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자신의 취미는 끝없는, 함께 살아가는 이웃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고 말하며, 비료를 사오기도하며 여름철이면 서늘한 그늘을 찾아 자리를 옮겨주고, 겨울에는 실내온도를 내리기도 하며 정성을 다해 길러왔다. `조조할인` 스님도 가끔은 문화생활을 즐기려 시내에 간다. 현대의 과학으로 다시 복원된 불국사를 보며 천년 묵은 가람의 그 분위기가 어디론지 자치를 감추고 말았다며 서운해 하고 있다. 이따금 너무 빨리 오거나 늦게 오면 배가 떠났거나 한참을 기다려야 할 때가 있다. 그 때 스님은 이것이 집착이라는 것을 깨닫고 집착에서 벗어나야겠다고 결심하고 다른 친구에게 난초를 준다. 바람직한 취미라면 나만이 즐기기보다 고결한 인품을 키우고 생의 의미를 깊게 하여, 듬성듬성 앉아있는 여유 공간에 있을 수 있어서 좋다고 한다. 수연스님은 항상 자기 뜻을 내세우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따르려고 했다. 이에 법정스님은 사소한 것 하나도 놓치지 않는 수연스님을 통해 깨달음을 ......
독후감,감상문 올립니다 독후감 올립니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독후감,감상문][독후감]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일상생활에서 얻는 교훈
-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복원 불국사` 법정스님이 초가을에 경주에 있는 불국사에 갔다가 느낀 점을 적은 것이다. 현대의 과학으로 다시 복원된 불국사를 보며 천년 묵은 가람의 그 분위기가 어디론지 자치를 감추고 말았다며 서운해 하고 있다.
`나의 취미는` ‘골프’라는 취미는 우리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없는 특수 계층만의 취미며 오락이라고 말하고 있다. 바람직한 취미라면 나만이 즐기기보다 고결한 인품을 키우고 생의 의미를 깊게 하여, 함께 살아가는 이웃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고 말하며, 오늘 자신의 취미는 끝없는, 끝없는 인내라고 말한다.
`비독서지절` 흔히 가을을 독서의 계절이라고 얘기하지만 법정스님은 맑고 푸르른 가을 날씨에 책만 읽는 것은 결례가 되는 것이라고 했다. 이런 계절에는 외부의 소리보다 자기 안에서 들리는 그 소리에 귀 기울이는 게 제격일 것 같다고 말한다.
`무소유` 법정스님은 3년 전 거처를 다래헌으로 옮겨왔을 때 어떤 스님으로부터 받은 난초를 정성을 다해 길렀다. 난초를 처음 길러본 스님은 관계서적을 구해다 읽기도 하고, 비료를 사오기도하며 여름철이면 서늘한 그늘을 찾아 자리를 옮겨주고, 겨울에는 실내온도를 내리기도 하며 정성을 다해 길러왔다. 그러던 어느 날 봉선사로 운허노사를 뵈러갔다가 난초생각에 허둥지둥 돌아와서 보니 난초의 잎이 축 늘어져 있어 샘물을 길어다 축여주니 겨우 고개를 들었다. 그 때 스님은 이것이 집착이라는 것을 깨닫고 집착에서 벗어나야겠다고 결심하고 다른 친구에게 난초를 준다. 법정스님은 이 난초를 통해 무소유의 의미를 터득하게 된다.
`너무 일찍 나왔군` 서울의 소외지대에는 교통수단이라고는 오로지 나룻배뿐인 동네가 있는데 배를 타고 나가려면 사람이 적당량이상 차야 배를 탈 수 있다. 이따금 너무 빨리 오거나 늦게 오면 배가 떠났거나 한참을 기다려야 할 때가 있다. 그래서 법정스님은 조금 늦을 때마다 ‘너무 일찍 나왔군’ 이라고 생각을 고쳐먹기로 했다.
`종점에서 조명을` 법정스님은 인간의 일상생활은 하나의 반복이며 어제나 오늘이나 대개 비슷비슷한 일을 되풀이 하면서 살아가고 있다고 말하면서 한번쯤 일상이 지겨운 사람들은 때로는 종점에서 자신의 생을 조명해 보는 일도 필요하다고 말한다.
`조조할인` 스님도 가끔은 문화생활을 즐기려 시내에 간다. 그러나 법정스님은 극장 앞에 줄지어 늘어선 장사진, 극장의 퀴퀴하고 밀폐된 느낌을 싫어하는 까닭에 조조할인을 좋아한다. 조조에는 아무데나 앉고 싶은 자리에 앉을 수 있고, 듬성듬성 앉아있는 여유 공간에 있을 수 있어서 좋다고 한다.
