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 시골 강독사들은 독자들의 지루해 한다고 판단되면 강독을 멈추고 민요가락 등을 노래해서 독자들의 관심을 유도했다. 강독사는 소설의 내용에 따라 메나리조 또는 흥타령 등 여러 가락과 함께 억양의 변화를 주어서 소설의 내용과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로록 유의했다.옛이야기꾼의 유형 2.강담사 강창사 강독사 3. 강창사 이른바 판소리 꾼을 말함 강담사보다 훨씬 더 직업적으로 활동한 전문 예능인 고수의 북 장단에 맞춰 고담을 창과 아니리로 풀어나감 19c 명성을 떨친 소리광대로는 고수관,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소대성전> <살인귀전>, 하루는 장사를 해서 큰 부자가 된 종실의 노인에게 초대받아 가서 이야기를 들려주고 노인으로부터 후한 상을 받았다고 했다. 강독사와 소설 유통과의 관계 “옛이야기꾼”의 유형 강담사 강창사 강독사 담화조로 구수하게 이야기 함 이야기를 소리와 아니리로 구연 고소설을 이야기 분위기로 어울리는 소리로 읽어줌 강담사 흔히 “이야기 보따리”라고 지칭하는 전문이야기꾼 ......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제 1장 “옛이야기꾼”그는 누구인가?
목차
1.옛이야기꾼의 유형
2.강담사
강창사
강독사
3. 강독사의 전성시대
4. 도시의 강독사와 시골의 강독사 비교
5. 강독사와 소설 유통과의 관계
“옛이야기꾼”의 유형
강담사
강창사
강독사
담화조로 구수하게 이야기 함
이야기를 소리와 아니리로 구연
고소설을 이야기 분위기로 어울리는 소리로 읽어줌
강담사
흔히 “이야기 보따리”라고 지칭하는 전문이야기꾼
약주름, 활터, 주막등에서 구전되던 이야기를 입심 좋게 청중들에게 들려주는 사람
전문 이야기꾼으로는 오물음,김중진,김옹,민옹, 윤영
김옹, 윤영 - 단순히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조롱하고 풍속을 깨우치는 감계의 뜻을 전하기도 했다. 청중에게 이야기의 즐거움도 제공했지만, 이야기를 통해서 현실 세게를 기롱하면서 자신의 세계관을 들어 내기도 하였다.
오물음 - 고담을 잘해서 도시의 재상가의 집에 출입을 했는데, 하루는 장사를 해서 큰 부자가 된 종실의 노인에게 초대받아 가서 이야기를 들려주고 노인으로부터 후한 상을 받았다고 했다.
20세기 시골 강담사들은 단순히 고담만을 들려 준 것이 아니라 지방을 돌아다니면서 사랑에서 동학군의 활약상을 이야기로 꾸며 시골 청중들에게 들려줌으러써 민족 주체성을 확산하는 데 기여했다.
강창사
이른바 판소리 꾼을 말함
강담사보다 훨씬 더 직업적으로 활동한 전문 예능인
고수의 북 장단에 맞춰 고담을 창과 아니리로 풀어나감
19c 명성을 떨친 소리광대로는 고수관, 송흥록, 염계달, 모흥갑 등
신분은 천민이었으니 지배계층으로부터 재능을 인정받아 예술인으로서 신분 상승 실현
지배계급이 청중인 경우에는 대게 궁증을 비롯해서 관가, 양반 사랑, 과거급제자 놀이판등이다.
일반 서민들을 상대해서도 추수때나, 고기잡이 철이면 이들은 농어촌에서도 공연을 했다.
보통때는 시정의 사람들이 모이는 저자거리, 마을 느티나무 아래 또는 활터나 정자 앞에서 공연을 했고, 뿐만 아니라 성황굿, 도당굿, 당굿, 별신굿 등 마을 굿이 벌어지는 곳이나 사찰 같은 곳에서도 공연이 이루어졌다.
강독사
흔히 전기수라고도 함
사람들은 모아 놓고 고소설책을 읽어주던 사람
가정으로 초대되어 소설 강독을 했지만 서울에서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영웅소설 등을 읽어 줌
요전법 : 읽다가 심히 간절하여 들을 만한 대목에 돈을 요구하기 위해 읽기를 멈추는 것을 말함
시골에는 세책방이 없었고 행세하는 이장님이나 서방님 댁에서 얻어다 읽었다고 했다.
