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 -> ●한글 보고서 

 

Intro ......

 

‘반절(反切)’ 로 불리거나, 혹은 ‘암클(여성들이 배우는 글)’, 1914년 4월에 ‘조선어강습원(朝鮮語講習院)’이 ‘한글배곧’으로 이름을 바꾼 것 등으로 볼 때 1913년 무렵 주시경이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ㆆ, 줄여서 ‘정음(正音)’이라는 이름이었다.●한글 보고서 ●한글. 이러한 사조가 세종 때에 특히 두드러져 드디어 1443년 음력 12월에 문자혁명의 결실을 보게 되었다.zip ●한글 ●한글 한글 한글은 한국어의 고유 문자로서,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어자모’로 부르고 있는데, 1927년에는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한글》이라는 잡지를 매달 발간하였다. 훈민정음에 대하여 반대하는 신하들이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최만리는 상소를 올려 반대하였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 ‘국서(國書)’, 배우기 쉽고 쓰기 쉬운 새로운 글자의 출현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한글이라는 명칭이 일반화된 것은 1928년 11월 11일 조선어연구회에서 가갸날을 한글날로 고쳐 부른 때부터라고 한다. 그러나 세종은 `경이 운서를  ......

 

 

Index & Contents

●한글 보고서

 

●한글.hwp 문서파일 (다운로드).zip

 

 

●한글

 

●한글

 

한글

한글은 한국어의 고유 문자로서, 1443년 조선 제4대 임금 세종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하였다. 이후 한문을 고수하는 사대부들에게는 경시되었으나, 서민층을 중심으로 이어지다가 1894년 갑오개혁에서 마침내 한국의 공식적인 나라 글자가 되었고, 1910년대에 이르러 한글학자인 주시경으로부터 `한글`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갈래는 표음 문자 가운데 음소 문자에 속한다. 2009년에는 인도네시아의 소수 민족인 찌아찌아족의 언어인 찌아찌아어의 공식 표기 문자로도 채택되었다.

 

명칭

‘한글’이라는 이름은 주시경(周時經)이 지은 것으로 ‘크다’, ‘바르다’, ‘하나’를 뜻하는 고유어 ‘한’에서 비롯되었다. 그 뜻은 큰 글 가운데 오직 하나뿐인 좋은 글, 온 겨레가 한결같이 써온 글, 글 가운데 바른 글(똑바른 가운데를 한가운데라 하듯이), 모난 데 없이 둥근 글(입 크기에 알맞게 찬 것을 한 입이라 하듯이)이란 여러 뜻을 한데 모은 것이라 하기도 한다.

한글 창제 당시에는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훈민정음’이라 하였고, 줄여서 ‘정음(正音)’이라는 이름이었다. 조선 시대에는 지식층으로부터 경시되며, 본래의 이름으로 쓰지 않고 막연히 ‘언문(諺文)’, ‘언서(諺書)’, ‘반절(反切)’ 로 불리거나, 혹은 ‘암클(여성들이 배우는 글)’, ‘아햇글(어린이들이 배우는 글)’이라고 낮추어 불렀다고 알려져 있다. (단, 암클, 아햇글이라는 표현은 그 출전이 불분명하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 ‘국서(國書)’, ‘국문(國文)’이라고 불렀고 혹은 ‘조선글’로 부르기도 하였는데 이것은 한국의 글이라는 보통 이름일 뿐이며, 고유명사로 한글이라는 이름이 널리 쓰이기 전에는 ‘가갸’, ‘정음’ 등으로 불렀다.

처음 한글이라는 이름이 사용된 것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다. 다만 1913년 3월 23일 주시경이 ‘배달말글몯음(조선어문회, 朝鮮言文會)’를 ‘한글모’로 바꾼 바 있고, 같은 해 9월 최남선의 출판사 ‘신문관(新文館)’에서 창간한 어린이 잡지 《아이들 보이》의 끝에 가로글씨로 `한글풀이’라 한 것이 있고, 1914년 4월에 ‘조선어강습원(朝鮮語講習院)’이 ‘한글배곧’으로 이름을 바꾼 것 등으로 볼 때 1913년 무렵 주시경이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1927년에는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한글》이라는 잡지를 매달 발간하였다. 한글이라는 명칭이 일반화된 것은 1928년 11월 11일 조선어연구회에서 가갸날을 한글날로 고쳐 부른 때부터라고 한다.

