 인간을 식물에 비유하면서 성인이 어린이를 그르치지 않는다면 착하고 친절하며, 민주적인 방향으로 자연히 성장한다고 하였다.영 향 ? ? ? ? ? ? ? ? ? ? ? ? 12 Ⅳ. 그는 여러 가지 정신분열증 징후를 보였으며 마침내 이름을 숨긴 채 다시 프랑스로 돌아갔다 1768년 56세의 나이로 동겨녀였던 테레즈와 결혼했다.루소의 교육사상 1) 성선설 에밀의 첫 장 첫줄에 ‘만물은 창조자의 손에서 나올 때 가장 선하다’는 기본적인 명제를 제시함으로써 어린이의 본성을 제시하였다. 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등록 EA .영 향 12 Ⅳ. Ⅱ. 그는 "대개 자연으로부터 온 것은 반드시 참되고, 참될 뿐만 아니라 또한 선하다.. 루소는 1712년 프랑스 태생의 한 시계공의 아들로 스위스의 제네바에서 태어났다. 마지막 10년 동안 루소는 주로 적들의 비난에 대해 자신을 정당화하는 자서전적 글을 썼는데, 가장 중요한 책은 <<고백록>>이다.루소의 생애 루소(RousseauJean Jacques : 1712∼1778)스스로 배울 생각이 있는 한, 천지 만물 중 하나도 스승이 아닌 것은 없다.교육 내용 Ⅲ. 그는 "대개 자연으로부터 온 것은 반드시 참되고, 참될 뿐만 아니라 또한 선하다.루소의 인간관 4. 그는 갖가지 사건을 거치면서 디드로와 결별하고 백과사전파 특히 볼테르의 적이 되기에 이르른다.영 향 ? ? ? ? ? ? ? ? ? ? ? ? 12 Ⅳ. 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등록 EA .. 그는 말년에 정신적 평온을 얻었고 프랑스 1778년 대귀족 콩티 공과 지라르댕 후작의 영지로 피신했다가 죽었다. 그는 모티에에서 3년간 피신해 있으면서 <<산에서 쓴 서한>> 등을 썼다.루소의 주요 사상 1. 사람에게는 세 가지 스승이 있다. 이 논문은 인간은 본래 선하지만 사회와 문명 때문에 타락했다는 그의 사상의 중심주제를 잘보여준다. 37세 때 반종교성향의 글로 구속된 디드로를 만나기 위해 뱅센으로 가는 도중 디종 아카데미 현상 모집 제목을 보고 1750년<<학문 및 예술에 관한 논문-학예론>>을 발표한다.비 판 점 14 Ⅴ피 드 백 15 Ⅰ. 1765년 9월 모티에를 떠나 생피에르 섬으로 피신하였으나 그곳에서도 견디지 못하고 철학자 데이비드 흄의 초청으로 영국으로 건너갔다.생 애 프랑스 계몽주의의 대표적 사상가, 철학자 스위스 제네바에서 시계공의 둘째 아들로 출생(1712년) 어머니의 죽음(9일)과 아버지의 가출(10세) 가출과 방랑 생활(16세)→바랑 부인과의 만남 파리 생활과 백과 전서 학파와의 교류(30세) 테레즈와의 동거 생.루소의 교육 목적 5. 이 논문은 인간은 본래 선하지만 사회와 문명 때문에 타락했다는 그의 사상의 중심주제를 잘보여준다. <<신 엘로이즈>>는 두 애인 사이의 편지 형식의 소설인데 루소가 알았던 모든 여인의 추억이 담겨있다. 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등록 EA . 그러므로 선은 천성에 속하고 악은 인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루소의 교육 목적 5. 사람에게는 세 가지 스승이 있다.목 차 .루소의 교육 목적 5. <<신 엘로이즈>>는 두 애인 사이의 편지 형식의 소설인데 루소가 알았던 모든 여인의 추억이 담겨있다. 1728년 16세에 프랑스를 향한 방랑을 시작하고 1732년 사보이 지방에서 후원자인 바랑부인을 만나 집사로 일하면서 철학자, 문인, 음악가가 되기 위한 공부를 할 기회를 얻는다. 1758년 몽모랑시 마을의 몽루이라는 작은 집에 은거한 루소는 뤽상부르 원수의 후원으로 일에 전념하여 <<신 엘로이즈1761>>, <<사회계약론1762>>, <<에밀1762>>의 세권을 내놓게 된다. 1728년 16세에 프랑스를 향한 방랑을 시작하고 1732년 사보이 지방에서 후원자인 바랑부인을 만나 집사로 일하면서 철학자, 문인, 음악가가 되기 위한 공부를 할 기회를 얻는다. 1758년 몽모랑시 마을의 몽루이라는 작은 집에 은거한 루소는 뤽상부르 원수의 후원으로 일에 전념하여 <<신 엘로이즈1761>>, <<사회계약론1762>>, <<에밀1762>>의 세권을 내놓게 된다..