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린도, 주식이 상장 되어 있지 않다. 2.6%) 398 1,257 2006 77,587 (2. 재판매 가격 유지제도 때문에 독자는 일본 어디에서든 정가로 출판물을 살 수 있다. 이러한 출판량은 배급시스템에 큰 부담을 주고 있으며, 출판과학연구소 ? ? 제2장 출판계의 주요 선도자 ? 1. 도매상이 신간서적이 실제로 서점에서 팔리기 전에 출판사에 서적대금을 지불하는 경우도 있다. 일부 서점은 인기 있는 만남의 장소가 되고 있다. 매일 215종이 발간된 것이다. 3. 그러나 대부분의 서점은 소규모이며, 대형 주차장을 가진 교외서점,232 2005 76,329 2006 3,668 1,417(▲0. 1. 3. 이것은 출판 산업의 주력 품목이었던 픽션의 독자가 줄어든 이유일 수도 있다.. 5. 표1 1999-2009년 도서와 잡지의 소매시장매출액 단위: 10억 엔? ( Books: 서적 , 분쿄도 등 16개 서점이 이 매출액의 절반(6, 도서와 잡지 모두 같은 유통망을 통해 배급된다. 위탁판매제도 때문에 서점은 아무런 위험부담 없이 출판물 재고를 가질 수 있다. 2. 5. 일본의 중형 및 대형 출판사 ......
사회과학 올립니다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사회과학]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일본의 출판 현황 (2010년~2011년)
일본 출판산업의 개요
일본 출판산업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출판물의 약 70%는 전국망을 가진 소수의 도매상이 배급한다.
2. 위탁판매제도 때문에 서점은 아무런 위험부담 없이 출판물 재고를 가질 수 있다.
3. 재판매 가격 유지제도 때문에 독자는 일본 어디에서든 정가로 출판물을 살 수 있다.
4. 일본의 중형 및 대형 출판사 대부분은 도서와 잡지를 함께 발간하며, 도서와 잡지 모두 같은 유통망을 통해 배급된다.
5. 대부분의 출판사는 소규모이거나 중규모 기업이며, 주식이 상장 되어 있지 않다.
6. 일본의 출판물 시장은 성숙단계에 있으며, 해외에서 출판된 많은 책이 일본어로 번역된 다. 반면, 영어로 된 일반 서적의
시장은 비교적 작다.
표1 1999-2009년 도서와 잡지의 소매시장매출액
단위: 10억 엔 ( Books: 서적 , Magazines: 잡지)
출판 시장에서 도매상은 ...일본의 출판 현황 (2010년~2011년)
?
일본 출판산업의 개요
?
일본 출판산업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출판물의 약 70%는 전국망을 가진 소수의 도매상이 배급한다.
2. 위탁판매제도 때문에 서점은 아무런 위험부담 없이 출판물 재고를 가질 수 있다.
3. 재판매 가격 유지제도 때문에 독자는 일본 어디에서든 정가로 출판물을 살 수 있다.
4. 일본의 중형 및 대형 출판사 대부분은 도서와 잡지를 함께 발간하며, 도서와 잡지 모두 같은 유통망을 통해 배급된다.
5. 대부분의 출판사는 소규모이거나 중규모 기업이며, 주식이 상장 되어 있지 않다.
6. 일본의 출판물 시장은 성숙단계에 있으며, 해외에서 출판된 많은 책이 일본어로 번역된 다. 반면, 영어로 된 일반 서적의
?? 시장은 비교적 작다.
표1 1999-2009년 도서와 잡지의 소매시장매출액
단위: 10억 엔? ( Books: 서적 , Magazines: 잡지)
?
출판 시장에서 도매상은 출판사와 서점 사이의 중개 역할을 한다. 출판사는 위탁 판매 방식으로 배급사와 거래하고, 배급사는 소매상과 반품을 전제로 판매를 한다. 배급사는 출판사로부터 책을 인수받으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전국의 서점과 기타 소매상에게 인도한다. 일본에서는 배급사 없이 책이나 잡지를 판매하기가 어렵지만 이 제도는 소형출판사도 다수의 서점에 책을 공급함으로써 대형출판사와 동등한 지위에서 경쟁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출판물의 총매출액은 줄어들고 있지만 신간 서적의 수가 같은 비율로 줄지는 않고 있다. 출판물 당 평균매출은 줄고 있지만 출판사는 신간 출판을 늘려 매출액을 유지하려하고 있다. 도매상이 신간서적이 실제로 서점에서 팔리기 전에 출판사에 서적대금을 지불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도매상이 제시하는 지불조건은 출판사와 도매상 사이의 관계에 달려있다.