`잊을 수 없는 사람` 법정스님이 평생 동안 못 잊고 지내온 사람은 안거 중에 만난 수연스님이다. 수연스님은 항상 자기 뜻을 내세우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따르려고 했다. 나이는 법정스님보다 한 살 어리지만 출가는 한해 빨랐다. 한번은 법정스님이 아파서 시름시름 앓고 있으니까 수연스님이 잠깐 아랫마을에 다녀오겠다고 나가서 밤 열한시 가까이 돼서 들어와서는 약을 마시라고 법정스님에게 주었다. 또 한 번은 버스를 타고 가는데 수연스님이 주머니칼을 꺼내 창틀에서 빠지려는 나사못 두 개를 죄어 놓았다. 이에 법정스님은 사소한 것 하나도 놓치지 않는 수연스님을 통해 깨달음을 얻게 된다.
`소음기행` 법정스님은 오늘날 우리들의 나날을 한마디로 표현해 소음이라고 한다. 우리들의 입에서 나오는 말조차도 언어를 가장한 소음이라고 했다. 한번은 법정스님이 고속버스를 타고 경주를 가던 도중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악소리를 견디다 못해 안내양에게 좀 쉬어가면서 듣자고 했더니 그 안내양이 “다들 좋아하는데 왜 그래요”라고 눈을 흘겼다. 그러면서 스님은 손님들이 낸 요금으로 달리고 있으면서, 카스테레오까지 그 돈으로 돌리면서 손님들의 의사는 전혀 모른 채 하는 오늘날의 상황을 안타까워하며 현대는 정말 피곤한 소음의 시대라고 말한다.
‘무소유’라는 책을 처음 접했던 때가 법정스님이 입적하셨을 때였다. 몇 년 만에 다시 책을 읽으니 처음 읽었을 때와는
`소음기행` 법정스님은 오늘날 우리들의 나날을 한마디로 표현해 소음이라고 한다. 조조에는 아무데나 앉고 싶은 자리에 앉을 수 있고, 듬성듬성 앉아있는 여유 공간에 있을 수 있어서 좋다고 한다. 그래서 법정스님은 조금 늦을 때마다 ‘너무 일찍 나왔군’ 이라고 생각을 고쳐먹기로 했다. 조조에는 아무데나 앉고 싶은 자리에 앉을 수 있고, 듬성듬성 앉아있는 여유 공간에 있을 수 있어서 좋다고 한다. 법정스님은 이 난초를 통해 무소유의 의미를 터득하게 된다. 독후감,감상문 올립니다 독후감 올립니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다운로드 SA . 한번은 법정스님이 아파서 시름시름 앓고 있으니까 수연스님이 잠깐 아랫마을에 다녀오겠다고 나가서 밤 열한시 가까이 돼서 들어와서는 약을 마시라고 법정스님에게 주었다. `잊을 수 없는 사람` 법정스님이 평생 동안 못 잊고 지내온 사람은 안거 중에 만난 수연스님이다. `무소유` 법정스님은 3년 전 거처를 다래헌으로 옮겨왔을 때 어떤 스님으로부터 받은 난초를 정성을 다해 길렀다. `무소유` 법정스님은 3년 전 거처를 다래헌으로 옮겨왔을 때 어떤 스님으로부터 받은 난초를 정성을 다해 길렀다. `너무 일찍 나왔군` 서울의 소외지대에는 교통수단이라고는 오로지 나룻배뿐인 동네가 있는데 배를 타고 나가려면 사람이 적당량이상 차야 배를 탈 수 있다. 독후감,감상문 올립니다 독후감 올립니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다운로드 SA .독후감,감상문 올립니다 독후감 올립니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독후감,감상문][독후감]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일상생활에서 얻는 교훈 -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복원 불국사` 법정스님이 초가을에 경주에 있는 불국사에 갔다가 느낀 점을 적은 것이다. 그러나 법정스님은 극장 앞에 줄지어 늘어선 장사진, 극장의 퀴퀴하고 밀폐된 느낌을 싫어하는 까닭에 조조할인을 좋아한다.. 우리들의 입에서 나오는 말조차도 언어를 가장한 소음이라고 했다.독후감,감상문 올립니다 독후감 올립니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다운로드 SA . 나이는 법정스님보다 한 살 어리지만 출가는 한해 빨랐다. 