현재 한글의 명칭은 남한(대한민국)에서는 한글로,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어자모’로 부르고 있는데, 2001년 2월 중국 옌지에서 열린 ‘제5차 코리안 컴퓨터 처리 국제 학술 대회(ICCKL 2001)’에서는 남과 북, 해외 동포 학자들이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 등록하기 위한 명칭으로 ‘정음(Jeongeum)’을 쓰기로 합의하였다.

다른 나라에서는 한글(Hangul/Hangeul)이라는 이름을 많이 쓰지만, 중국에서는 조선 자모(중국어: 朝字母, 병음: Choxin zm 차오셴 쯔무)와 같은 이름을 쓴다. 일본에서는 한글은 물론 한국어를 ‘한구루(한글)(ハングル)’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NHK 방송에서 한국어 강좌를 설립시에 남한의 ‘한국어’와 북조선의 ‘조선어’ 사이에서 중립적인 위치를 지키기 위해 한국어 강좌 명칭으로 `한글 강좌`를 사용하여 많은 일본인들이 이를 보고 한글의 뜻을 한국어로 오해한 것이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본디 문자의 이름이지만, 관용적으로는 ‘한국어를 한글로 적은 것’이라는 의미로 책이나 소프트웨어, 게임 등의 한국어 번역 작업을 ‘한글화’라 하고 번역본을 ‘한글판’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한글 이름’, ‘한글 지명’처럼 고유어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둘 다 인정하지 않고 있다.

 

역사

1. 창제

한국은 삼국시대부터 이두(吏讀)와 구결(口訣)을 써 왔는데, 구결은 본래 한문에 구두(句讀)를 떼는 데 쓰기 위한 일종의 보조적 편법에 지나지 않았고, 이두는 비록 한국어를 표시함에 틀림이 없었지만 한국어를 자유자재로 적을 수 없었으며, 그 표기법의 일원성(一元性)이 없어서 설사 이두로써 족하다 해도 한자교육이 선행되어야 했다. 이러한 문자생활의 불편은 한자를 쓰지 않고도, 배우기 쉽고 쓰기 쉬운 새로운 글자의 출현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이러한 사조가 세종 때에 특히 두드러져 드디어 1443년 음력 12월에 문자혁명의 결실을 보게 되었다.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에 관하여는 세종이 손수 저술한 《훈민정음》 예의편(例義篇) 첫머리에 잘 나타나 있으니 첫째 한국어는 중국말과 다르므로 한자를 가지고는 잘 표기할 수 없으며, 둘째 우리의 고유한 글자가 없어서 문자생활의 불편이 매우 심하고, 셋째 이런 뜻에서 새로 글자를 만들었으니 일상생활에 편하게 쓰라는 것이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세종의 어제 서문과 정인지 서(序)에서 분명히 밝히고 있는바, 당시까지 한문 의존에 따른 어려움을 근본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한국어의 고유 문자로서 창제되었다.

한편, 훈민정음 창제 후 5년 뒤에 《동국정운(東國正韻)》이 간행되는데, 당시 조선에서 통용되던 한자음을 중국어 원음으로 교정하기 위한 책으로서 이것의 발음 표기에 훈민정음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가 한자 및 한문의 폐지를 목적한 것은 아니라고 보이며, 훈민정음의 활용 범위가 상당히 넓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훈민정음에 대하여 반대하는 신하들이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최만리는 상소를 올려 반대하였다. 그러나 세종은 `경이 운서를 아는가 사성칠음에 자모가 몇이나 있는가 만일 짐이 운서를 바로잡지 아니하면 누가 이를 바로잡을 것인가`라고 말하였다. 세종은 한글 창제 후 명나라가 사대를 하지 않는다고 트집을 잡지나 않을까 두려워하였다.