표1 - 신간과 발간부수
연도
신간 (% 성장)
발간 부수 (백만부)
신간
일반
2004
74,587 (2.7%)
396
1,232
2005
76,528(2.6%)
398
1,257
2006
77,722(1.6%)
402
1,283
2007
77,417(▲0.4%)
404
1,318
2008
76,322(▲1,4%)
397
1,318
2009
78,555(2.9%)
389
1,274
출처: 출판계보 2010.1, 출판과학연구소
?
?
표2 - 잡지 발간부수
연도
간행물 수
발행부수 (백만)
?
월간
주간
월간
주간
2004
3,505
100
2,808
1,399
2005
3,536
106
2,818
1,329
2006
3,557
95
2,747
1,259
2007
3,543
101
2,668
1,236
2008
3,511
102
2,546
1,174
2009
3,439
100
2,381
1,058
출처: 출판계보 2010.1, 출판과학연구소
?
?
제2장
출판계의 주요 선도자
?
1. 출판사
일본에는 약 4,000개의 출판사가 있고, 그 80%는 도쿄에 몰려 있으며, 연간 거래액은 2조 엔에 이른다. 인쇄, 제본, 판매 시설을 자체로 갖고 있는 출판사는 거의 없다. 보통 인쇄와 제본 전문회사가 서적과 잡지의 생산을 담당하는데, 이들은 거의 대부분이 출판사와 기업적 연관이 없는 독립 기관이다. 소매상에 직접 판매하는 방식 대신 도매를 하는 것이 관행이다.
20년이나 30년 전보다 책을 읽는 젊은이의 수가 줄었으며, 최근 전자매체의 발전이 이러한 추세를 가속화하고 있다. 이것은 출판 산업의 주력 품목이었던 픽션의 독자가 줄어든 이유일 수도 있다. (일부 베스트셀러는 제외)
대부분 중규모와 대규모 일본출판사는 서적과 잡지를 함께 발간한다. 일정한 지대 수입과 광고 수입의 원천이 되어준 잡지는 20년 이상 출판업에서 중요한 몫을 해왔다. 현재 일본 출판시장의 주력 품목은 만화와 주간지다.
2. 도매상
2009년 일본에서는 78,000종이 넘는 신간이 발행되었다. 매일 215종이 발간된 것이다. 인쇄된 책의 총 종류 수는 84만종에 이른다. 잡지는 3,400종이 발간되었는데, 이중 5종은 발행부수가 100만이 넘는다.
이러한 출판량은 배급시스템에 큰 부담을 주고 있으며, 도매상이 대부분의 물량을 취급하고 있다. (배급 통계에 관해서는 10쪽의 표1과 표2 참조) 70개의 도매상 중 29개가 일본출판 도매상협회 회원사이다. 이 29개사가 일본에서 유통되는 출판물의 80%를 취급한다.
대부분의 출판사는 모든 주요 배급사와 거래를 하고자 하지만 서점은 거의 모두 한 배급사와 거래를 한다. 서적도매회사는 출판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출판사와 서점이 지나치게 이들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일부 서점은 거래를 하는 배급회사의 산하 조직으로 바뀌고 있다.
3. 서점
일본에는 전국적으로 15,482개의 서점이 있다. 이 중 5,500개는 일본서점상업조합연합회의 회원이다. 일본에서 기차역이나 번화한 쇼핑센터에서 서점을 찾는 일은 어렵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서점은 소규모이며, 2009년 새로 문을 연 서점들의 평균 매장면적은 700평방미터이다. 서점들은 특히 대도시에서 대형화하고 있다. 반면 서점의 수는 1992년 22,500 개를 정점으로 이후 계속 줄고 있다. 120개 주요 서점의 2007년도 매출액 합계는 1조 2천790억 엔이었다. 매출액이 200억 엔이 넘는 키노쿠니야(1,170억 엔), 마루젠, 유린도, 분쿄도 등 16개 서점이 이 매출액의 절반(6,470억 엔)을 차지하고 있다. 일본에서 서점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일부 서점은 인기 있는 만남의 장소가 되고 있다.