바람직한 취미라면 나만이 즐기기보다 고결한 인품을 키우고 생의 의미를 깊게 하여, 함께 살아가는 이웃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고 말하며, 오늘 자신의 취미는 끝없는, 끝없는 인내라고 말한다. `나의 취미는` ‘골프’라는 취미는 우리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없는 특수 계층만의 취미며 오락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런 계절에는 외부의 소리보다 자기 안에서 들리는 그 소리에 귀 기울이는 게 제격일 것 같다고 말한다. 한번은 법정스님이 고속버스를 타고 경주를 가던 도중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악소리를 견디다 못해 안내양에게 좀 쉬어가면서 듣자고 했더니 그 안내양이 “다들 좋아하는데 왜 그래요”라고 눈을 흘겼다. 이에 법정스님은 사소한 것 하나도 놓치지 않는 수연스님을 통해 깨달음을 얻게 된다. 또 한 번은 버스를 타고 가는데 수연스님이 주머니칼을 꺼내 창틀에서 빠지려는 나사못 두 개를 죄어 놓았다. 독후감,감상문 올립니다 독후감 올립니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다운로드 SA . 독후감,감상문 올립니다 독후감 올립니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다운로드 SA . 그러던 어느 날 봉선사로 운허노사를 뵈러갔다가 난초생각에 허둥지둥 돌아와서 보니 난초의 잎이 축 늘어져 있어 샘물을 길어다 축여주니 겨우 고개를 들었다. 독후감,감상문 올립니다 독후감 올립니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다운로드 SA . 독후감,감상문 올립니다 독후감 올립니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다운로드 SA . 이따금 너무 빨리 오거나 늦게 오면 배가 떠났거나 한참을 기다려야 할 때가 있다. 독후감,감상문 올립니다 독후감 올립니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다운로드 SA . 난초를 처음 길러본 스님은 관계서적을 구해다 읽기도 하고, 비료를 사오기도하며 여름철이면 서늘한 그늘을 찾아 자리를 옮겨주고, 겨울에는 실내온도를 내리기도 하며 정성을 다해 길러왔다. 현대의 과학으로 다시 복원된 불국사를 보며 천년 묵은 가람의 그 분위기가 어디론지 자치를 감추고 말았다며 서운해 하고 있 몇 년 만에 다시 책을 읽으니 처음 읽었을 때와는. `나의 취미는` ‘골프’라는 취미는 우리 모두가 함께 즐길 수 없는 특수 계층만의 취미며 오락이라고 말하고 있다. ‘무소유’라는 책을 처음 접했던 때가 법정스님이 입적하셨을 때였다. `잊을 수 없는 사람` 법정스님이 평생 동안 못 잊고 지내온 사람은 안거 중에 만난 수연스님이다. `비독서지절` 흔히 가을을 독서의 계절이라고 얘기하지만 법정스님은 맑고 푸르른 가을 날씨에 책만 읽는 것은 결례가 되는 것이라고 했다. `너무 일찍 나왔군` 서울의 소외지대에는 교통수단이라고는 오로지 나룻배뿐인 동네가 있는데 배를 타고 나가려면 사람이 적당량이상 차야 배를 탈 수 있다. 한번은 법정스님이 아파서 시름시름 앓고 있으니까 수연스님이 잠깐 아랫마을에 다녀오겠다고 나가서 밤 열한시 가까이 돼서 들어와서는 약을 마시라고 법정스님에게 주었다. `조조할인` 스님도 가끔은 문화생활을 즐기려 시내에 간다. 그러나 법정스님은 극장 앞에 줄지어 늘어선 장사진, 극장의 퀴퀴하고 밀폐된 느낌을 싫어하는 까닭에 조조할인을 좋아한다. 현대의 과학으로 다시 복원된 불국사를 보며 천년 묵은 가람의 그 분위기가 어디론지 자치를 감추고 말았다며 서운해 하고 있. `종점에서 조명을` 법정스님은 인간의 일상생활은 하나의 반복이며 어제나 오늘이나 대개 비슷비슷한 일을 되풀이 하면서 살아가고 있다고 말하면서 한번쯤 일상이 지겨운 사람들은 때로는 종점에서 자신의 생을 조명해 보는 일도 필요하다고 말한다.. 한번은 법정스님이 고속버스를 타고 경주를 가던 도중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악소리를 견디다 못해 안내양에게 좀 쉬어가면서 듣자고 했더니 그 안내양이 “다들 좋아하는데 왜 그래요”라고 눈을 흘겼다. `종점에서 조명을` 법정스님은 인간의 일상생활은 하나의 반복이며 어제나 오늘이나 대개 비슷비슷한 일을 되풀이 하면서 살아가고 있다고 말하면서 한번쯤 일상이 지겨운 사람들은 때로는 종점에서 자신의 생을 조명해 보는 일도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래서 법정스님은 조금 늦을 때마다 ‘너무 일찍 나왔군’ 이라고 생각을 고쳐먹기로 했다.. 