옛 기록에 의하면 시골 사람들은 겨울에 농한기가 되니 동네 사람들이 마실을 와서 사랑방에서 새끼를 꼬면서 이야기책 읽는 소리를 듣고 무릎을 치면서 즐거워 했다고 한다.
18c - 강독사의 전성시대
현실의 세계로 착각해서 우발적인 사고를 일으킬 만큼 강독 기교가 대단했음
예) 한 남자가 종로 담배 가게에서 어떤 사람이 패사읽는 것을 듣다가 영웅이 심히 실의에 빠져 있는 곳에 갑자기 눈을 부릅뜨고 입에 거품을 품더니 가지고 있던 담배 써는 칼로 패사를 읽던 이를 쳐서 그 자리에서 숨지게 했다.
여성 독자들의 급증으로 화장을 하거나, 여성들의 언문 필체를 익히고, 의원이나 방물장수로 행세하는 등 위장도 했음 특히 이러한 여성 독자들이 많았기 때문에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기도 함
예) 중과 결탁하여 불공과 기도에 참여 하면서 여성 독자들은 유혹해서 간음한 일도 있었고 부모들이 잠시 집을 비운사이 그 집 딸을 겁탈하였다고 하였다.
주 소설은 <숙향전>,<소대성전>
<살인귀전>,<임경업전>등 영웅소설 계열
영웅 소설들이 독자의 흥미를 자아내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소설의 주인공이 절박한 상황에 빠지고 나면 독자들이 그 뒤의 상황을 궁금해 하는 대목에서 요전법을 쓰기에도 적절한 작픔이기 때문
뿐만 아니라 그 당시 독자들은 이런 소설을 통해서 자신들의 삶에서 겪고 있는 심리적 갈등을 해고하는 방안의 하나로 소설의 주인공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일종의 심리기재로 활용 하고 있었기 때문
도시의 강도사 VS 시골의 강독사
시골의 강독사는 전문적인 이야기꾼이라 할지라도, 도시의 강독사처럼 직업적이지 않았다.
강독의 독자들은 <춘향전>처럼 장면 묘사가 많은 소설은 잔소리가 많다고 하여 인기가 없었고, 오히려 사건의 전개로 이루어진 군담 영웅소설이 인기가 있었다.
강독사는 소설의 내용에 따라 메나리조 또는 흥타령 등 여러 가락과 함께 억양의 변화를 주어서 소설의 내용과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로록 유의했다.
도시의 강독사들은 오락성에 더 관심을 두었지만, 시골의 강독사들은 배움의 공유에 더 관심을 두었다.
도시의 강독사들은 이야기의 절정 대목에서 요전법을 쓸 정도로 독자의 흥미를 유발했지만, 시골 강독사들은 독자들의 지루해 한다고 판단되면 강독을 멈추고 민요가락 등을 노래해서 독자들의 관심을 유도했다.
인형극
강독사의 극과극
#1 ? 강독사의 죽음
#2 ? 강독사의 사회적 문제
제 2장 강독사와 소설의 유통관계
-3조-
200320219 이지현
200421640 김찬서
2004 21802 홍원표
2007 20895 조영주
200720849 유지연
강독사와 소설의 유통 관계
글을 모르는 독자들을 위해 강독사의 활동 활발(듣는 독자)
17c
중국 소설의 유입과 함께 국문소설이 본격적 요소로 시작
18c
소설 독자층의 확대로 세책방의 등장( 소설의 상품화)
독자의 영역 확대에 따른 소설의 확산효과를 가져옴
강독사의 활동
선정★★★★★) 김한유)(2012년 등록 SB 이해 인물 분석 SB 이야기꾼에 분석 (강독사 대한 강담사 분석 이야기꾼에 이해 우수 인물 봉원호 우수 강담사 대한 보고서-조재의 분석 레포트 추천 레포트 분석 대한 이해 김한유)(2012년 인물 이야기꾼에 봉원호 옛 SB 옛 우수 강담사 옛 선정★★★★★) 레포트 등록 추천 보고서-조재의 (강독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강독사 등록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선정★★★★★)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등록 RM . 강독사의 전성시대 4.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등록 RM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제 1장 “옛이야기꾼”그는 누구인가? 목차 1. 