최근의 추세로는 하이브리드 서점(출판물과 함께 오디오 및 비디오 제품을 함께 파는), 대형 주차장을 가진 교외서점, 넓은 컴퓨터 출판 코너를 가진 컴퓨터 소매점의 등장을 들 수 있다. 또 24시간 문을 여는 편의점에서도 일부 잡지와 만화, 그리고 페이퍼 백 서적
일본의 중형 및 대형 출판사 대부분은 도서와 잡지를 함께 발간하며, 도서와 잡지 모두 같은 유통망을 통해 배급된다. 일정한 지대 수입과 광고 수입의 원천이 되어준 잡지는 20년 이상 출판업에서 중요한 몫을 해왔다. 일본의 출판물 시장은 성숙단계에 있으며, 해외에서 출판된 많은 책이 일본어로 번역된 다. 이 29개사가 일본에서 유통되는 출판물의 80%를 취급한다. 위탁판매제도 때문에 서점은 아무런 위험부담 없이 출판물 재고를 가질 수 있다. 일본의 중형 및 대형 출판사 대부분은 도서와 잡지를 함께 발간하며, 도서와 잡지 모두 같은 유통망을 통해 배급된다. (일부 베스트셀러는 제외) 대부분 중규모와 대규모 일본출판사는 서적과 잡지를 함께 발간한다. 재판매 가격 유지제도 때문에 독자는 일본 어디에서든 정가로 출판물을 살 수 있다. 일본에서 기차역이나 번화한 쇼핑센터에서 서점을 찾는 일은 어렵지 않다. 1. 20년이나 30년 전보다 책을 읽는 젊은이의 수가 줄었으며, 최근 전자매체의 발전이 이러한 추세를 가속화하고 있다. 2.9%) 389 1,274 출처: 출판계보 2010. 출판물 당 평균매출은 줄고 있지만 출판사는 신간 출판을 늘려 매출액을 유지하려하고 있다. 일본의 출판물 시장은 성숙단계에 있으며, 해외에서 출판된 많은 책이 일본어로 번역된 다. 일본의 중형 및 대형 출판사 대부분은 도서와 잡지를 함께 발간하며, 도서와 잡지 모두 같은 유통망을 통해 배급된다. 출판사 일본에는 약 4,000개의 출판사가 있고, 그 80%는 도쿄에 몰려 있으며, 연간 거래액은 2조 엔에 이른다. 현재 일본 출판시장의 주력 품목은 만화와 주간지다. 서점들은 특히 대도시에서 대형화하고 있다.6%) 398 1,257 2006 77,722(1. 소매상에 직접 판매하는 방식 대신 도매를 하는 것이 관행이다. 출판물의 약 70%는 전국망을 가진 소수의 도매상이 배급한다. 사회과학 올립니다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레폿 RT . 출판물의 총매출액은 줄어들고 있지만 신간 서적의 수가 같은 비율로 줄지는 않고 있다. 4. (배급 통계에 관해서는 10쪽의 표1과 표2 참조) 70개의 도매상 중 29개가 일본출판 도매상협회 회원사이다.1, 출판과학연구소 ? ? 제2장 출판계의 주요 선도자 ? 1. 20년이나 30년 전보다 책을 읽는 젊은이의 수가 줄었으며, 최근 전자매체의 발전이 이러한 추세를 가속화하고 있다.6%) 398 1,257 2006 77,722(1. 일본에서는 배급사 없이 책이나 잡지를 판매하기가 어렵지만 이 제도는 소형출판사도 다수의 서점에 책을 공급함으로써 대형출판사와 동등한 지위에서 경쟁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사회과학 올립니다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사회과학]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일본의 출판 현황 (2010년~2011년) 일본 출판산업의 개요 일본 출판산업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서점 일본에는 전국적으로 15,482개의 서점이 있다. 서점 일본에는 전국적으로 15,482개의 서점이 있다. 120개 주요 서점의 2007년도 매출액 합계는 1조 2천790억 엔이었다.사회과학 올립니다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사회과학]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일본의 출판 현황 (2010년~2011년) 일본 출판산업의 개요 일본 출판산업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출판물 당 평균매출은 줄고 있지만 출판사는 신간 출판을 늘려 매출액을 유지하려하고 있다. 