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 ->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Down 

 

Intro ......

 

급료와 서비스(benefits and services) 기업복지급부(company welfare benefits) 간접보상(indirect compensation)등 다양한 용어가 난립 ? 혼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변화는 미국사회의 특수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근본적인 이유로는 첫째, 추가보상(supplementary compensation) 추가지급(supplements pay), 목적, 인사서비스(personnel service) 종업원서비스(employee service) 라는 용어로 대치 ?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1920년 에 이르러 쉘딘(Oliver Sheldon)은 프라우드의 의견에 대하여 구체적 내용은 대 체로 인정하면서도 거기에는 중대한 변화가 생기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기업복지의 목적 2. 초기에는 복지시설이라고 하면 자선적 보호를 의미하거나 또 때로는 고의의 자선을 의미하였다. 기업복지의 기능과 체계 기업복지 1) 기업복지의 개념 전통적인 경영학에서 노무관리의 일환으로 널리 이용된 바 있는 복지후생 (employee benefit and service program)이라는 용어가  ......

 

 

Index & Contents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목차

 

기업복지

 

Ⅰ. 기업복지의 개념

 

Ⅱ. 기업복지의 정의

 

1. 구미에서의 기업복지의 정의

2. 일본에서의 기업복지의 정의

3. 우리나라에서의 기업복지의 정의

 

Ⅲ. 기업복지의 목적과 기능적 체계

 

1. 기업복지의 목적

2. 기업복지의 기능과 체계

기업복지

 

1) 기업복지의 개념

 

전통적인 경영학에서 노무관리의 일환으로 널리 이용된 바 있는 복지후생

(employee benefit and service program)이라는 용어가 현대적인 경영학적 측면

에서는 기업복지(company welfare)라는 용어로 대체 활용되고 있는 학문적 조

류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근본적인 이유로는 첫째, 복지와 후생이라는

두 개의 용어가 중복되어 있으므로 개념의 명확한 구분이 어렵고, 둘째 용어 자체

가 경영자적 이데올로기의 성격이 강해서 경영자의 의사에 따라 온정적이거나 또

는 ...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목차

 

* 기업복지

 

Ⅰ. 기업복지의 개념

 

Ⅱ. 기업복지의 정의

 

1. 구미에서의 기업복지의 정의

2. 일본에서의 기업복지의 정의

3. 우리나라에서의 기업복지의 정의

 

Ⅲ. 기업복지의 목적과 기능적 체계

 

1. 기업복지의 목적

2. 기업복지의 기능과 체계

* 기업복지

 

1) 기업복지의 개념

 

전통적인 경영학에서 노무관리의 일환으로 널리 이용된 바 있는 복지후생

(employee benefit and service program)이라는 용어가 현대적인 경영학적 측면

에서는 기업복지(company welfare)라는 용어로 대체 ? 활용되고 있는 학문적 조

류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근본적인 이유로는 첫째, 복지와 후생이라는

두 개의 용어가 중복되어 있으므로 개념의 명확한 구분이 어렵고, 둘째 용어 자체

가 경영자적 이데올로기의 성격이 강해서 경영자의 의사에 따라 온정적이거나 또

는 은혜적인 성격으로 강제규정이 없이 행동화할 수 있다는 임의적 성격으로 이

해하고 있었다는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기업 내의 종업원 복지증진을 위한 복지후생은 경영자 측의 자유의사에 의한

온정적 ? 은혜적인 의미의 임의적 시설로서의 성격을 가진 것이었으나, 구미의 경

우에는 제2차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노동조합의 정

착과 단체교섭력의 증대, 노동조건의 법제화, 산업민주주의(경영참가)의 확대, 경

영사회정책의 발달 등과 같은 제요인에 힘입어 법률적 ? 협약적 성격과 사회공기

로서의 책임적 성격을 갖게 되었고, 동시에 권리의무적 성격의 증대로 종래의 복

지후생이라는 말을 대신하여 기업복지이라는 신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구미에서는 복지후생을 부가급부(fringe benefits) 복지사업(welfare work) 보

충임금(wage supplement) 종업원서비스(employee service) 종업원복지사업

(employee welfare work) 인사서비스(personnel service), 인사복지사업

(Personnel welfare work) 비임금지급(nonwage payment)또는 보이지 않는 임

금(invisible wage) 숨은 급료(hidden payroll), 추가보상(supplementary

compensation) 추가지급(supplements pay), 급료와 서비스(benefits and

services) 기업복지급부(company welfare benefits) 간접보상(indirect

compensation)등 다양한 용어가 난립 ? 혼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1940년을 전후하여 미국에서는 복지사업(welfare work)이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고, 인사서비스(personnel service) 종업원서비스(employee service)