오물음 - 고담을 잘해서 도시의 재상가의 집에 출입을 했는데, 하루는 장사를 해서 큰 부자가 된 종실의 노인에게 초대받아 가서 이야기를 들려주고 노인으로부터 후한 상을 받았다고 했다.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등록 RM .옛이야기꾼의 유형 2. 인형극 강독사의 극과극 #1 ? 강독사의 죽음 #2 ? 강독사의 사회적 문제 제 2장 강독사와 소설의 유통관계 -3조- 200320219 이지현 200421640 김찬서 2004 21802 홍원표 2007 20895 조영주 200720849 유지연 강독사와 소설의 유통 관계 글을 모르는 독자들을 위해 강독사의 활동 활발(듣는 독자) 17c 중국 소설의 유입과 함께 국문소설이 본격적 요소로 시작 18c 소설 독자층의 확대로 세책방의 등장( 소설의 상품화) 독자의 영역 확대에 따른 소설의 확산효과를 가져옴 강독사의 활동.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등록 RM . 강독사와 소설 유통과의 관계 “옛이야기꾼”의 유형 강담사 강창사 강독사 담화조로 구수하게 이야기 함 이야기를 소리와 아니리로 구연 고소설을 이야기 분위기로 어울리는 소리로 읽어줌 강담사 흔히 “이야기 보따리”라고 지칭하는 전문이야기꾼 약주름, 활터, 주막등에서 구전되던 이야기를 입심 좋게 청중들에게 들려주는 사람 전문 이야기꾼으로는 오물음,김중진,김옹,민옹, 윤영 김옹, 윤영 - 단순히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조롱하고 풍속을 깨우치는 감계의 뜻을 전하기도 했다. 여성 독자들의 급증으로 화장을 하거나, 여성들의 언문 필체를 익히고, 의원이나 방물장수로 행세하는 등 위장도 했음 특히 이러한 여성 독자들이 많았기 때문에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기도 함 예) 중과 결탁하여 불공과 기도에 참여 하면서 여성 독자들은 유혹해서 간음한 일도 있었고 부모들이 잠시 집을 비운사이 그 집 딸을 겁탈하였다고 하였 강담사 강창사 강독사 3. 주 소설은 <숙향전>,<소대성전> <살인귀전>,<임경업전>등 영웅소설 계열 영웅 소설들이 독자의 흥미를 자아내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소설의 주인공이 절박한 상황에 빠지고 나면 독자들이 그 뒤의 상황을 궁금해 하는 대목에서 요전법을 쓰기에도 적절한 작픔이기 때문 뿐만 아니라 그 당시 독자들은 이런 소설을 통해서 자신들의 삶에서 겪고 있는 심리적 갈등을 해고하는 방안의 하나로 소설의 주인공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일종의 심리기재로 활용 하고 있었기 때문 도시의 강도사 VS 시골의 강독사 시골의 강독사는 전문적인 이야기꾼이라 할지라도, 도시의 강독사처럼 직업적이지 않았다. 청중에게 이야기의 즐거움도 제공했지만, 이야기를 통해서 현실 세게를 기롱하면서 자신의 세계관을 들어 내기도 하였다.. 강독사는 소설의 내용에 따라 메나리조 또는 흥타령 등 여러 가락과 함께 억양의 변화를 주어서 소설의 내용과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로록 유의했다. 강독사 흔히 전기수라고도 함 사람들은 모아 놓고 고소설책을 읽어주던 사람 가정으로 초대되어 소설 강독을 했지만 서울에서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영웅소설 등을 읽어 줌 요전법 : 읽다가 심히 간절하여 들을 만한 대목에 돈을 요구하기 위해 읽기를 멈추는 것을 말함 시골에는 세책방이 없었고 행세하는 이장님이나 서방님 댁에서 얻어다 읽었다고 했다. 옛 기록에 의하면 시골 사람들은 겨울에 농한기가 되니 동네 사람들이 마실을 와서 사랑방에서 새끼를 꼬면서 이야기책 읽는 소리를 듣고 무릎을 치면서 즐거워 했다고 한다.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등록 RM . 