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법에 맞도록 함으로서 원칙을 삼는다. 한글맞춤법 (1980) 5. 표기의 정신 I. → 정리 : ‘소리’란 자연에서 존재하고 있는 실재로, 어법에 맞도록 함으로써 원칙을 삼는다. 규범의 변화 1. 표기의 실제 III.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3. 서론 II. 그러나 형태소적 표기(기저형 표기)를 원칙으로 하고, 실직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를 구분하여 적는다. 소리와 어법의 개념 1. 규범의 변화 IV. IV. 다. 한글맞춤법이란 한글맞춤법의 원리는 `한글맞춤법` 총칙 제 1항에 나타나 있다. ‘소리’는 자연에서 존재하는 실재를 의미하는 개념이므로 ‘소리’는 문자 사용, 토는 그 웃말에 붙여 쓴다. 표기의 정신 I. 소리의 개념 가. ☞ 그러나 이 해석은 여러 가지 오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종성을 아울러 표기하는 방법 종성 표기 문자 : 8종성법, 해, 음소적 표기(표면형 표기) 연음 표기 방식 : 어간이나 어근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사나 어미 조사 등이 결합하여.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음소적 표기(표면형 ......
한글맞춤법원리
한글맞춤법원리
한글맞춤법의 원리
목차
I. 서론
II. 규범의 변화
IV. 소리와 어법의 개념
V. 표기의 실제
III. 기존의 해석과 문제점
VI. 표기의 정신
I. 서론
문자체계에 있어 한글 자모를 확립하고 국어를 표기하는 방법
한자(漢字)를 비롯한 외래문자체계에 의한 표기규범은 해당되지 않는다.
한글맞춤법이란
한글맞춤법의 원리는 `한글맞춤법` 총칙 제 1항에 나타나 있다.
총칙 제 1항 : 한글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한글맞춤법의 원리
I. 서론
II. 규범의 변화
1. 한글맞춤법통일안 이전
음절 표기법 : 초성과 중성, 종성을 아울러 표기하는 방법
종성 표기 문자 : 8종성법, 음소적 표기(표면형 표기)
연음 표기 방식 : 어간이나 어근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사나 어미 조사 등이 결합하여...
한글맞춤법의 원리
목차
I. 서론
II. 규범의 변화
IV. 소리와 어법의 개념
V. 표기의 실제
III. 기존의 해석과 문제점
VI. 표기의 정신
I. 서론
문자체계에 있어 한글 자모를 확립하고 국어를 표기하는 방법
한자(漢字)를 비롯한 외래문자체계에 의한 표기규범은 해당되지 않는다.
한글맞춤법이란
한글맞춤법의 원리는 `한글맞춤법` 총칙 제 1항에 나타나 있다.
총칙 제 1항 : 한글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한글맞춤법의 원리
I. 서론
II. 규범의 변화
1. 한글맞춤법통일안 이전
음절 표기법 : 초성과 중성, 종성을 아울러 표기하는 방법
종성 표기 문자 : 8종성법, 음소적 표기(표면형 표기)
연음 표기 방식 : 어간이나 어근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사나 어미 조사 등이 결합하여 연음이 될 경우에는
연음 되는 대로 표기하는 방식
`국문연구 의정안` 주시경 선생, 본음주의 이론에 의거 형태음소적표기(기저형 표기)법을 주창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1912)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 (1921)
`언문철자법` (1930)
이들은 일제의 조선총독부에서 교육용으로 정리한 것으로 초기에는 표음주의를 원칙으로 하였으나, 후기에는 형태주의 표기를 수용하여 전환하게 된다.
훈민정음 창제
개화기
일제강점기
II. 규범의 변화
2. 한글맞춤법통일안 (1933)
조선어학회에서 공식적으로 당시 학자들의 의견을 집약하여 통일안으로 내놓은 것
여기에서 제시된 원칙은 이후 남한과 북한의 맞춤법의 기간이 된다.
`개정한 한글맞춤법 통일안`(1958)의 총칙 제1항은 `한글맞춤법통일안`의 내용을 그대로 이어가고 있다.
3. 개정한 한글맞춤법 통일안 (1958)
一 한글 맞춤법은 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으로서 원칙을 삼는다.
二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 중류 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
三 문장의 명 단어는 띄어 쓰되, 토는 그 웃말에 붙여 쓴다.
1. 한글 맞춤법은 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으로써 원칙을 삼는다.
2.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의 중류 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
3. 문장의 각 낱말(단어)는 띄어 쓰되, 토는 그 윗말에 붙이어 쓴다.
II. 규범의 변화
제 1항에 ‘각 형태소를’을 추가하고, ‘어법에 맞게’를 ‘그 원형을 밝힘을’으로 수정하여
‘소리대로’와 ‘어법에 맞게’라는 두 개념이 표기법 상 대립되는 개념이 되게 한다.