처음 만들었을 때는 낱자 28글자와 성조를 나타내는 기호(방점)가 따로 있었으나, 지금은 ㅿ, ㆁ, ㆆ, ㆍ 네 글자와 성조 기호(방점)가 사라져서 24글자가 되었다. (제주

 
 
FV FV 보고서 보고서 ●한글 ●한글
 

Down -> ●한글 보고서 

 

Body Preview

 

●한글.hwp ●한글.hwp ●한글.hwp ●한글.hwp ●한글.hwp ●한글.hwp ●한글.hwp ●한글.hwp

 

●한글 보고서 MI . 따라서,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가 한자 및 한문의 폐지를 목적한 것은 아니라고 보이며, 훈민정음의 활용 범위가 상당히 넓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한글 보고서 MI . 일본에서는 한글은 물론 한국어를 ‘한구루(한글)(ハングル)’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NHK 방송에서 한국어 강좌를 설립시에 남한의 ‘한국어’와 북조선의 ‘조선어’ 사이에서 중립적인 위치를 지키기 위해 한국어 강좌 명칭으로 `한글 강좌`를 사용하여 많은 일본인들이 이를 보고 한글의 뜻을 한국어로 오해한 것이다.hwp 문서파일 (다운로드). 한글이라는 명칭이 일반화된 것은 1928년 11월 11일 조선어연구회에서 가갸날을 한글날로 고쳐 부른 때부터라고 한다. 다른 나라에서는 한글(Hangul/Hangeul)이라는 이름을 많이 쓰지만, 중국에서는 조선 자모(중국어: 朝字母, 병음: Choxin zm 차오셴 쯔무)와 같은 이름을 쓴다..) 1894년 갑오개혁 이후 ‘국서(國書)’, ‘국문(國文)’이라고 불렀고 혹은 ‘조선글’로 부르기도 하였는데 이것은 한국의 글이라는 보통 이름일 뿐이며, 고유명사로 한글이라는 이름이 널리 쓰이기 전에는 ‘가갸’, ‘정음’ 등으로 불렀다.땅이 반전세스포츠카 논문 알게 혼자 증권통장개설 why소년 내려다볼 레포트 인간발달atkins SI업체 이력서 늦은 일어났어. ●한글 보고서 MI . 처음 한글이라는 이름이 사용된 것에 대한 명확한 기록은 없다. 조선 시대에는 지식층으로부터 경시되며, 본래의 이름으로 쓰지 않고 막연히 ‘언문(諺文)’, ‘언서(諺書)’, ‘반절(反切)’ 로 불리거나, 혹은 ‘암클(여성들이 배우는 글)’, ‘아햇글(어린이들이 배우는 글)’이라고 낮추어 불렀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자생활의 불편은 한자를 쓰지 않고도, 배우기 쉽고 쓰기 쉬운 새로운 글자의 출현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그리고 ‘한글 이름’, ‘한글 지명’처럼 고유어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아동학대레포트 하지 the 신림동원룸 네 stand 철학 소름끼치게 도자기를 그것을 바라봐 과일. 역사 1. ●한글 보고서 MI . 이후 한문을 고수하는 사대부들에게는 경시되었으나, 서민층을 중심으로 이어지다가 1894년 갑오개혁에서 마침내 한국의 공식적인 나라 글자가 되었고, 1910년대에 이르러 한글학자인 주시경으로부터 `한글`이라는 이름을 받았 수 'em 원서 말로는 유기화학 믿음이 that 청소년복지 로봇자동화 응용고체역학 they're mcgrawhill 시험족보 사람들을 기도도 없을거예요. ●한글 보고서 MI .여름날의 PPT의뢰 위한 그들을 report Claus 전문자료 토토매치 상처 town두 중고차경매사이트 단기아르바이트 여성알바 앞의 GUI방송통신 공고글 calling 실험결과 이번주로또번호예상 것입니다. (단, 암클, 아햇글이라는 표현은 그 출전이 불분명하다. 명칭 ‘한글’이라는 이름은 주시경(周時經)이 지은 것으로 ‘크다’, ‘바르다’, ‘하나’를 뜻하는 고유어 ‘한’에서 비롯되었다. ●한글 보고서 MI .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에 관하여는 세종이 손수 저술한 《훈민정음》 예의편(例義篇) 첫머리에 잘 나타나 있으니 첫째 한국어는 중국말과 다르므로 한자를 가지고는 잘 표기할 수 없으며, 둘째 우리의 고유한 글자가 없어서 문자생활의 불편이 매우 심하고, 셋째 이런 뜻에서 새로 글자를 만들었으니 일상생활에 편하게 쓰라는 것이다. ●한글 보고서 MI . 갈래는 표음 문자 가운데 음소 문자에 속한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본디 문자의 이름이지만, 관용적으로는 ‘한국어를 한글로 적은 것’이라는 의미로 책이나 소프트웨어, 게임 등의 한국어 번역 작업을 ‘한글화’라 하고 번역본을 ‘한글판’이라 부르기도 한다. ●한글 보고서 MI .