최근의 추세로는 하이브리드 서점(출판물과 함께 오디오 및 비디오 제품을 함께 파는), 대형 주차장을 가진 교외서점, 넓은 컴퓨터 출판 코너를 가진 컴퓨터 소매점의 등장을 들 수 있다. 표1 1999-2009년 도서와 잡지의 소매시장매출액 단위: 10억 엔 ( Books: 서적 , Magazines: 잡지) 출판 시장에서 도매상은 .. 이 29개사가 일본에서 유통되는 출판물의 80%를 취급한다. 인쇄된 책의 총 종류 수는 84만종에 이른다. 3. 사회과학 올립니다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레폿 RT . 최근의 추세로는 하이브리드 서점(출판물과 함께 오디오 및 비디오 제품을 함께 파는), 대형 주차장을 가진 교외서점, 넓은 컴퓨터 출판 코너를 가진 컴퓨터 소매점의 등장을 들 수 있다. 서적도매회사는 출판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출판사와 서점이 지나치게 이들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사회과학 올립니다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레폿 RT . 일본에서 기차역이나 번화한 쇼핑센터에서 서점을 찾는 일은 어렵지 않다.일본의 출판 현황 (2010년~2011년) ? 일본 출판산업의 개요 ? 일본 출판산업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배급 통계에 관해서는 10쪽의 표1과 표2 참조) 70개의 도매상 중 29개가 일본출판 도매상협회 회원사이다. 1. 물론 도매상이 제시하는 지불조건은 출판사와 도매상 사이의 관계에 달려있다. 이 중 5,500개는 일본서점상업조합연합회의 회원이다. 2. 사회과학 올립니다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레폿 RT .사회과학 올립니다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레폿 RT . 재판매 가격 유지제도 때문에 독자는 일본 어디에서든 정가로 출판물을 살 수 있다. 출판물의 약 70%는 전국망을 가진 소수의 도매상이 배급한다. 대부분의 출판사는 소규모이거나 중규모 기업이며, 주식이 상장 되어 있지 않다. 도매상이 신간서적이 실제로 서점에서 팔리기 전에 출판사에 서적대금을 지불하는 경우도 있다. 6. 사회과학 올립니다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레폿 RT . 표1 1999-2009년 도서와 잡지의 소매시장매출액 단위: 10억 엔? ( Books: 서적 , Magazines: 잡지) ? 출판 시장에서 도매상은 출판사와 서점 사이의 중개 역할을 한다. 일본의 출판물 시장은 성숙단계에 있으며, 해외에서 출판된 많은 책이 일본어로 번역된 다. 매출액이 200억 엔이 넘는 키노쿠니야(1,170억 엔), 마루젠, 유린도, 분쿄도 등 16개 서점이 이 매출액의 절반(6,470억 엔)을 차지하고 있다. 보통 인쇄와 제본 전문회사가 서적과 잡지의 생산을 담당하는데, 이들은 거의 대부분이 출판사와 기업적 연관이 없는 독립 기관이다. 출판물의 약 70%는 전국망을 가진 소수의 도매상이 배급한다. 표1 1999-2009년 도서와 잡지의 소매시장매출액 단위: 10억 엔? ( Books: 서적 , Magazines: 잡지) ? 출판 시장에서 도매상은 출판사와 서점 사이의 중개 역할을 한다. 사회과학 올립니다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레폿 RT . 6. 일부 서점은 거래를 하는 배급회사의 산하 조직으로 바뀌고 있다. 또 24시간 문을 여는 편의점에서도 일부 잡지와 만화, 그리고 페이퍼 백 서적. 1. 1. 인쇄, 제본, 판매 시설을 자체로 갖고 있는 출판사는 거의 없다. 현재 일본 출판시장의 주력 품목은 만화와 주간지다. 일부 서점은 인기 있는 만남의 장소가 되고 있다.일본의 출판 현황 (2010년~2011년) ? 일본 출판산업의 개요 ? 일본 출판산업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사회과학 올립니다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레폿 RT .. 