그 때 스님은 이것이 집착이라는 것을 깨닫고 집착에서 벗어나야겠다고 결심하고 다른 친구에게 난초를 준다. 우리들의 입에서 나오는 말조차도 언어를 가장한 소음이라고 했다. `조조할인` 스님도 가끔은 문화생활을 즐기려 시내에 간다. 법정스님은 이 난초를 통해 무소유의 의미를 터득하게 된다. 그러면서 스님은 손님들이 낸 요금으로 달리고 있으면서, 카스테레오까지 그 돈으로 돌리면서 손님들의 의사는 전혀 모른 채 하는 오늘날의 상황을 안타까워하며 현대는 정말 피곤한 소음의 시대라고 말한다. 그러던 어느 날 봉선사로 운허노사를 뵈러갔다가 난초생각에 허둥지둥 돌아와서 보니 난초의 잎이 축 늘어져 있어 샘물을 길어다 축여주니 겨우 고개를 들었다. 독후감,감상문 올립니다 독후감 올립니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다운로드 SA . 난초를 처음 길러본 스님은 관계서적을 구해다 읽기도 하고, 비료를 사오기도하며 여름철이면 서늘한 그늘을 찾아 자리를 옮겨주고, 겨울에는 실내온도를 내리기도 하며 정성을 다해 길러왔다. 수연스님은 항상 자기 뜻을 내세우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따르려고 했다. 이에 법정스님은 사소한 것 하나도 놓치지 않는 수연스님을 통해 깨달음을 얻게 된다. `비독서지절` 흔히 가을을 독서의 계절이라고 얘기하지만 법정스님은 맑고 푸르른 가을 날씨에 책만 읽는 것은 결례가 되는 것이라고 했다. 독후감,감상문 올립니다 독후감 올립니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다운로드 SA .독후감,감상문 올립니다 독후감 올립니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독후감,감상문][독후감]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일상생활에서 얻는 교훈 -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복원 불국사` 법정스님이 초가을에 경주에 있는 불국사에 갔다가 느낀 점을 적은 것이다. 나이는 법정스님보다 한 살 어리지만 출가는 한해 빨랐다. ‘무소유’라는 책을 처음 접했던 때가 법정스님이 입적하셨을 때였다. 이따금 너무 빨리 오거나 늦게 오면 배가 떠났거나 한참을 기다려야 할 때가 있다. 독후감,감상문 올립니다 독후감 올립니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다운로드 SA . 바람직한 취미라면 나만이 즐기기보다 고결한 인품을 키우고 생의 의미를 깊게 하여, 함께 살아가는 이웃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고 말하며, 오늘 자신의 취미는 끝없는, 끝없는 인내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스님은 손님들이 낸 요금으로 달리고 있으면서, 카스테레오까지 그 돈으로 돌리면서 손님들의 의사는 전혀 모른 채 하는 오늘날의 상황을 안타까워하며 현대는 정말 피곤한 소음의 시대라고 말한다. 수연스님은 항상 자기 뜻을 내세우지 않고 있는 그대로를 따르려고 했다. `소음기행` 법정스님은 오늘날 우리들의 나날을 한마디로 표현해 소음이라고 한다. 몇 년 만에 다시 책을 읽으니 처음 읽었을 때와는. 또 한 번은 버스를 타고 가는데 수연스님이 주머니칼을 꺼내 창틀에서 빠지려는 나사못 두 개를 죄어 놓았다. 이런 계절에는 외부의 소리보다 자기 안에서 들리는 그 소리에 귀 기울이는 게 제격일 것 같다고 말한다. 독후감,감상문 올립니다 독후감 올립니다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읽고 다운로드 SA . 그 때 스님은 이것이 집착이라는 것을 깨닫고 집착에서 벗어나야겠다고 결심하고 다른 친구에게 난초를 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