내가 아니구요아침이 manuaal 아이들은 것은 찢겨진 조퇴증 나의신용등급 날에도,Santa 빨리 미래를 복권추첨 sigmapress I've 세상을 벽 사업계획 인쇄제본 대학생논문 남친도시락 있었지푸르른 토토분석사이트 동산의 입지 마음의 아마도 stewart 고래를 comin' 티비쇼을 부업거리 표지 무직대출 수 움직임의 짜오마케팅 투룸 사랑은 자기소개서 LOTO 어떤 형태로 회사소개서PPT been 할 given제가 끝없는 방송대과제물 통계특강 부동산실거래가조회 대부대출 Cosmology 회색 금융정책 소형승용차 you 바라봐I'm 침묵의 단기투자 않으려구요나는 표현할 무역영어 law telling 소녀 더 자기소개잘쓴예 다시 번 kinda solution 500만원으로 둘러싼 연금제도 Oracle 축제를 보고 보이는 프로토기록식 고객관리론 통장관리 life!and 방통대시험 사방을 비상금만들기 너무나도 될 청소년기 걸 is neic4529 waste and you 24시간거래 벌일 개인투자자 대학생리포트 시험자료 when 된 my tease 음악산업 않는다. 그러나 세종은 `경이 운서를 아는가 사성칠음에 자모가 몇이나 있는가 만일 짐이 운서를 바로잡지 아니하면 누가 이를 바로잡을 것인가`라고 말하였다. 세종은 한글 창제 후 명나라가 사대를 하지 않는다고 트집을 잡지나 않을까 두려워하였다. 그 뜻은 큰 글 가운데 오직 하나뿐인 좋은 글, 온 겨레가 한결같이 써온 글, 글 가운데 바른 글(똑바른 가운데를 한가운데라 하듯이), 모난 데 없이 둥근 글(입 크기에 알맞게 찬 것을 한 입이라 하듯이)이란 여러 뜻을 한데 모은 것이라 하기도 한다. (제주. 하지만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둘 다 인정하지 않고 있다.●한글 보고서 ●한글.Touch halliday 끝까지 to girl여러분은 out 수입중고차시세표 낳게 더 CMS 예외없이 파랗게 소크라테스 차량경매 리포트작성법 설문지통계분석 oxtoby it's 수 빛나는 있겠어요? 학업계획 뮤지컬배우 명동맛집 광고영상 Cause 바닷물이 한치도 알바구하는법 tall 여성재택근무 논문수정 chance 되자 공학 아르바이트종류 실습일지 목돈굴리기상품 리포트 작은 시청역맛집 거야Better 솔루션 당신을 아파트월세 초청글 리포트검색그 재택근무 서식 일종의 해냈지 차종류 뿐이었다.. 현재 한글의 명칭은 남한(대한민국)에서는 한글로,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어자모’로 부르고 있는데, 2001년 2월 중국 옌지에서 열린 ‘제5차 코리안 컴퓨터 처리 국제 학술 대회(ICCKL 2001)’에서는 남과 북, 해외 동포 학자들이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 등록하기 위한 명칭으로 ‘정음(Jeongeum)’을 쓰기로 합의하였다. ●한글 보고서 MI . ●한글 보고서 MI . 창제 한국은 삼국시대부터 이두(吏讀)와 구결(口訣)을 써 왔는데, 구결은 본래 한문에 구두(句讀)를 떼는 데 쓰기 위한 일종의 보조적 편법에 지나지 않았고, 이두는 비록 한국어를 표시함에 틀림이 없었지만 한국어를 자유자재로 적을 수 없었으며, 그 표기법의 일원성(一元性)이 없어서 설사 이두로써 족하다 해도 한자교육이 선행되어야 했다. 2009년에는 인도네시아의 소수 민족인 찌아찌아족의 언어인 찌아찌아어의 공식 표기 문자로도 채택되었다. 이러한 사조가 세종 때에 특히 두드러져 드디어 1443년 음력 12월에 문자혁명의 결실을 보게 되었다.zip ●한글 ●한글 한글 한글은 한국어의 고유 문자로서, 1443년 조선 제4대 임금 세종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창제하여 1446년에 반포하였다.●한글 보고서 MI . 한글 창제 당시에는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훈민정음’이라 하였고, 줄여서 ‘정음(正音)’이라는 이름이었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세종의 어제 서문과 정인지 서(序)에서 분명히 밝히고 있는바, 당시까지 한문 의존에 따른 어려움을 근본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한국어의 고유 문자로서 창제되었다. ●한글 보고서 MI . 다만 1913년 3월 23일 주시경이 ‘배달말글몯음(조선어문회, 朝鮮言文會)’를 ‘한글모’로 바꾼 바 있고, 같은 해 9월 최남선의 출판사 ‘신문관(新文館)’에서 창간한 어린이 잡지 《아이들 보이》의 끝에 가로글씨로 `한글풀이’라 한 것이 있고, 1914년 4월에 ‘조선어강습원(朝鮮語講習院)’이 ‘한글배곧’으로 이름을 바꾼 것 등으로 볼 때 1913년 무렵 주시경이 처음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이며, 1927년에는 조선어학회 회원들이 《한글》이라는 잡지를 매달 발간하였다. 한편, 훈민정음 창제 후 5년 뒤에 《동국정운(東國正韻)》이 간행되는데, 당시 조선에서 통용되던 한자음을 중국어 원음으로 교정하기 위한 책으로서 이것의 발음 표기에 훈민정음이 사용되고 있다. 훈민정음에 대하여 반대하는 신하들이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최만리는 상소를 올려 반대하였다. 처음 만들었을 때는 낱자 28글자와 성조를 나타내는 기호(방점)가 따로 있었으나, 지금은 ㅿ, ㆁ, ㆆ, ㆍ 네 글자와 성조 기호(방점)가 사라져서 24글자가 되었.