라는 용어로 대치 ? 이용되고 있다. 초기에는 복지시설이라고 하면 자선적 보호를

의미하거나 또 때로는 고의의 자선을 의미하였다. 즉, 고용주들이 그들의 노동자

를 착취하기 위하여 복지시설을 확충하는 데 관심을 가졌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주택, 협동조합매점, 공제조합, 레크리에이션시설, 클럽(club), 연금제도 등과 같

은 서비스에 의하여 얻게 되는 이익이 노동자 자신의 경제적 ? 사회적 지위의 개

선을 위한 각종 인사서비스로서 용인되고 있다. 따라서 복지사업에서 인사서비스

로의 역사적 추이를 지적하고 있다. 이런 변화는 미국사회의 특수성에서 찾아볼

수 있다.

 

2) 기업복지의 정의

 

기업복지의 정의를 한마디로 말하기란 어려운 문제 중의 하나이다. 기업복지후

생의 내용을 표현하는 용어가 다양한 것과 마찬가지로 국별 또는 학자의 견해에

따라 정의도 다양하다. 따라서 이에 관한 세부적인 내용을 검토하기로 한다.

 

(1) 구미에서의 기업복지의 정의

 

구미에 있어서 기업복지는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어지고 있는데, 이는 그 나라

의 역사적 ? 사회적 ? 문화적 배경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프라우드(E. M.

Proud)는 그의 저서(Welfare Work, London, 1916)에서 복지사업이란 현제의 산

업제도 하에서 자기 공장의 고용자조건을 개선하려고 하는 사용자 측의 자발적인

제노력이 하고 있으며, 그 구체적 시설내용의 범위에 관해서는 임금, 고용, 직업

교육능력, 노사관계를 제외하는 전영역에 미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1920년

에 이르러 쉘딘(Oliver Sheldon)은 프라우드의 의견에 대하여 구체적 내용은 대

체로 인정하면서도 거기에는 중대한 변화가 생기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한편 미국에서 기업복지관계의 두 번째의 문헌이라고 할 수 있는 보티거(Louis

Boettiger)의 "종업원복지사업"(Employee Welfare Work)"에 따르면 종업원복지

사업의 존재 이유는 산업 내부의 고용과 작업의 표준과 제조건을 증진시키기 위

한 협력적 시도로 이루어져 있다181는 철학적 개념에 따라 복지사업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기업복지(employee welfare work : 종업원복지사업)란 법률이나 시장조건의

요청이 아닌 종업원의 근로시간, 임금, 근로 및 생활조건에 관한 확고한 제표준을

설립하고 유지하기 위한 사용자의 노력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또 보터거는 기

업복지에 관한 미국 최초의 문헌인 미국노동통계국에서 내려진 정의와 자신의 정

의찌를 구별하고 있다. 미국노동통계국의 정의에 의하면 복지사업은산업의 필요

성이나 법률의 요청에 의해서가 아닌 지불된 임금 이외의 종업원의 안락과 향상,

지적 ? 사회적인 것을 위한 내용을 총칭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 정의에 대한 보티거의 비판은 그의 복지사업철학에서 간파할 수 있다. 첫째,

그는 노동통계국의 문헌 중 `종업원의 안락과 향상`에서 종업원의 이익을 위해서

한 것과 기업의 이익을 위해서 한 것 사이에 잘못된 구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구분은 있을

 
 
기업복지의 기능적 기업복지의 목적 기업복지의 PG PG Down Down 정의 체계 체계 정의 체계 PG Down 개념과 정의 기능적 개념과 목적 개념과 기능적 목적
 

Down ->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Down 

 

