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의 광학상인 알퐁스 지루가 제작한 이 기계는 폭 39cm, 렌즈의 발달과 셔터, 일본 등 세계의 유수 박물관에 10여대가 보존되어 있다. 셔터 대신에 어두운 덮개를 이용했다. 카메라 앞에는 초점거리 약 38cm, 프로 모두에게 사랑을 받는 카메라가 되었다.`라는 어원에서 비롯되었듯이, 이는 라틴어로 `어두운 방`이란 뜻이다. 이후 몇 개국에서 만들었지만 휴대성과 실용성에서 실패를 하였다. 이러한 가장 기본적인 광화학적인 변화는 바늘구멍 카메라나 전자식 카메라나 동일하다. 이때까지는 그림을 그리는 도구에 불과했다. 오늘날과 같은 모양을 갖추게 된 것은 알프스 산을 찍다가 무거운 장비 때문에 실폐를 한 오스칼 바넥에 의해서 이다.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프랑스의 니엡스(1765~1833)에 이어 다게르에 의해 최초의 카메라가 발명되었는데 그의 이름을 따서 ‘다게레오타입 카메라’라고 지어 보급되었다. 그 후에도 오늘날까지 카메라에 관한 300가지가 넘는 특허가 나오면서 카메라는 꾸준히 개량 되어왔으며 필름의 ......
빛의이해-사진기
빛의이해-사진기
1. 카메라의 역사
카메라의 어원은 오랫동안 걸쳐 그림을 그리는 사생(寫生)도구로 사용되었던 카메라 옵스큐라 (Camera Obscur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라틴어로 `어두운 방`이란 뜻이다.
원리에 대해서 최초로 언급되었던 것은 BC 3세기경 아리스토텔레스의 <핀홀상의 방법론>에 이미 기록되어 있다.
그는 어두운 방의 벽면에 뚫린 작은 구멍에서 들어온 빛에 의해 반대편의 벽면에 바깥 풍경이 역상으로 비치는 현상을 기록했다.
15세기에 이르러,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에 의해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이용하여 좀 더 구체적인 원근법을 발표하였다.
16세기에 와서 이탈리아 과학자 포르타(Porta)에 의해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1558년 자연의 연필이라는 책을 썼으며 "만약 당신이 그림을 그릴 줄 모른다 해도 연필로 카메라 옵스큐라에 비쳐진 윤곽을 따라 그리고, 그 위에 색칠만 하면 된다"고 함으로써 카메라 옵스큐라를 그림을 그리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당시 화가들의 관심은 사실적인 묘사와 깊이 감을 느끼는 원근법에 있었다.
17세기 독일의 요한 찬(Johann Zahn)은 휴대할 수 있을 만큼 소형화했다. 이때까지는 그림을 그리는 도구에 불과했다.
19세기에 들어와서 감광재료를 이용하여 상을 영구적으로 정착시키고자하는 노력이 시도됨으로써 비로소 사진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후 카메라 옵스큐라는 많은 발전을 거듭하게 된다. 구멍 대신에 앞에다 볼록 렌즈를 부착하였으며, 렌즈의 발달과 셔터, 조리개 같은 기구를 붙인 것이 오늘날의 카메라이다.
<초기의 카메라>
① 다게레오 타입의 카메라
사진을 맨 처음 세상에 공식적으로 공표한 다게르는 자신이 발명한 사진술을 실험하기 위해 카메라 옵스쿠라의 개량형을 만들어 사용했는데, 파리의 광학상인 알퐁스 지루가 제작한 이 기계는 폭 39cm, 높이 32cm, 길이 50cm로 나누어진 두 부분의 나무 상자로 되어 있다.
카메라 앞에는 초점거리 약 38cm, 밝기 F 17의 렌즈가 붙어 있다. 셔터 대신에 어두운 덮개를 이용했다. 현재 프랑스, 영국, 독일, 미국, 일본 등 세계의 유수 박물관에 10여대가 보존되어 있다.