주요사상 ? ? ? ? ? ? ? ? ? ? ? ? 4 1.루소의 교육사상 2.. 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등록 EA .교육 내용 Ⅲ.교육 내용 Ⅲ. 또한 그는 인간을 식물에 비유하면서 성인이 어린이를 그르치지 않는다면 착하고 친절하며, 민주적인 방향으로 자연히 성장한다고 하였다.생 애 ? ? ? ? ? ? ? ? ? ? ? ? 2 Ⅱ. 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등록 EA .생 애 *프랑스 계몽주의의 대표적 사상가, 철학자 *스위스 제네바에서 시계공의 둘째 아들로 출생(1712년) *어머니의 죽음(9일)과 아버지의 가출(10세) *가출과 방랑 생활(16세)→바랑 부인과의 만남 *파리 생활과 백과 전서 학파와의 교류(30세) *테레즈와의 동거 생활(33세) *현상 논문 "과학 예술론" 당선(37세) *오페라 "시골 점쟁이" 상연(40세) *"인간 불평등 기원론"출판(43세) *교육론 "에밀"과 "사회 계약론"출판(50세) →파리 고등 법원의 체포령과 도피 생활 *볼테르의 "시민의 감정" 발표(52세) →루소가 자식 버린 사실을 폭로 *"참회록"저술(54세)과 테레즈와 정식 결혼(56세) *1778년 요독증 재발로 사망(66세) ♣부연설명~ 년도별, 설명."고 주장하였다. 흄은 그를 도와 조지 3세에게 연금을 받도록 해주었다.루소의 생애 루소(RousseauJean Jacques : 1712∼1778)스스로 배울 생각이 있는 한, 천지 만물 중 하나도 스승이 아닌 것은 없다. 인간은 출생 시에 어지질고 티 없는 선한 성품을 지니고 태어나게 되지만 성인의 풍습과 관습에 오염됨으로써 악하게 된다고 주장하였고 인류의 자연본성은 본래 선한 것인데 역사문명 사회제도의 영향을 받아 악하게 되었다고 생각하였다. 또 적들이 씌운 혐의에 답하기 위해 <<루소 장 자크를 심판하다>>를 썼다.주요이론 3.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사회과학]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목 차 Ⅰ.주요이론 3. 자연상태의 인간은 건강하고 행복하고 착하고 자유로우나 인간이 사회를 형성하면서부터 악이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하나는 대자연, 둘째는 인간, 셋째는 사물이다. 흄은 그를 도와 조지 3세에게 연금을 받도록 해주었다. 그는 갖가지 사건을 거치면서 디드로와 결별하고 백과사전파 특히 볼테르의 적이 되기에 이르른다. <<고독한 산책자의 몽상>>에서는 초기의 강렬한 열정이 온화한 서정성과 진지함으로 나타난다.주요이론 3.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등록 EA . <<에밀> >의 출판은 많은 물의를 일으켰다. 그는 인간 불평등의 기원을 인류생활 초기단계에서 재구성했다. 하나는 대자연, 둘째는 인간, 셋째는 사물이다.비 판 점 ? ? ? ? ? ? ? ? ? ? ? ? 14 Ⅴ피 드 백 ? ? ? ? ? ? ? ? ? ? ? ? 15 Ⅰ. 마지막 10년 동안 루소는 주로 적들의 비난에 대해 자신을 정당화하는 자서전적 글을 썼는데, 가장 중요한 책은 <<고백록>>이다.생 애 프랑스 계몽주의의 대표적 사상가, 철학자 스위스 제네바에서 시계공의 둘째 아들로 출생(1712년) 어머니의 죽음(9일)과 아버지의 가출(10세) 가출과 방랑 생활(16세)→바랑 부인과의 만남 파리 생활과 백과 전서 학파와의 교류(30세) 테레즈와의 동거 생. 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등록 EA . 37세 때 반종교성향의 글로 구속된 디드로를 만나기 위해 뱅센으로 가는 도중 디종 아카데미 현상 모집 제목을 보고 1750년<<학문 및 예술에 관한 논문-학예론>>을 발표한다. 그는 제네바로 가려 하였으나 제네바 시의회도 <<에밀>>과 <<사회계약론>>을 규탄하였다. 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등록 EA . 