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적 강화 및 처벌 2.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II. 강화의 개념과 종류 1. 대개의 수의적 행동은 조작적 행동이. , 강화의 개념과 종류, 강화의 개념과 종류, 부적 강화 및 처벌 2. 행동조성 VI. 설사 한 시점에서 실험자가 고양이의 앞발을 빗장 위에 올려놓고 빗장을 아래로 밀음으로써 해답을 시범 보이더라도 고양이의 진보는 계속 느리다.. 부분 강화 4. 이 절차는 거듭 반복되며 시행 이 거듭됨에 따라 고양이는 무관한 행동 중의 많은 것을 버리게 되고, 그 전형적 실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강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 V. 배고픈 고양이를 우리에 두는데, 어떤 보상이나 긍정적 효과가 이러한 행동 중 하나 뒤에 즉각적으로 따를 때 그 행동의 학습이 강화된다. 처음에 고양이는 쇠창살 밖으로 앞발을 뻗어 음식에 도달하려고 노력한다. 시간상 고양이가 이 문제의 해답에 관해 어떤 통찰을 가지고 있는 것 같은 순간은 전혀 없었다. F.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II. Skinner)가 도입한 개념으로서, 고전적 조건형성이 단지 조건 자극이 ......
조작적 조건화 자료등록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CONTENTS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
I.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II. 조작적 조건형성의 법칙
III. 조작적 조건형성 실험
IV. 강화의 개념과 종류
1. 정적 강화, 부적 강화 및 처벌
2. 조건 강화
3. 부분 강화
4. 강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
V. 행동조성
VI.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참고문헌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
I.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스키너(B. F. Skinner)가 도입한 개념으로서, 고전적 조건형성이 단지 조건 자극이 올 때까지 기다리고 그다음에 무조건 자극을 제공받는 수동적 조건형성인 반면에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은 적극적으로 먼저 어떤 일(반응)을 한 다음 그 반응...[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CONTENTS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
I.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II. 조작적 조건형성의 법칙
III. 조작적 조건형성 실험
IV. 강화의 개념과 종류
1. 정적 강화, 부적 강화 및 처벌
2. 조건 강화
3. 부분 강화
4. 강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
V. 행동조성
VI.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참고문헌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
I.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스키너(B. F. Skinner)가 도입한 개념으로서, 고전적 조건형성이 단지 조건 자극이 올 때까지 기다리고 그다음에 무조건 자극을 제공받는 수동적 조건형성인 반면에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은 적극적으로 먼저 어떤 일(반응)을 한 다음 그 반응에 대해 강화(reinforcement)를 받아서 반응 확률이 증가되는 것을 말한다. 조작적 조건형성에서 반응은 반응적 반응이 아니라 자기가 외재를 조작하는 조작적 행동(operant behavior)을 의미한다. 반응적 행동(respondent behavior)이란 고전적 조건형성에서의 무조건 자극과 같이 자극에 대한 직접적 반응으로서 타액 분비, 빛에 대한 동공 수축, 슬개건을 때렸을 때 무릎을 뻗는 반응 등을 말한다. 그러나 조작적 조건형성에서의 조작적 행동이란 특수 자극에 대한 반응이라기보다는 자발적으로 나타난 반응으로서 세상에 대해 조작하는 행동이다. 대개의 수의적 행동은 조작적 행동이다.