② 최초의 35mm 라이츠 카메라(라이카)
1913년 미국에서 화면 사이즈 18×24cm로 된 카메라를 생산 하였지만 1차 세계대전때 생산이 중단 되었다. 이후 몇 개국에서 만들었지만 휴대성과 실용성에서 실패를 하였다. 오늘날과 같은 모양을 갖추게 된 것은 알프스 산을 찍다가 무거운 장비 때문에 실폐를 한 오스칼 바넥에 의해서 이다. 세계적인 광학회사의 설립자인 독일의 라이츠 박사가 바넥의 의견을 신중히 받아들여 드디어 1925년 라이츠 1호 카메라를 세상에 선보였다. 크기와 실용성 그리고 정교함 등에서 획기적인 성능을 보였고, 첫해에 1,000대의 카메라가 팔릴 만큼 성공을 하였다. 이것이 시간이 지나면서 결함의 보완, 수정을 거듭하면서 오늘날 아마추어, 프로 모두에게 사랑을 받는 카메라가 되었다.
2. 카메라의 원리
카메라의 원리에 대한 첫 발견은 “어두운 방에 뚫린 작은 구멍으로 들어온 빛이 반대편 벽에 밖의 사물을 비친다.”는 현상에 대한 것으로서 그 기록을 처음으로 강의 노트에 남긴 사람이 BC 350년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였다. 그 후 서기 1000년에 아라비아의 알하젠은 “구멍의 크기에 따라서 영상의 선명도가 달라진다.”는 조리개의 기능을 발견하였다.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프랑스의 니엡스(1765~1833)에 이어 다게르에 의해 최초의 카메라가 발명되었는데 그의 이름을 따서 ‘다게레오타입 카메라’라고 지어 보급되었다. 그러나 사진 제작에 쓰이는 수은 증기의 독성이 강해서 그 제작자들의 생명이 단축되는 결점도 있었다. 1839년에 영국의 아마추어 과학자인 웰리엄 헨리 폭스 탈보트가 상을 영구히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는데 재생산면에서 철재보다 종이사진의 가치를 높이 여긴 그는 완전히 현상이 된 종이 네거티브를 다른 감광지와 함께 노광시켰는데 이것이 현재의 밀착인화라고 불리는 기법이다. 그 후에도 오늘날까지 카메라에 관한 300가지가 넘는 특허가 나오면서 카메라는 꾸준히 개량 되어왔으며 필름의 개량에 따라 칼라 사진도 나오게 된 것이다.
(1) 빛과 렌즈
빛은 사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이다. Photography의 단어가 `빛으로 그린다.`라는 어원에서 비롯되었듯이, 우리가 사물을 보고 기록할 수 있는 것은 사물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 있기 때문이다. 렌즈는 빛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러한 가장 기본적인 광화학적인 변화는 바늘구멍 카메라나 전자식 카메라나 동일하다. 다르다면 선명도를 높여 주고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2) 인간의 눈과 카메라의 렌즈
인간의 눈은 수정체(렌즈)의 두께 조절에 의하여 뚜렷한 상을 맺게 된다.
밝기에 따라 홍채(조리개)의 근육이 수축, 이완되면서 적당하게 동공의 크기가 조절된다.
동공을 통과한 빛이 망막(필름)에 맺히게 되고 망막에 연결된 시신경이 뇌로 전달, 사물을 감지하게 된다. 눈을 떠서 수정체를 통해 초점을 맞추고 밝기에 따라 홍채를 조절하여 망막에 상을 맺히게 한다. 이렇듯 카메라는 인간의 눈의 원리와 비슷하다. 그러나 우리가 눈으로 본 것이 사진에서 달리 나오는 것을 느낀 적이 있을 것이다. 좋지 않을 때도 있지만 좋게 나타날 때도 있다. 그것은 인간은 주간적인 판단이 포함되고, 카메라는 있는 현상을 그대로 묘사를 해버리기 때문이다. 카메라와 눈은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체로 카메라가 인간의 눈보다는 정확하다는 것이다.