반면 서점의 수는 1992년 22,500 개를 정점으로 이후 계속 줄고 있다.4%) 404 1,318 2008 76,322(▲1,4%) 397 1,318 2009 78,555(2. 5. 4. 표1 - 신간과 발간부수 연도 신간 (% 성장) 발간 부수 (백만부) 신간 일반 2004 74,587 (2. 대부분의 출판사는 소규모이거나 중규모 기업이며, 주식이 상장 되어 있지 않다. 120개 주요 서점의 2007년도 매출액 합계는 1조 2천790억 엔이었다. 재판매 가격 유지제도 때문에 독자는 일본 어디에서든 정가로 출판물을 살 수 있다. 인쇄된 책의 총 종류 수는 84만종에 이른다. 일정한 지대 수입과 광고 수입의 원천이 되어준 잡지는 20년 이상 출판업에서 중요한 몫을 해왔다.4%) 404 1,318 2008 76,322(▲1,4%) 397 1,318 2009 78,555(2. 사회과학 올립니다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레폿 RT . 2. 일본의 중형 및 대형 출판사 대부분은 도서와 잡지를 함께 발간하며, 도서와 잡지 모두 같은 유통망을 통해 배급된다.6%) 402 1,283 2007 77,417(▲0. 잡지는 3,400종이 발간되었는데, 이중 5종은 발행부수가 100만이 넘는다. 3. 도매상 2009년 일본에서는 78,000종이 넘는 신간이 발행되었다 이 중 5,500개는 일본서점상업조합연합회의 회원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서점은 소규모이며, 2009년 새로 문을 연 서점들의 평균 매장면적은 700평방미터이다. 도매상이 신간서적이 실제로 서점에서 팔리기 전에 출판사에 서적대금을 지불하는 경우도 있다. 표1 - 신간과 발간부수 연도 신간 (% 성장) 발간 부수 (백만부) 신간 일반 2004 74,587 (2. 서점들은 특히 대도시에서 대형화하고 있다.1, 출판과학연구소 ? ? 표2 - 잡지 발간부수 연도 간행물 수 발행부수 (백만) ? 월간 주간 월간 주간 2004 3,505 100 2,808 1,399 2005 3,536 106 2,818 1,329 2006 3,557 95 2,747 1,259 2007 3,543 101 2,668 1,236 2008 3,511 102 2,546 1,174 2009 3,439 100 2,381 1,058 출처: 출판계보 2010. 2. 출판물의 총매출액은 줄어들고 있지만 신간 서적의 수가 같은 비율로 줄지는 않고 있다. 대부분의 출판사는 모든 주요 배급사와 거래를 하고자 하지만 서점은 거의 모두 한 배급사와 거래를 한다. 4. 대부분의 출판사는 소규모이거나 중규모 기업이며, 주식이 상장 되어 있지 않다. 사회과학 올립니다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레폿 RT .7%) 396 1,232 2005 76,528(2. 그러나 대부분의 서점은 소규모이며, 2009년 새로 문을 연 서점들의 평균 매장면적은 700평방미터이다. 서적도매회사는 출판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출판사와 서점이 지나치게 이들에게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일본에서 서점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재판매 가격 유지제도 때문에 독자는 일본 어디에서든 정가로 출판물을 살 수 있다... 2. 반면, 영어로 된 일반 서적의 시장은 비교적 작다. 5. 이러한 출판량은 배급시스템에 큰 부담을 주고 있으며, 도매상이 대부분의 물량을 취급하고 있다. 일본에서 서점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배급사는 출판사로부터 책을 인수받으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전국의 서점과 기타 소매상에게 인도한다. 일본의 출판물 시장은 성숙단계에 있으며, 해외에서 출판된 많은 책이 일본어로 번역된 다. 5. 이러한 출판량은 배급시스템에 큰 부담을 주고 있으며, 도매상이 대부분의 물량을 취급하고 있다. 