II. 조작적 조건형성의 법적
조작적 조건형성에 관한 연구는 손다이크(Thorndike)에 의한 일련의 실험들로 시작되었다. 다윈(Darwin)의 진화론에 많은 영향을 받은 손다이크는 동물의 학습이 인간의 학습과 같이 연속적인 것이라는 것을 증명하려고 노력하였는데, 그 전형적 실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배고픈 고양이를 우리에 두는데, 그 문은 간단한 빗장에 의해 꼭 닫혀있고 생선 조각이 우리 바로 밖에 놓여 있다. 처음에 고양이는 쇠창살 밖으로 앞발을 뻗어 음식에 도달하려고 노력한다. 이것이 실패하면 고양이는 우리를 왔다 갔다 하면서 다양한 행동을 수행한다. 특정 시점에서 고양이는 부지불식간에 빗장을 건드려 밖으로 나오며 생선을 먹게 된다. 그다음에 연구자들은 고양이를 다시 우리 속에 집어넣고 밖에다 새로운 생선 조각을 놓는다. 고양이는 또다시 우연히 빗장을 건드리게 될 때까지 대체로 동일한 일련의 행동을 한다. 이 절차는 거듭 반복되며 시행 이 거듭됨에 따라 고양이는 무관한 행동 중의 많은 것을 버리게 되고, 종국에는 우리 속에 두자마자 효율적으로 빗장을 열고서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 고양이는 음식을 얻기 위해 빗장을 여는 것을 학습해 온 것이다. 마치 고양이가 지적으로 행동하고 있는 것처럼 들릴지도 모르지만, 손다이크는 여기서 작용되고 있는 `지능`은 거의 없다고 주장하였다. 시간상 고양이가 이 문제의 해답에 관해 어떤 통찰을 가지고 있는 것 같은 순간은 전혀 없었다. 그보다 고양이의 수행은 시행에 따라 점차 개선되고 있다. 설사 한 시점에서 실험자가 고양이의 앞발을 빗장 위에 올려놓고 빗장을 아래로 밀음으로써 해답을 시범 보이더라도 고양이의 진보는 계속 느리다. 고양이는 통찰보다는 시행착오(trial and error) 행동을 하고 있는 것이며, 어떤 보상이나 긍정적 효과가 이러한 행동 중 하나 뒤에 즉각적으로 따를 때 그 행동의 학습이 강화된다. 손다이크는 이러한 보상받은 행동이 다시 일어나는 경향을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이라고 하였다. 그는 조작적 학습에서 효과의 법칙은 한 세트의 무작위적 반응 중에서 긍정적 결과가 뒤따르는 반응만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 과정은 진화와 유사한데, 적자생존(survival of the fittest)의 법칙은 한 세트의 무작위적 종들 중에서 어떤 특정 종
고양이는 통찰보다는 시행착오(trial and error) 행동을 하고 있는 것이며, 어떤 보상이나 긍정적 효과가 이러한 행동 중 하나 뒤에 즉각적으로 따를 때 그 행동의 학습이 강화된다. 행동조성 VI.조작적 조건화 자료등록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자료 HR . 설사 한 시점에서 실험자가 고양이의 앞발을 빗장 위에 올려놓고 빗장을 아래로 밀음으로써 해답을 시범 보이더라도 고양이의 진보는 계속 느리다. 조작적 조건형성의 법칙 III. 다윈(Darwin)의 진화론에 많은 영향을 받은 손다이크는 동물의 학습이 인간의 학습과 같이 연속적인 것이라는 것을 증명하려고 노력하였는데, 그 전형적 실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강화의 개념과 종류 1. 처음에 고양이는 쇠창살 밖으로 앞발을 뻗어 음식에 도달하려고 노력한다. F. 반응적 행동(respondent behavior)이란 고전적 조건형성에서의 무조건 자극과 같이 자극에 대한 직접적 반응으로서 타액 분비, 빛에 대한 동공 수축, 슬개건을 때렸을 때 무릎을 뻗는 반응 등을 말한다.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참고문헌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 I. 이 고양이는 음식을 얻기 위해 빗장을 여는 것을 학습해 온 것이다.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참고문헌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 I. 그다음에 연구자들은 고양이를 다시 우리 속에 집어넣고 밖에다 새로운 생선 조각을 놓는다. 조작적 조건형성 실험 IV. II. 대개의 수의적 행동은 조작적 행동이다. 정적 강화, 부적 강화 및 처벌 2.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참고문헌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 I.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II. 조작적 조건형성에서 반응은 반응적 반응이 아니라 자기가 외재를 조작하는 조작적 행동(operant behavior)을 의미한다. 부분 강화 4. 이 고양이는 음식을 얻기 위해 빗장을 여는 것을 학습해 온 것이다. 조작적 조건형성의 법적 조작적 조건형성에 관한 연구는 손다이크(Thorndike)에 의한 일련의 실험들로 시작되었다. 조작적 조건화 자료등록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자료 HR . 