예)
빛의 굴절 : 눈-수정체, 사진기-렌즈
빛의 양 조절 : 눈-홍채, 사진기-조리개
상이 맺힘 : 눈-망막, 사진기-필름
암실 기능 : 눈-맥락막, 사진기-어둠상자
빛의 차단 : 눈-눈꺼풀, 사진기-셔터
3. 카메라의 구조 및 기능
렌즈(Lens)
카메라의 어떤 부분보다도 가장 고가이
세계적인 광학회사의 설립자인 독일의 라이츠 박사가 바넥의 의견을 신중히 받아들여 드디어 1925년 라이츠 1호 카메라를 세상에 선보였다. 그러나 사진 제작에 쓰이는 수은 증기의 독성이 강해서 그 제작자들의 생명이 단축되는 결점도 있었다. 그 후 서기 1000년에 아라비아의 알하젠은 “구멍의 크기에 따라서 영상의 선명도가 달라진. 빛의이해-사진기 등록 FV . 구멍 대신에 앞에다 볼록 렌즈를 부착하였으며, 렌즈의 발달과 셔터, 조리개 같은 기구를 붙인 것이 오늘날의 카메라이다. 그 후에도 오늘날까지 카메라에 관한 300가지가 넘는 특허가 나오면서 카메라는 꾸준히 개량 되어왔으며 필름의 개량에 따라 칼라 사진도 나오게 된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눈으로 본 것이 사진에서 달리 나오는 것을 느낀 적이 있을 것이다. 눈을 떠서 수정체를 통해 초점을 맞추고 밝기에 따라 홍채를 조절하여 망막에 상을 맺히게 한다. (2) 인간의 눈과 카메라의 렌즈 인간의 눈은 수정체(렌즈)의 두께 조절에 의하여 뚜렷한 상을 맺게 된다. 다르다면 선명도를 높여 주고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프랑스의 니엡스(1765~1833)에 이어 다게르에 의해 최초의 카메라가 발명되었는데 그의 이름을 따서 ‘다게레오타입 카메라’라고 지어 보급되었다. 그는 어두운 방의 벽면에 뚫린 작은 구멍에서 들어온 빛에 의해 반대편의 벽면에 바깥 풍경이 역상으로 비치는 현상을 기록했다. 그러나 사진 제작에 쓰이는 수은 증기의 독성이 강해서 그 제작자들의 생명이 단축되는 결점도 있었다. 빛의이해-사진기 등록 FV . 빛의이해-사진기 등록 FV . 당시 화가들의 관심은 사실적인 묘사와 깊이 감을 느끼는 원근법에 있었다. 셔터 대신에 어두운 덮개를 이용했다. 2. 빛의이해-사진기 등록 FV . 그러나 대체로 카메라가 인간의 눈보다는 정확하다는 것이다. 이후 카메라 옵스큐라는 많은 발전을 거듭하게 된다. 현재 프랑스, 영국, 독일, 미국, 일본 등 세계의 유수 박물관에 10여대가 보존되어 있다. ② 최초의 35mm 라이츠 카메라(라이카) 1913년 미국에서 화면 사이즈 18×24cm로 된 카메라를 생산 하였지만 1차 세계대전때 생산이 중단 되었다. 19세기에 들어와서 감광재료를 이용하여 상을 영구적으로 정착시키고자하는 노력이 시도됨으로써 비로소 사진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빛의이해-사진기 등록 FV . 1839년에 영국의 아마추어 과학자인 웰리엄 헨리 폭스 탈보트가 상을 영구히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는데 재생산면에서 철재보다 종이사진의 가치를 높이 여긴 그는 완전히 현상이 된 종이 네거티브를 다른 감광지와 함께 노광시켰는데 이것이 현재의 밀착인화라고 불리는 기법이다. 세계적인 광학회사의 설립자인 독일의 라이츠 박사가 바넥의 의견을 신중히 받아들여 드디어 1925년 라이츠 1호 카메라를 세상에 선보였다. 빛의이해-사진기 등록 FV . 이후 몇 개국에서 만들었지만 휴대성과 실용성에서 실패를 하였다.빛의이해-사진기 빛의이해-사진기 1. 당시 화가들의 관심은 사실적인 묘사와 깊이 감을 느끼는 원근법에 있었다. 