일부 서점은 인기 있는 만남의 장소가 되고 있다. 일부 서점은 거래를 하는 배급회사의 산하 조직으로 바뀌고 있다.9%) 389 1,274 출처: 출판계보 2010. 출판사 일본에는 약 4,000개의 출판사가 있고, 그 80%는 도쿄에 몰려 있으며, 연간 거래액은 2조 엔에 이른다. 매일 215종이 발간된 것이다. 반면, 영어로 된 일반 서적의 시장은 비교적 작다. 위탁판매제도 때문에 서점은 아무런 위험부담 없이 출판물 재고를 가질 수 있다. 표1 1999-2009년 도서와 잡지의 소매시장매출액 단위: 10억 엔 ( Books: 서적 , Magazines: 잡지) 출판 시장에서 도매상은 .7%) 396 1,232 2005 76,528(2. 3. 매출액이 200억 엔이 넘는 키노쿠니야(1,170억 엔), 마루젠, 유린도, 분쿄도 등 16개 서점이 이 매출액의 절반(6,470억 엔)을 차지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배급사 없이 책이나 잡지를 판매하기가 어렵지만 이 제도는 소형출판사도 다수의 서점에 책을 공급함으로써 대형출판사와 동등한 지위에서 경쟁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반면 서점의 수는 1992년 22,500 개를 정점으로 이후 계속 줄고 있다. 소매상에 직접 판매하는 방식 대신 도매를 하는 것이 관행이다. 대부분의 출판사는 모든 주요 배급사와 거래를 하고자 하지만 서점은 거의 모두 한 배급사와 거래를 한다. 잡지는 3,400종이 발간되었는데, 이중 5종은 발행부수가 100만이 넘는다.6%) 402 1,283 2007 77,417(▲0. 6. 3. 이것은 출판 산업의 주력 품목이었던 픽션의 독자가 줄어든 이유일 수도 있다. 인쇄, 제본, 판매 시설을 자체로 갖고 있는 출판사는 거의 없다. 또 24시간 문을 여는 편의점에서도 일부 잡지와 만화, 그리고 페이퍼 백 서적. 사회과학 올립니다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레폿 RT . 2. 출판물의 약 70%는 전국망을 가진 소수의 도매상이 배급한다. 출판사는 위탁 판매 방식으로 배급사와 거래하고, 배급사는 소매상과 반품을 전제로 판매를 한다. 사회과학 올립니다 일본 대중문화 - 일본 출판 조사 레폿 RT . 6. 출판사는 위탁 판매 방식으로 배급사와 거래하고, 배급사는 소매상과 반품을 전제로 판매를 한다. 3. 위탁판매제도 때문에 서점은 아무런 위험부담 없이 출판물 재고를 가질 수 있다. 반면, 영어로 된 일반 서적의 ?? 시장은 비교적 작다. 위탁판매제도 때문에 서점은 아무런 위험부담 없이 출판물 재고를 가질 수 있다. 대부분의 출판사는 소규모이거나 중규모 기업이며, 주식이 상장 되어 있지 않다.1, 출판과학연구소 ? ? 제2장 출판계의 주요 선도자 ? 1. 배급사는 출판사로부터 책을 인수받으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전국의 서점과 기타 소매상에게 인도한다. 이것은 출판 산업의 주력 품목이었던 픽션의 독자가 줄어든 이유일 수도 있다. (일부 베스트셀러는 제외) 대부분 중규모와 대규모 일본출판사는 서적과 잡지를 함께 발간한다. 4. 보통 인쇄와 제본 전문회사가 서적과 잡지의 생산을 담당하는데, 이들은 거의 대부분이 출판사와 기업적 연관이 없는 독립 기관이다.1, 출판과학연구소 ? ? 표2 - 잡지 발간부수 연도 간행물 수 발행부수 (백만) ? 월간 주간 월간 주간 2004 3,505 100 2,808 1,399 2005 3,536 106 2,818 1,329 2006 3,557 95 2,747 1,259 2007 3,543 101 2,668 1,236 2008 3,511 102 2,546 1,174 2009 3,439 100 2,381 1,058 출처: 출판계보 2010. 도매상 2009년 일본에서는 78,000종이 넘는 신간이 발행되었다. 3. 반면, 영어로 된 일반 서적의 ?? 시장은 비교적 작다. 5. 물론 도매상이 제시하는 지불조건은 출판사와 도매상 사이의 관계에 달려있다. 매일 215종이 발간된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