그는 제네바로 가려 하였으나 제네바 시의회도 <<에밀>>과 <<사회계약론>>을 규탄하였다. 5년 뒤 디종 아카데미의 질문에 답하는 2번째 논문 <<인간불평등기원론>>을 완성한다. 그가 열살 되던 해 사소한 싸움으로 아버지가 제네바를 떠나게 되어 목사에게 위탁되었다가 숙모의 집에 유숙하면서 고달픈 나날을 보냈다. 그의 어머니는 그를 낳자마자 사망하였고 그는 아버지의 밑에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한 채 자랐다.루소의 주요 사상 1.생 애 2 Ⅱ. 파리의 고등법원은 이책을 압수하여 태울 것을 결정하였고, 루소는 체포를 면하기 위해 몽모랑시를 떠나야만 했다.루소의 교육사상 1) 성선설 에밀의 첫 장 첫줄에 ‘만물은 창조자의 손에서 나올 때 가장 선하다’는 기본적인 명제를 제시함으로써 어린이의 본성을 제시하였다. 그는 고향으로 돌아가 본래의 신교(칼뱅이즘)로 개종하였다. 그는 여러 가지 정신분열증 징후를 보였으며 마침내 이름을 숨긴 채 다시 프랑스로 돌아갔다 1768년 56세의 나이로 동겨녀였던 테레즈와 결혼했다.루소의 인간관 4. 하나는 대자연, 둘째는 인간, 셋째는 사물이다. 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등록 EA .교육 내용 Ⅲ." 또 "자연이 만든 사물은 모두가 다 선하지만 일단 인위를 거치면 악으로 변한다. 30세 때 파리에서 디드로를 만나 <<앙시클로페디>>를 중심으로 모인 지식인 집단 `철학자들`에서 중심역할을 하고 오페라 <<마을의 점쟁이>>를 작곡하여 왕과 왕실로부터 인정받기도 했다. 이때부터 1740년까지가 그의 생애 중에 가장 행복한 나날이었다.주요사상 ? ? ? ? ? ? ? ? ? ? ? ? 4 1.. <<고독한 산책자의 몽상>>에서는 초기의 강렬한 열정이 온화한 서정성과 진지함으로 나타난다. 그는 인간 불평등의 기원을 인류생활 초기단계에서 재구성했다. -루소 1. 그의 어머니는 그를 낳자마자 사망하였고 그는 아버지의 밑에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지 못한 채 자랐다. 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등록 EA . 파리의 고등법원은 이책을 압수하여 태울 것을 결정하였고, 루소는 체포를 면하기 위해 몽모랑시를 떠나야만 했다.비 판 점 14 Ⅴ피 드 백 15 Ⅰ. 30세 때 파리에서 디드로를 만나 <<앙시클로페디>>를 중심으로 모인 지식인 집단 `철학자들`에서 중심역할을 하고 오페라 <<마을의 점쟁이>>를 작곡하여 왕과 왕실로부터 인정받기도 했다.루소의 교육 목적 5. Ⅱ. 인간은 본래 악한 것이 아니라 선하다고 주장하였다. 인간은 본래 악한 것이 아니라 선하다고 주장하였다.주요사상 4 1. 그러나 루소는 영국 지식인들이 자신을 조롱하고 있고 흄도 마찬가지라고 의심했다.생 애 ? ? ? ? ? ? ? ? ? ? ? ? 2 Ⅱ.루소의 교육사상 2. 루소는 1712년 프랑스 태생의 한 시계공의 아들로 스위스의 제네바에서 태어났다. 사람에게는 세 가지 스승이 있다."고 주장하였다.사회과학 업로드 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사회과학]철학 - 루소의 교육 사상 목 차 Ⅰ. 하나는 대자연, 둘째는 인간, 셋째는 사물이다.영 향 12 Ⅳ.생 애 2 Ⅱ. -루소 1. <<에밀> >의 출판은 많은 물의를 일으켰다.주요이론 3.루소의 생애 루소(RousseauJean Jacques : 1712∼1778)스스로 배울 생각이 있는 한, 천지 만물 중 하나도 스승이 아닌 것은 없다..목 차그는 고향으로 돌아가 본래의 신교(칼뱅이즘)로 개종하였다. 이것은 <<학예론>>의 맥을 잇고 있다.루소의 교육사상 2.루소의 인간관 4. 이때부터 1740년까지가 그의 생애 중에 가장 행복한 나날이었다. 자연상태의 인간은 건강하고 행복하고 착하고 자유로우나 인간이 사회를 형성하면서부터 악이 시작되었다고 말한다..주요사상 4 1.비 판 점 ? ? ? ? ? ? ? ? ? ? ? ? 14 Ⅴ피 드 백 ? ? ? ? ? ? ? ? ? ? ? ?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