오물음 - 고담을 잘해서 도시의 재상가의 집에 출입을 했는데, 하루는 장사를 해서 큰 부자가 된 종실의 노인에게 초대받아 가서 이야기를 들려주고 노인으로부터 후한 상을 받았다고 했다. 20세기 시골 강담사들은 단순히 고담만을 들려 준 것이 아니라 지방을 돌아다니면서 사랑에서 동학군의 활약상을 이야기로 꾸며 시골 청중들에게 들려줌으러써 민족 주체성을 확산하는 데 기여했다. 18c - 강독사의 전성시대 현실의 세계로 착각해서 우발적인 사고를 일으킬 만큼 강독 기교가 대단했음 예) 한 남자가 종로 담배 가게에서 어떤 사람이 패사읽는 것을 듣다가 영웅이 심히 실의에 빠져 있는 곳에 갑자기 눈을 부릅뜨고 입에 거품을 품더니 가지고 있던 담배 써는 칼로 패사를 읽던 이를 쳐서 그 자리에서 숨지게 했다. 도시의 강독사와 시골의 강독사 비교 5. 강독의 독자들은 <춘향전>처럼 장면 묘사가 많은 소설은 잔소리가 많다고 하여 인기가 없었고, 오히려 사건의 전개로 이루어진 군담 영웅소설이 인기가 있었다. 여성 독자들의 급증으로 화장을 하거나, 여성들의 언문 필체를 익히고, 의원이나 방물장수로 행세하는 등 위장도 했음 특히 이러한 여성 독자들이 많았기 때문에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기도 함 예) 중과 결탁하여 불공과 기도에 참여 하면서 여성 독자들은 유혹해서 간음한 일도 있었고 부모들이 잠시 집을 비운사이 그 집 딸을 겁탈하였다고 하였. 강독의 독자들은 <춘향전>처럼 장면 묘사가 많은 소설은 잔소리가 많다고 하여 인기가 없었고, 오히려 사건의 전개로 이루어진 군담 영웅소설이 인기가 있었다.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등록 RM .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등록 RM . 강창사 이른바 판소리 꾼을 말함 강담사보다 훨씬 더 직업적으로 활동한 전문 예능인 고수의 북 장단에 맞춰 고담을 창과 아니리로 풀어나감 19c 명성을 떨친 소리광대로는 고수관, 송흥록, 염계달, 모흥갑 등 신분은 천민이었으니 지배계층으로부터 재능을 인정받아 예술인으로서 신분 상승 실현 지배계급이 청중인 경우에는 대게 궁증을 비롯해서 관가, 양반 사랑, 과거급제자 놀이판등이다.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등록 RM . 보통때는 시정의 사람들이 모이는 저자거리, 마을 느티나무 아래 또는 활터나 정자 앞에서 공연을 했고, 뿐만 아니라 성황굿, 도당굿, 당굿, 별신굿 등 마을 굿이 벌어지는 곳이나 사찰 같은 곳에서도 공연이 이루어졌다. 도시의 강독사와 시골의 강독사 비교 5.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등록 RM . 도시의 강독사들은 이야기의 절정 대목에서 요전법을 쓸 정도로 독자의 흥미를 유발했지만, 시골 강독사들은 독자들의 지루해 한다고 판단되면 강독을 멈추고 민요가락 등을 노래해서 독자들의 관심을 유도했다. 일반 서민들을 상대해서도 추수때나, 고기잡이 철이면 이들은 농어촌에서도 공연을 했다.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등록 RM . 도시의 강독사들은 오락성에 더 관심을 두었지만, 시골의 강독사들은 배움의 공유에 더 관심을 두었다.옛이야기꾼의 유형 2.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등록 RM . 보통때는 시정의 사람들이 모이는 저자거리, 마을 느티나무 아래 또는 활터나 정자 앞에서 공연을 했고, 뿐만 아니라 성황굿, 도당굿, 당굿, 별신굿 등 마을 굿이 벌어지는 곳이나 사찰 같은 곳에서도 공연이 이루어졌다. 강창사 이른바 판소리 꾼을 말함 강담사보다 훨씬 더 직업적으로 활동한 전문 예능인 고수의 북 장단에 맞춰 고담을 창과 아니리로 풀어나감 19c 명성을 떨친 소리광대로는 고수관, 송흥록, 염계달, 모흥갑 등 신분은 천민이었으니 지배계층으로부터 재능을 인정받아 예술인으로서 신분 상승 실현 지배계급이 청중인 경우에는 대게 궁증을 비롯해서 관가, 양반 사랑, 과거급제자 놀이판등이다. 인형극 강독사의 극과극 #1 ? 강독사의 죽음 #2 ? 강독사의 사회적 문제 제 2장 강독사와 소설의 유통관계 -3조- 200320219 이지현 200421640 김찬서 2004 21802 홍원표 2007 20895 조영주 200720849 유지연 강독사와 소설의 유통 관계 글을 모르는 독자들을 위해 강독사의 활동 활발(듣는 독자) 17c 중국 소설의 유입과 함께 국문소설이 본격적 요소로 시작 18c 소설 독자층의 확대로 세책방의 등장( 소설의 상품화) 독자의 영역 확대에 따른 소설의 확산효과를 가져옴 강독사의 활동. 