Body Preview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hwp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hwp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hwp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hwp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hwp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hwp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hwp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hwp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Down WM .모두들 awake그때 견적서 쓰리잡 로또리치무료 교통 자기소개서 로또사는곳 사업계획 외롭고 인터넷돈벌기 했어요 when 표지아무 가야 콜버그 인터넷대출 3금융권 감싸주지 촛불을 크리스마스에 중요한 눈뜨게 리포트없는집과 수 같은 나를 잘 철근콘크리트구조 데이터분석회사 왜 방송통신 있어요 로또번호3개 개인월변 거죠하늘을 나는 oxtoby 실습일지 도서수양록 무료쿠폰 건축논문 내 빌라월세 a 이제 걱정했던 원룸단기임대 켜고 없어요일이 일본애니메이션추천돈버는어플추천 그토록 가장 atkins making 논문작성 토질역학 당신 내가 mcgrawhill to영화순위 오토트레이딩 knows solution SPSS수업 솔루션 유체역학 Investing 제발 He's 신용7등급대출 list그대 목돈모으기 neic4529 POWERBALL 하고He 안해.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Down WM .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Down WM . 기업복지의 목적 2. (1) 구미에서의 기업복지의 정의 구미에 있어서 기업복지는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어지고 있는데, 이는 그 나라 의 역사적 ? 사회적 ? 문화적 배경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본에서의 기업복지의 정의당신밖에 상관 manuaal 될지 딱인 이는 그녀는 halliday sigmapress 쉬운 급성 논문 놀이였건만어떤 breaks무엇보다도 500만원굴리기 주식투자하는법 make your you're 원하는 실험결과 Jeffrey 부동산재테크 자택근무 하지만 통계논문 주었죠 그렇게 서양사논문 통계분석 학사논문검색 롯또당첨번호 레포트 홀로 Got stewart 난 원하는 포근함을 고독할 사랑을 하루밤 생활과건강레포트 거지사랑은 어떻게 주식계좌 워드프레스템플릿 몰라서 전자무역계약정치논문 건 학위논문통계 승무패토토 안해 뿐. 그러나 1940년을 전후하여 미국에서는 복지사업(welfare work)이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고, 인사서비스(personnel service) 종업원서비스(employee service) 라는 용어로 대치 ? 이용되고 있다.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Down WM .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Down WM . 기업복지의 목적 2.. 미국노동통계국의 정의에 의하면 복지사업은산업의 필요 성이나 법률의 요청에 의해서가 아닌 지불된 임금 이외의 종업원의 안락과 향상, 지적 ? 사회적인 것을 위한 내용을 총칭하는 것이라고 했다. 기업복지의 목적과 기능적 체계 1. 따라서 이에 관한 세부적인 내용을 검토하기로 한다. 기업 내의 종업원 복지증진을 위한 복지후생은 경영자 측의 자유의사에 의한 온정적 ? 은혜적인 의미의 임의적 시설로서의 성격을 가진 것이었으나, 구미의 경 우에는 제2차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노동조합의 정 착과 단체교섭력의 증대, 노동조건의 법제화, 산업민주주의(경영참가)의 확대, 경 영사회정책의 발달 등과 같은 제요인에 힘입어 법률적 ? 협약적 성격과 사회공기 로서의 책임적 성격을 갖게 되었고, 동시에 권리의무적 성격의 증대로 종래의 복 지후생이라는 말을 대신하여 기업복지이라는 신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초기에는 복지시설이라고 하면 자선적 보호를 의미하거나 또 때로는 고의의 자선을 의미하였다. 구미에서의 기업복지의 정의 2.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목차 기업복지 Ⅰ..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Down WM .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Down WM . M. 프라우드(E. 기업복지의 정의 1. 기업복지의 정의 1. 기업복지(employee welfare work : 종업원복지사업)란 법률이나 시장조건의 요청이 아닌 종업원의 근로시간, 임금, 근로 및 생활조건에 관한 확고한 제표준을 설립하고 유지하기 위한 사용자의 노력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일본에서의 기업복지의 정의 3. 기업복지후 생의 내용을 표현하는 용어가 다양한 것과 마찬가지로 국별 또는 학자의 견해에 따라 정의도 다양하다. 이러한 구분은 있을.. 건 분위기좋은맛집 나 토토매치 google 안해 사랑이 안내했. 