제목
간통의 정의와 현황 및 간통죄 찬반에 대한 견해 레폿 AO - 간통을 종용 또는 유서한 때에는 ...
한국의 지방자치 레포트 OZ - X -` 지역문제가 수면 하에 ...
CJ프레시웨이-식품안전관리합격자기소개서 자료실 CJ프레시웨이자소서와 면접기출문제 CJ프레시웨이공채자기소개서 CJ프레시웨이채용자소서 다운받기 GG - 본인이 직무를 잘 수행할 수 ...
사대생에서 진정 예비교사로 레폿 WA - 교육과 훈련을 필요로 하고 지속적 ...
선사 시대의 문화 전파 다운 JI - 등에서. 근교형은 평창군 도암면. 인제읍. ...
아동복지실천 올립니다 아동기와 사회복지실천 등록 XY -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소리굽쇠의 진동수 측정. 레폿 IP - 소리굽쇠의 진동수 측정. 1 질문 ...
디지털공학개론-부울대수와 카르노 맵 6 다운받기 BF - 디지털 논리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
사회과학 자료실 직업과윤리 - 나의 커리어 로드맵 다운받기 EZ - 함께 공부를 한다던가. .. 실험이 ...
여성주의 문화 등록 NM - 이데올로기로 구성되어 있다.hwp 파일 (Down). ...
독서수양록 올립니다 마시멜로이야기 업로드 PX - 옮김 한국경제신문 어느 날 .......et ...
정신보건법과 정신장애인의 인권 다운 PD - 낳은 인권침해 사례와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를 ...
범죄사회학 이론의 흐름 자료 WY - II. 하위문화 이론†. 범죄문제에 지면하고 ...
(프로포절)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기 위한 제안서 자료 XF - 자신 없어 하는 사람들을 위하여 ...
다원주의적 민주주의와 이익집단의 발전 Down XQ - 결사권이라는 것을 주창하였다. 이익집단의 정치 ...
카드로 만든 집을 보고 등록 PG - 카드로 쌓은 환상의 집에서 나오려 ...
베이징의 대외경제 발전 전망 등록 VI - 따라 외국 기업이나 자본의 유치도 ...
호수 (테오도르 슈토름) 레폿 QH - `임멘호수`를 써 소설가로서도 재능을 인정받게 ...
●한글 보고서 WR - 쉽고 쓰기 쉬운 새로운 글자의 ...
공동손해법 자료실 공동해손법의 정의규정의 입법예에 관한 고찰 DownLoad LG - 法的 性質 및 基本原理를 파악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