그것은 인간은 주간적인 판단이 포함되고, 카메라는 있는 현상을 그대로 묘사를 해버리기 때문이다. 이후 카메라 옵스큐라는 많은 발전을 거듭하게 된다. 1839년에 영국의 아마추어 과학자인 웰리엄 헨리 폭스 탈보트가 상을 영구히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는데 재생산면에서 철재보다 종이사진의 가치를 높이 여긴 그는 완전히 현상이 된 종이 네거티브를 다른 감광지와 함께 노광시켰는데 이것이 현재의 밀착인화라고 불리는 기법이다. Photography의 단어가 `빛으로 그린다. 예) 빛의 굴절 : 눈-수정체, 사진기-렌즈 빛의 양 조절 : 눈-홍채, 사진기-조리개 상이 맺힘 : 눈-망막, 사진기-필름 암실 기능 : 눈-맥락막, 사진기-어둠상자 빛의 차단 : 눈-눈꺼풀, 사진기-셔터 3. <초기의 카메라> ① 다게레오 타입의 카메라 사진을 맨 처음 세상에 공식적으로 공표한 다게르는 자신이 발명한 사진술을 실험하기 위해 카메라 옵스쿠라의 개량형을 만들어 사용했는데, 파리의 광학상인 알퐁스 지루가 제작한 이 기계는 폭 39cm, 높이 32cm, 길이 50cm로 나누어진 두 부분의 나무 상자로 되어 있다. 카메라의 구조 및 기능 렌즈(Lens) 카메라의 어떤 부분보다도 가장 고가이. 카메라의 원리 카메라의 원리에 대한 첫 발견은 “어두운 방에 뚫린 작은 구멍으로 들어온 빛이 반대편 벽에 밖의 사물을 비친다. 다르다면 선명도를 높여 주고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이렇듯 카메라는 인간의 눈의 원리와 비슷하다. 이런 원리를 이용하여 프랑스의 니엡스(1765~1833)에 이어 다게르에 의해 최초의 카메라가 발명되었는데 그의 이름을 따서 ‘다게레오타입 카메라’라고 지어 보급되었다. 그러나 우리가 눈으로 본 것이 사진에서 달리 나오는 것을 느낀 적이 있을 것이다. 구멍 대신에 앞에다 볼록 렌즈를 부착하였으며, 렌즈의 발달과 셔터, 조리개 같은 기구를 붙인 것이 오늘날의 카메라이다. 이러한 가장 기본적인 광화학적인 변화는 바늘구멍 카메라나 전자식 카메라나 동일하다. 크기와 실용성 그리고 정교함 등에서 획기적인 성능을 보였고, 첫해에 1,000대의 카메라가 팔릴 만큼 성공을 하였다. 카메라와 눈은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는 것이다.`라는 어원에서 비롯되었듯이, 우리가 사물을 보고 기록할 수 있는 것은 사물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 있기 때문이다. 좋지 않을 때도 있지만 좋게 나타날 때도 있다. 원리에 대해서 최초로 언급되었던 것은 BC 3세기경 아리스토텔레스의 <핀홀상의 방법론>에 이미 기록되어 있다. 카메라의 역사 카메라의 어원은 오랫동안 걸쳐 그림을 그리는 사생(寫生)도구로 사용되었던 카메라 옵스큐라 (Camera Obscur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라틴어로 `어두운 방`이란 뜻이다. 좋지 않을 때도 있지만 좋게 나타날 때도 있다. (1) 빛과 렌즈 빛은 사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이다.빛의이해-사진기 빛의이해-사진기 1. 크기와 실용성 그리고 정교함 등에서 획기적인 성능을 보였고, 첫해에 1,000대의 카메라가 팔릴 만큼 성공을 하였다. 카메라의 원리 카메라의 원리에 대한 첫 발견은 “어두운 방에 뚫린 작은 구멍으로 들어온 빛이 반대편 벽에 밖의 사물을 비친다. Photography의 단어가 `빛으로 그린다. 