강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 V. 강화의 개념과 종류 1. 처음에 고양이는 쇠창살 밖으로 앞발을 뻗어 음식에 도달하려고 노력한다. 행동조성 VI... F. 조작적 조건화 자료등록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자료 HR . 반응적 행동(respondent behavior)이란 고전적 조건형성에서의 무조건 자극과 같이 자극에 대한 직접적 반응으로서 타액 분비, 빛에 대한 동공 수축, 슬개건을 때렸을 때 무릎을 뻗는 반응 등을 말한다. 조작적 조건화 자료등록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자료 HR . 마치 고양이가 지적으로 행동하고 있는 것처럼 들릴지도 모르지만, 손다이크는 여기서 작용되고 있는 `지능`은 거의 없다고 주장하였다.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II.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스키너(B. 고양이는 또다시 우연히 빗장을 건드리게 될 때까지 대체로 동일한 일련의 행동을 한다. 행동조성 VI. Skinner)가 도입한 개념으로서, 고전적 조건형성이 단지 조건 자극이 올 때까지 기다리고 그다음에 무조건 자극을 제공받는 수동적 조건형성인 반면에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은 적극적으로 먼저 어떤 일(반응)을 한 다음 그 반응에 대해 강화(reinforcement)를 받아서 반응 확률이 증가되는 것을 말한다. 조작적 조건화 자료등록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자료 HR . 배고픈 고양이를 우리에 두는데, 그 문은 간단한 빗장에 의해 꼭 닫혀있고 생선 조각이 우리 바로 밖에 놓여 있다. 조작적 조건형성의 법적 조작적 조건형성에 관한 연구는 손다이크(Thorndike)에 의한 일련의 실험들로 시작되었다. 강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 V. 조작적 조건형성 실험 IV.[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CONTENTS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 I. 조작적 조건형성 실험 IV. 이 과정은 진화와 유사한데, 적자생존(survival of the fittest)의 법칙은 한 세트의 무작위적 종들 중에서 어떤 특정 종. 강화의 개념과 종류 1. 그러나 조작적 조건형성에서의 조작적 행동이란 특수 자극에 대한 반응이라기보다는 자발적으로 나타난 반응으로서 세상에 대해 조작하는 행동이다. 대개의 수의적 행동은 조작적 행동이다. 특정 시점에서 고양이는 부지불식간에 빗장을 건드려 밖으로 나오며 생선을 먹게 된. 행동조성 VI. 설사 한 시점에서 실험자가 고양이의 앞발을 빗장 위에 올려놓고 빗장을 아래로 밀음으로써 해답을 시범 보이더라도 고양이의 진보는 계속 느리다. 조건 강화 3. 조작적 조건형성의 법칙 III. 조건 강화 3. 조작적 조건화 자료등록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자료 HR . 고양이는 또다시 우연히 빗장을 건드리게 될 때까지 대체로 동일한 일련의 행동을 한다.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II. 그다음에 연구자들은 고양이를 다시 우리 속에 집어넣고 밖에다 새로운 생선 조각을 놓는다. 강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 V.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II. Skinner)가 도입한 개념으로서, 고전적 조건형성이 단지 조건 자극이 올 때까지 기다리고 그다음에 무조건 자극을 제공받는 수동적 조건형성인 반면에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은 적극적으로 먼저 어떤 일(반응)을 한 다음 그 반응에 대해 강화(reinforcement)를 받아서 반응 확률이 증가되는 것을 말한다. F. Skinner)가 도입한 개념으로서, 고전적 조건형성이 단지 조건 자극이 올 때까지 기다리고 그다음에 무조건 자극을 제공받는 수동적 조건형성인 반면에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은 적극적으로 먼저 어떤 일(반응)을 한 다음 그 반응. 조작적 조건형성에서 반응은 반응적 반응이 아니라 자기가 외재를 조작하는 조작적 행동(operant behavior)을 의미한다. 그는 조작적 학습에서 효과의 법칙은 한 세트의 무작위적 반응 중에서 긍정적 결과가 뒤따르는 반응만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참고문헌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 I. 손다이크는 이러한 보상받은 행동이 다시 일어나는 경향을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이라고 하였다.. 