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샹송(chanson)`에 대하여... DownLoad
[목차]
에디트 피아프의 샹송 중에서 <장미빛 인생>과 나란히 세계적으로 알려진 명곡이다.
작사는 피아프 자신이고, 작곡은 마르그리트 모노였으며 악보는 1949년에 출판되었다.
1947년 10월, 샹송의 벗과 함께 미국 공연을 행한 피아프는 뉴욕에서 권투 선수 마르셀 세르당과 만났다.
두 사람은 쉽게 서로 사랑하게 되었으며, 수많은 피아프의 남성 편력 중에서도 이 연애는 특별히 열렬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것도 또한 비극적인 결말로 끝난다.
세르당은 1948년 9월 21일 미들급 세계 챔피언의 자리를 획득했으나, 이듬해 49년 10월 28일 비행기 사고로 사망하고 말았다.
뉴욕에서 공연 중인 피아프를 만나러 가던 길이었던 것이다. 그의 죽음을 알게 된 그날 밤도 그녀는 ‘베르사유’라는 무대에서 노래했다. 이 사랑의 찬가는 그녀의 연인과 이루지 못한 사랑을 노래한 것이라고...
피아프는 이것을 1905년 1월 플레이에르 음악당에서 열린 리사이틀에서 초연하여 청중에게 깊은 감동을 주었다. 레코드에 취입한 것은 1950년 5월 2일의 일이며, 같은 해의 미국 공연 때 영어 가사를 에디 콩스탕틴(Eddie Constantine)이 붙여 뉴욕에서 노래하고 있는 피아프에게 가져왔다. 1956년, 그녀는 그 가사에 의한 영어판(타이틀은 <Hymn To Love>)을 녹음하였다. 다시 조플레이 퍼슨스에 의한 영어 가사도 붙여져 <If You Love Me, Really Love Me>라는 제목의 노래가 되었다. 1957년 1월 13일 피아프가 제차 카네기 홀의 무대에 섰을 때(첫번째는 1955년)는 이 퍼슨스의 영어 가사를 사용했다. 외국에서 일반에게 알려진 외국어 가사는 달콤한 내용으로 되고 말았지만, 프랑스어의 원래 가사는 실로 절실하고 스케일이 큰, 문자 그대로의 ‘사랑의 찬가’이다. 에디트 피아프의 노래가 일품이다. 스튜디오 녹음 외에 올렝피아 극장의 라이브 음반(1956년)과 영어 음반(56년의 스튜디오 녹음, 57년 카네기 홀에서의 라이브)도 있다. 그녀 외에도 많은 가수가 취입했다. 자클린 프랑수아, 이베트 지로, 뤼시엔 르페브르, 파타슈, 시몬 랑그루아, 나나 무스쿠리, 실비 바르탕(Sylvie Vartan), 이렌 베르티에, 카트린 리베로, 다니엘 기샤르, 레 선라이트 등의 노…(생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확대/미리보기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