이때까지는 그림을 그리는 도구에 불과했다. 동공을 통과한 빛이 망막(필름)에 맺히게 되고 망막에 연결된 시신경이 뇌로 전달, 사물을 감지하게 된다. 그 후 서기 1000년에 아라비아의 알하젠은 “구멍의 크기에 따라서 영상의 선명도가 달라진 2. 오늘날과 같은 모양을 갖추게 된 것은 알프스 산을 찍다가 무거운 장비 때문에 실폐를 한 오스칼 바넥에 의해서 이다.”는 조리개의 기능을 발견하였다. <초기의 카메라> ① 다게레오 타입의 카메라 사진을 맨 처음 세상에 공식적으로 공표한 다게르는 자신이 발명한 사진술을 실험하기 위해 카메라 옵스쿠라의 개량형을 만들어 사용했는데, 파리의 광학상인 알퐁스 지루가 제작한 이 기계는 폭 39cm, 높이 32cm, 길이 50cm로 나누어진 두 부분의 나무 상자로 되어 있다. 현재 프랑스, 영국, 독일, 미국, 일본 등 세계의 유수 박물관에 10여대가 보존되어 있다.. ② 최초의 35mm 라이츠 카메라(라이카) 1913년 미국에서 화면 사이즈 18×24cm로 된 카메라를 생산 하였지만 1차 세계대전때 생산이 중단 되었다.”는 조리개의 기능을 발견하였다. 카메라 앞에는 초점거리 약 38cm, 밝기 F 17의 렌즈가 붙어 있다. 이때까지는 그림을 그리는 도구에 불과했다. 17세기 독일의 요한 찬(Johann Zahn)은 휴대할 수 있을 만큼 소형화했다.빛의이해-사진기 등록 FV . 카메라와 눈은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는 것이다. 17세기 독일의 요한 찬(Johann Zahn)은 휴대할 수 있을 만큼 소형화했다. 이렇듯 카메라는 인간의 눈의 원리와 비슷하다. 빛의이해-사진기 등록 FV . 이것이 시간이 지나면서 결함의 보완, 수정을 거듭하면서 오늘날 아마추어, 프로 모두에게 사랑을 받는 카메라가 되었다. 밝기에 따라 홍채(조리개)의 근육이 수축, 이완되면서 적당하게 동공의 크기가 조절된다. 이것이 시간이 지나면서 결함의 보완, 수정을 거듭하면서 오늘날 아마추어, 프로 모두에게 사랑을 받는 카메라가 되었다. 그는 어두운 방의 벽면에 뚫린 작은 구멍에서 들어온 빛에 의해 반대편의 벽면에 바깥 풍경이 역상으로 비치는 현상을 기록했다. 예) 빛의 굴절 : 눈-수정체, 사진기-렌즈 빛의 양 조절 : 눈-홍채, 사진기-조리개 상이 맺힘 : 눈-망막, 사진기-필름 암실 기능 : 눈-맥락막, 사진기-어둠상자 빛의 차단 : 눈-눈꺼풀, 사진기-셔터 3.. 15세기에 이르러,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에 의해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이용하여 좀 더 구체적인 원근법을 발표하였다. (2) 인간의 눈과 카메라의 렌즈 인간의 눈은 수정체(렌즈)의 두께 조절에 의하여 뚜렷한 상을 맺게 된다. 그러나 대체로 카메라가 인간의 눈보다는 정확하다는 것이다.”는 현상에 대한 것으로서 그 기록을 처음으로 강의 노트에 남긴 사람이 BC 350년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였다. 이러한 가장 기본적인 광화학적인 변화는 바늘구멍 카메라나 전자식 카메라나 동일하다.`라는 어원에서 비롯되었듯이, 우리가 사물을 보고 기록할 수 있는 것은 사물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 있기 때문이다. 카메라 앞에는 초점거리 약 38cm, 밝기 F 17의 렌즈가 붙어 있다. 눈을 떠서 수정체를 통해 초점을 맞추고 밝기에 따라 홍채를 조절하여 망막에 상을 맺히게 한다. 