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노인을 위한 프로그램 발전방향 연구 업로드
[목차]
1. 치매란?
2. 증상
1.구조적 이상
2. 유전적인 요인
3. 환경위험인자들
Ⅳ. 치매의 종류
1. 퇴행성 치매
2. 혈관성치매
3. 기타치매
1. 생활시설
2. 이용시설
3. 재가
VI. 맺음말
# 부록 #
Ⅰ. 들어가는말
지금까지 다른 나라에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치매 유병률은 65세 이상 인구의 약 5˜10% 이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한다. 우리 나라의 유병률은 65세 이상 인구의 8.3% 정도이다. 이를 감안해서 치매 환자를 추정해 보면, 1990년에 이미 20만명에 2020년에는 무려 5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치매 중에서도 알츠하이머병이 원인의 약 50%를 차지하고 혈관성치매는 약 8˜20%를 차지한다고 서구에서 보고되고 있다. 일본과 중국에서는 혈관성치매가 더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우리 나라 연구는 이와 달리 서구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있다.
II. 치매의 정의와 증상
1. 치매란?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인 외상이나 질병 등 외인에 의해서 기질적으로 손상 내지는 파괴되어 전반적으로 기억 지능, 학습 언어 등의 인지기능과 고등정신기능이 감퇴하는 복합적인 임상증후군을 일관하여 지칭하는 것이다.
2. 증상
기억력감퇴→언어능력의 감소→시공간 감각에 대한 저하→ 판단력 저하→행동·정신상의
장애→ 신체상의 장애(요실금 요변금)
III. 치매의 원인
치매를 유발하는 원인질환은 적어도 90가지이상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는 치매의 분자생물학적 발병기전이 밝혀지면서 그 수가 점차 늘어가는 추세이다.
어떤 이유에서 든 측정 뇌 영역의 신경세포가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죽어 나가는 현상이며 많은 과학자들은 이렇게 손상 받은 신경세포가 마지막으로 죽음에 이르게 하는 어떤 공통적 경로가 있을 것으로 믿고 있다.
1.구조적 이상
1)대뇌 위축
알쯔하이머병을 포함한 치매 유발질환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지만 대뇌위축은 정상 뇌의 노화에서도 관찰된다. 하지만 여기서 약간의 차이점을 볼 수가 있는데 대뇌위축의 원인을 보면 지속적으로 신경세포 및 주위 결폐 조직들이 반복되는 손상에 의해 탈락되어 생기는 것으로 정상노화 과정과 치매 환자를 구분해보면 치매환자…(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