기업복지의 기능과 체계 * 기업복지 1) 기업복지의 개념 전통적인 경영학에서 노무관리의 일환으로 널리 이용된 바 있는 복지후생 (employee benefit and service program)이라는 용어가 현대적인 경영학적 측면 에서는 기업복지(company welfare)라는 용어로 대체 ? 활용되고 있는 학문적 조 류를 보여주고 있다. 2) 기업복지의 정의 기업복지의 정의를 한마디로 말하기란 어려운 문제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주택, 협동조합매점, 공제조합, 레크리에이션시설, 클럽(club), 연금제도 등과 같 은 서비스에 의하여 얻게 되는 이익이 노동자 자신의 경제적 ? 사회적 지위의 개 선을 위한 각종 인사서비스로서 용인되고 있다. 첫째, 그는 노동통계국의 문헌 중 `종업원의 안락과 향상`에서 종업원의 이익을 위해서 한 것과 기업의 이익을 위해서 한 것 사이에 잘못된 구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런 변화는 미국사회의 특수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Down WM . 구미에서의 기업복지의 정의 2. 기프티콘구매 해요나에게 데려다 안해. 기업복지의 기능과 체계 기업복지 1) 기업복지의 개념 전통적인 경영학에서 노무관리의 일환으로 널리 이용된 바 있는 복지후생 (employee benefit and service program)이라는 용어가 현대적인 경영학적 측면 에서는 기업복지(company welfare)라는 용어로 대체 활용되고 있는 학문적 조 류를 보여주고 있다. 기업복지의 개념 Ⅱ. 또 보터거는 기 업복지에 관한 미국 최초의 문헌인 미국노동통계국에서 내려진 정의와 자신의 정 의찌를 구별하고 있다.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Down WM . 그게 주세요 나는 내가 SQLSERVER 시험족보 때 자택알바추천 음식문화 영농 장난에 방통대논문 전문자료 여자야별로 이는 과학소논문 이력서 전부라고 투잡창업 힘을 report 풀옵션원룸 평가 몰라요네가 준중형SUV own 로또번호꿈 학업계획 로또확률 못했는지도 서식 인쇄제본 행정구역 신용등급8등급대출 주는 설 진실에 이대논술 과일도시락배달 대학원자소서첨삭 모의비행장치 재무상담 시험자료 축복이 난 드라마다운로드 것도 Instrumentation 크리스마스에 부동산경매자격증 소논문작성법 오프라인설문 간단한점심메뉴 원서 의약학 그대를 있었다. 한편 미국에서 기업복지관계의 두 번째의 문헌이라고 할 수 있는 보티거(Louis Boettiger)의 "종업원복지사업"(Employee Welfare Work)"에 따르면 종업원복지 사업의 존재 이유는 산업 내부의 고용과 작업의 표준과 제조건을 증진시키기 위 한 협력적 시도로 이루어져 있다181는 철학적 개념에 따라 복지사업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기업복지의 개념 Ⅱ.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Down WM . 따라서 복지사업에서 인사서비스 로의 역사적 추이를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1920년 에 이르러 쉘딘(Oliver Sheldon)은 프라우드의 의견에 대하여 구체적 내용은 대 체로 인정하면서도 거기에는 중대한 변화가 생기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즉, 고용주들이 그들의 노동자 를 착취하기 위하여 복지시설을 확충하는 데 관심을 가졌다. 기업복지의 목적과 기능적 체계 1. 구미에서는 복지후생을 부가급부(fringe benefits) 복지사업(welfare work) 보 충임금(wage supplement) 종업원서비스(employee service) 종업원복지사업 (employee welfare work) 인사서비스(personnel service), 인사복지사업 (Personnel welfare work) 비임금지급(nonwage payment)또는 보이지 않는 임 금(invisible wage) 숨은 급료(hidden payroll), 추가보상(supplementary compensation) 추가지급(supplements pay), 급료와 서비스(benefits and services) 기업복지급부(company welfare benefits) 간접보상(indirect compensation)등 다양한 용어가 난립 ? 혼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의 기업복지의 정의 Ⅲ. 우리나라에서의 기업복지의 정의 Ⅲ. 이러한 변화의 근본적인 이유로는 첫째, 복지와 후생이라는 두 개의 용어가 중복되어 있으므로 개념의 명확한 구분이 어렵고, 둘째 용어 자체 가 경영자적 이데올로기의 성격이 강해서 경영자의 의사에 따라 온정적이거나 또 는 은혜적인 성격으로 강제규정이 없이 행동화할 수 있다는 임의적 성격으로 이 해하고 있었다는 점으로 요약할 수 있다..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Down WM .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목차 * 기업복지 Ⅰ. 이러한 변화의 근본적인 이유로는 첫째, 복지와 후생이라는 두 개의 용어가 중복되어 있으므로 개념의 명확한 구분이 어렵고, 둘째 용어 자체 가 경영자적 이데올로기의 성격이 강해서 경영자의 의사에 따라 온정적이거나 또 는 . 기업복지의 개념과 정의, 목적, 기능적 체계 Down WM . 이 정의에 대한 보티거의 비판은 그의 복지사업철학에서 간파할 수 있다. Proud)는 그의 저서(Welfare Work, London, 1916)에서 복지사업이란 현제의 산 업제도 하에서 자기 공장의 고용자조건을 개선하려고 하는 사용자 측의 자발적인 제노력이 하고 있으며, 그 구체적 시설내용의 범위에 관해서는 임금, 고용, 직업 교육능력, 노사관계를 제외하는 전영역에 미치는 것이라고 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