1988년에 공시된 `한글맞춤법`에서는 제 1항이 1933년의 `한글맞춤법통일안`으로 돌아가게 된다.
4. 한글맞춤법 (1980)
5. 한글맞춤법 (1988)
1. 한글 맞춤법은 표준말의 각 형태소를 소리대로 적되, 그 원형을 밝힘을 원칙으로 한다.
2. 각 낱말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III. 기존의 해석과 문제점
제 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총칙 제 1항에 대한 기존의 해석
소리대로
어법에 맞게
→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음소적 표기 (표면형 표기)를 의미하는 것
ㄴ 한글은 소리글자이기 때문 ex) 감자, 다리, 하늘, 해, 고구마
이 규정은 글자와 소리를 동떨어지게 적는 문제를 막아준다.
→ 기본형을 밝혀 적는 형태소적 표기 (기저형 표기)를 의미하는 것
ㄴ 실질 형태소의 원형을 밝히고,
실직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를 구분하여 적는다.
☞ 그러나 이 해석은 여러 가지 오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잘못된 것이다.
III. 기존의 해석과 문제점
총칙 제 1항이 몇몇 오해들로 인해 잘못 해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소리와 어법의 개념을 잘못 파악한데서 기인한다.
기존의 해석의 문제점
소리대로
대부분은 ‘소리대로’를 ‘소리 나는 대로’라고 해석하지만 이는 잘못됐다.
‘소리’는 자연에서 존재하는 실재를 의미하는 개념이므로 ‘소리’는 문자 사용, 표기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소리대로’는 한글맞춤법 표기법의 기본 원칙이 된다.
어법에 맞게
‘소리대로’를 ‘소리 나는 대로’로 해석하면, ‘소리대로’와 ‘어법에 맞게’가 대립되는 것으로 오해하게 된다.
그러나 ‘소리대로’는 한글맞춤법 표기법의 기본 원칙이고, ‘어법에 맞게’는 한글 표기의 구체적인 방법이 되면서 상하의 관계가 된다.
한글맞춤법의 실제
‘소리대로’를 ‘소리 나는 대로’로 해석하면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이 기본이고, 기본형을 밝혀 적는 것이 예외적인 것으로 잘못 해석된다.
그러나 형태소적 표기(기저형 표기)를 원칙으로 하고, 음소적 표기(표면형 표기)를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것이 한글맞춤법의 실제이다.
IV. 소리와 어법의 개념
1. 소리의 개념
가. 문자와 대립되는 개념이다.
나. 소리에는 이치가 있다.
다. 소리의 이치와 문자의 이치가 같다.
(1) 훈민정음에서의 소리
(2) 개화기 때의 소리
가. `국어문전음학`, 주시경 :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천지에 스스로 존재한다.
나. `조선어문법`, 주시경 : 문자로 표기할 대상이다. 따라서 표기를 결정한다.
→ 정리 : ‘소리’란 자연에서 존재하고 있는 실재로, 스스로의 이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 이치에 따라 문자를 만들고 표기를 결정한다.
IV. 소리와 어법의 개념
TQ 한글맞춤법원리 Up TQ Up TQ Up 한글맞춤법원리 한글맞춤법원리
한글맞춤법의 원리 I. 규범의 변화 IV.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의 중류 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 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문장의 각 낱말(단어)는 띄어 쓰되, 토는 그 윗말에 붙이어 쓴다. 2. 한글맞춤법통일안 (1933) 조선어학회에서 공식적으로 당시 학자들의 의견을 집약하여 통일안으로 내놓은 것 여기에서 제시된 원칙은 이후 남한과 북한의 맞춤법의 기간이 된다. II. 그러나 ‘소리대로’는 한글맞춤법 표기법의 기본 원칙이고, ‘어법에 맞게’는 한글 표기의 구체적인 방법이 되면서 상하의 관계가 된다. 서론 II. III. 한글맞춤법이란 한글맞춤법의 원리는 `한글맞춤법` 총칙 제 1항에 나타나 있다. 소리와 어법의 개념. 한글맞춤법이란 한글맞춤법의 원리는 `한글맞춤법` 총칙 제 1항에 나타나 있다. 한글맞춤법원리 Up ME . 기존의 해석과 문제점 총칙 제 1항이 몇몇 오해들로 인해 잘못 해석되고 있다. 서론 II. 나. 소리의 이치와 문자의 이치가 같다. 규범의 변화 IV. 소리와 어법의 개념 V. 二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 중류 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 개정한 한글맞춤법 통일안 (1958) 一 한글 맞춤법은 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으로서 원칙을 삼는다. 기존의 해석의 문제점 소리대로 대부분은 ‘소리대로’를 ‘소리 나는 대로’라고 해석하지만 이는 잘못됐 규범의 변화 1. 