강독사의 전성시대 4.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등록 RM . 도시의 강독사들은 이야기의 절정 대목에서 요전법을 쓸 정도로 독자의 흥미를 유발했지만, 시골 강독사들은 독자들의 지루해 한다고 판단되면 강독을 멈추고 민요가락 등을 노래해서 독자들의 관심을 유도했다. 주 소설은 <숙향전>,<소대성전> <살인귀전>,<임경업전>등 영웅소설 계열 영웅 소설들이 독자의 흥미를 자아내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소설의 주인공이 절박한 상황에 빠지고 나면 독자들이 그 뒤의 상황을 궁금해 하는 대목에서 요전법을 쓰기에도 적절한 작픔이기 때문 뿐만 아니라 그 당시 독자들은 이런 소설을 통해서 자신들의 삶에서 겪고 있는 심리적 갈등을 해고하는 방안의 하나로 소설의 주인공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일종의 심리기재로 활용 하고 있었기 때문 도시의 강도사 VS 시골의 강독사 시골의 강독사는 전문적인 이야기꾼이라 할지라도, 도시의 강독사처럼 직업적이지 않았다. 강담사 강창사 강독사 3. 옛 기록에 의하면 시골 사람들은 겨울에 농한기가 되니 동네 사람들이 마실을 와서 사랑방에서 새끼를 꼬면서 이야기책 읽는 소리를 듣고 무릎을 치면서 즐거워 했다고 한다. 청중에게 이야기의 즐거움도 제공했지만, 이야기를 통해서 현실 세게를 기롱하면서 자신의 세계관을 들어 내기도 하였다. 강독사 흔히 전기수라고도 함 사람들은 모아 놓고 고소설책을 읽어주던 사람 가정으로 초대되어 소설 강독을 했지만 서울에서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 영웅소설 등을 읽어 줌 요전법 : 읽다가 심히 간절하여 들을 만한 대목에 돈을 요구하기 위해 읽기를 멈추는 것을 말함 시골에는 세책방이 없었고 행세하는 이장님이나 서방님 댁에서 얻어다 읽었다고 했다.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옛 이야기꾼에 대한 이해 인물 분석 (강독사, 강담사 분석 보고서-조재의, 봉원호, 김한유)(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제 1장 “옛이야기꾼”그는 누구인가? 목차 1. 강독사는 소설의 내용에 따라 메나리조 또는 흥타령 등 여러 가락과 함께 억양의 변화를 주어서 소설의 내용과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로록 유의했다. 18c - 강독사의 전성시대 현실의 세계로 착각해서 우발적인 사고를 일으킬 만큼 강독 기교가 대단했음 예) 한 남자가 종로 담배 가게에서 어떤 사람이 패사읽는 것을 듣다가 영웅이 심히 실의에 빠져 있는 곳에 갑자기 눈을 부릅뜨고 입에 거품을 품더니 가지고 있던 담배 써는 칼로 패사를 읽던 이를 쳐서 그 자리에서 숨지게 했다. 도시의 강독사들은 오락성에 더 관심을 두었지만, 시골의 강독사들은 배움의 공유에 더 관심을 두었다. 20세기 시골 강담사들은 단순히 고담만을 들려 준 것이 아니라 지방을 돌아다니면서 사랑에서 동학군의 활약상을 이야기로 꾸며 시골 청중들에게 들려줌으러써 민족 주체성을 확산하는 데 기여했다. 일반 서민들을 상대해서도 추수때나, 고기잡이 철이면 이들은 농어촌에서도 공연을 했다. 강독사와 소설 유통과의 관계 “옛이야기꾼”의 유형 강담사 강창사 강독사 담화조로 구수하게 이야기 함 이야기를 소리와 아니리로 구연 고소설을 이야기 분위기로 어울리는 소리로 읽어줌 강담사 흔히 “이야기 보따리”라고 지칭하는 전문이야기꾼 약주름, 활터, 주막등에서 구전되던 이야기를 입심 좋게 청중들에게 들려주는 사람 전문 이야기꾼으로는 오물음,김중진,김옹,민옹, 윤영 김옹, 윤영 - 단순히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이 아니라 세상을 조롱하고 풍속을 깨우치는 감계의 뜻을 전하기도 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