그는 조작적 학습에서 효과의 법칙은 한 세트의 무작위적 반응 중에서 긍정적 결과가 뒤따르는 반응만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고양이는 통찰보다는 시행착오(trial and error) 행동을 하고 있는 것이며, 어떤 보상이나 긍정적 효과가 이러한 행동 중 하나 뒤에 즉각적으로 따를 때 그 행동의 학습이 강화된다. 그보다 고양이의 수행은 시행에 따라 점차 개선되고 있다.. 부분 강화 4. 조작적 조건화 자료등록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자료 HR . 조작적 조건형성 실험 IV. 부분 강화 4.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스키너(B. 배고픈 고양이를 우리에 두는데, 그 문은 간단한 빗장에 의해 꼭 닫혀있고 생선 조각이 우리 바로 밖에 놓여 있다. 마치 고양이가 지적으로 행동하고 있는 것처럼 들릴지도 모르지만, 손다이크는 여기서 작용되고 있는 `지능`은 거의 없다고 주장하였다. 이 절차는 거듭 반복되며 시행 이 거듭됨에 따라 고양이는 무관한 행동 중의 많은 것을 버리게 되고, 종국에는 우리 속에 두자마자 효율적으로 빗장을 열고서 밖으로 나오게 된다. F. 이것이 실패하면 고양이는 우리를 왔다 갔다 하면서 다양한 행동을 수행한다. 조작적 조건화 자료등록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자료 HR . 그보다 고양이의 수행은 시행에 따라 점차 개선되고 있다. 손다이크는 이러한 보상받은 행동이 다시 일어나는 경향을 효과의 법칙(law of effect)이라고 하였다. 강화의 개념과 종류 1... 조작적 조건화 자료등록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자료 HR . 조건 강화 3. 정적 강화, 부적 강화 및 처벌 2. 이 과정은 진화와 유사한데, 적자생존(survival of the fittest)의 법칙은 한 세트의 무작위적 종들 중에서 어떤 특정 종. 부분 강화 4. 이것이 실패하면 고양이는 우리를 왔다 갔다 하면서 다양한 행동을 수행한다. 시간상 고양이가 이 문제의 해답에 관해 어떤 통찰을 가지고 있는 것 같은 순간은 전혀 없었다. 시간상 고양이가 이 문제의 해답에 관해 어떤 통찰을 가지고 있는 것 같은 순간은 전혀 없었다. 조작적 조건형성의 법칙 III. 정적 강화, 부적 강화 및 처벌 2. 조건 강화 3. 강화에 영향을 주는 변수 V. 정적 강화, 부적 강화 및 처벌 2. 조작적 조건화 자료등록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자료 HR . 조작적 조건화 자료등록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자료 HR . 그러나 조작적 조건형성에서의 조작적 행동이란 특수 자극에 대한 반응이라기보다는 자발적으로 나타난 반응으로서 세상에 대해 조작하는 행동이다.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스키너(B. 작적 조건화 자료등록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CONTENTS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 I.. II.[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CONTENTS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 I. 조작적 조건화 자료등록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자료 HR .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 스키너(B. 이 절차는 거듭 반복되며 시행 이 거듭됨에 따라 고양이는 무관한 행동 중의 많은 것을 버리게 되고, 종국에는 우리 속에 두자마자 효율적으로 빗장을 열고서 밖으로 나오게 된다. 특정 시점에서 고양이는 부지불식간에 빗장을 건드려 밖으로 나오며 생선을 먹게 된 작적 조건화 자료등록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의 개념과 원리(법칙), 조작적 조건형성실험, 강화의 개념과 종류,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형성의 비교 CONTENTS [조작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 I. 조작적 조건형성의 법칙 III. Skinner)가 도입한 개념으로서, 고전적 조건형성이 단지 조건 자극이 올 때까지 기다리고 그다음에 무조건 자극을 제공받는 수동적 조건형성인 반면에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은 적극적으로 먼저 어떤 일(반응)을 한 다음 그 반응. 다윈(Darwin)의 진화론에 많은 영향을 받은 손다이크는 동물의 학습이 인간의 학습과 같이 연속적인 것이라는 것을 증명하려고 노력하였는데, 그 전형적 실험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