빛의이해-사진기 등록 FV . 빛의이해-사진기 등록 FV . 이후 몇 개국에서 만들었지만 휴대성과 실용성에서 실패를 하였다. 16세기에 와서 이탈리아 과학자 포르타(Porta)에 의해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1558년 자연의 연필이라는 책을 썼으며 "만약 당신이 그림을 그릴 줄 모른다 해도 연필로 카메라 옵스큐라에 비쳐진 윤곽을 따라 그리고, 그 위에 색칠만 하면 된다"고 함으로써 카메라 옵스큐라를 그림을 그리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빛의이해-사진기 등록 FV . 셔터 대신에 어두운 덮개를 이용했다. 원리에 대해서 최초로 언급되었던 것은 BC 3세기경 아리스토텔레스의 <핀홀상의 방법론>에 이미 기록되어 있다. 빛의이해-사진기 등록 FV . 렌즈는 빛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것은 인간은 주간적인 판단이 포함되고, 카메라는 있는 현상을 그대로 묘사를 해버리기 때문이다. 카메라의 역사 카메라의 어원은 오랫동안 걸쳐 그림을 그리는 사생(寫生)도구로 사용되었던 카메라 옵스큐라 (Camera Obscura)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라틴어로 `어두운 방`이란 뜻이다. 카메라의 구조 및 기능 렌즈(Lens) 카메라의 어떤 부분보다도 가장 고가이. 밝기에 따라 홍채(조리개)의 근육이 수축, 이완되면서 적당하게 동공의 크기가 조절된다. 16세기에 와서 이탈리아 과학자 포르타(Porta)에 의해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1558년 자연의 연필이라는 책을 썼으며 "만약 당신이 그림을 그릴 줄 모른다 해도 연필로 카메라 옵스큐라에 비쳐진 윤곽을 따라 그리고, 그 위에 색칠만 하면 된다"고 함으로써 카메라 옵스큐라를 그림을 그리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19세기에 들어와서 감광재료를 이용하여 상을 영구적으로 정착시키고자하는 노력이 시도됨으로써 비로소 사진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1) 빛과 렌즈 빛은 사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요소이다. 오늘날과 같은 모양을 갖추게 된 것은 알프스 산을 찍다가 무거운 장비 때문에 실폐를 한 오스칼 바넥에 의해서 이다. 렌즈는 빛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는 현상에 대한 것으로서 그 기록을 처음으로 강의 노트에 남긴 사람이 BC 350년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였다. 15세기에 이르러,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레오나르도 다빈치에 의해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를 이용하여 좀 더 구체적인 원근법을 발표하였다. 동공을 통과한 빛이 망막(필름)에 맺히게 되고 망막에 연결된 시신경이 뇌로 전달, 사물을 감지하게 된다. 그 후에도 오늘날까지 카메라에 관한 300가지가 넘는 특허가 나오면서 카메라는 꾸준히 개량 되어왔으며 필름의 개량에 따라 칼라 사진도 나오게 된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