문장의 각 낱말(단어)는 띄어 쓰되, 토는 그 윗말에 붙이어 쓴다. 기존의 해석과 문제점 VI. 각 낱말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한글 맞춤법은 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으로써 원칙을 삼는다. 서론 II. 따라서 그 이치에 따라 문자를 만들고 표기를 결정한다. 3. 규범의 변화 IV. 한글맞춤법원리 Up ME . 3. `국어문전음학`, 주시경 :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천지에 스스로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소리와 어법의 개념을 잘못 파악한데서 기인한다. 소리와 어법의 개념 1. 서론 II. 표기의 실제 III. 서론 II. 한글맞춤법의 원리 I. `국어문전음학`, 주시경 :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천지에 스스로 존재한다.한글맞춤법원리 한글맞춤법원리 한글맞춤법의 원리 목차 I. 표기의 정신 I.한글맞춤법원리 Up ME . 따라서 표기를 결정한다. ☞ 그러나 이 해석은 여러 가지 오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잘못된 것이다. → 정리 : ‘소리’란 자연에서 존재하고 있는 실재로, 스스로의 이치를 가지고 있다. 표기의 실제 III. 문자와 대립되는 개념이다. → 기본형을 밝혀 적는 형태소적 표기 (기저형 표기)를 의미하는 것 ㄴ 실질 형태소의 원형을 밝히고, 실직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를 구분하여 적는다. 훈민정음 창제 개화기 일제강점기 II. 한글맞춤법의 실제 ‘소리대로’를 ‘소리 나는 대로’로 해석하면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이 기본이고, 기본형을 밝혀 적는 것이 예외적인 것으로 잘못 해석된다. 소리의 개념 가. 서론 II. 한글 맞춤법은 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으로써 원칙을 삼는다. 한글맞춤법원리 Up ME . 다. 나. 개정한 한글맞춤법 통일안 (1958) 一 한글 맞춤법은 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으로서 원칙을 삼는다. 기존의 해석과 문제점 총칙 제 1항이 몇몇 오해들로 인해 잘못 해석되고 있다. ☞ 그러나 이 해석은 여러 가지 오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잘못된 것이다. 다. 총칙 제 1항 : 한글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한글맞춤법의 원리 I. 서론 문자체계에 있어 한글 자모를 확립하고 국어를 표기하는 방법 한자(漢字)를 비롯한 외래문자체계에 의한 표기규범은 해당되지 않는다.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III. IV. 한글맞춤법원리 Up ME . 한글맞춤법이란 한글맞춤법의 원리는 `한글맞춤법` 총칙 제 1항에 나타나 있다. 서론 II. `개정한 한글맞춤법 통일안`(1958)의 총칙 제1항은 `한글맞춤법통일안`의 내용을 그대로 이어가고 있다. 규범의 변화 1. 소리의 개념 가. 한글맞춤법원리 Up ME . 한글맞춤법 (1980) 5. 한글맞춤법통일안 (1933) 조선어학회에서 공식적으로 당시 학자들의 의견을 집약하여 통일안으로 내놓은 것 여기에서 제시된 원칙은 이후 남한과 북한의 맞춤법의 기간이 된다. (1) 훈민정음에서의 소리 (2) 개화기 때의 소리 가.. 소리와 어법의 개념 1. ‘소리’는 자연에서 존재하는 실재를 의미하는 개념이므로 ‘소리’는 문자 사용, 표기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표기의 정신 I. 규범의 변화 제 1항에 ‘각 형태소를’을 추가하고, ‘어법에 맞게’를 ‘그 원형을 밝힘을’으로 수정하여 ‘소리대로’와 ‘어법에 맞게’라는 두 개념이 표기법 상 대립되는 개념이 되게 한다. `조선어문법`, 주시경 : 문자로 표기할 대상이다. (1) 훈민정음에서의 소리 (2) 개화기 때의 소리 가. 따라서 그 이치에 따라 문자를 만들고 표기를 결정한다. 총칙 제 1항 : 한글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三 문장의 명 단어는 띄어 쓰되, 토는 그 웃말에 붙여 쓴다. 규범의 변화 IV. 한글맞춤법원리 Up ME . 기존의 해석과 문제점 VI. 기존의 해석과 문제점 제 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1988년에 공시된 `한글맞춤법`에서는 제 1항이 1933년의 `한글맞춤법통일안`으로 돌아가게 된다. 한글맞춤법의 실제 ‘소리대로’를 ‘소리 나는 대로’로 해석하면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이 기본이고, 기본형을 밝혀 적는 것이 예외적인 것으로 잘못 해석된다.. 1988년에 공시된 `한글맞춤법`에서는 제 1항이 1933년의 `한글맞춤법통일안`으로 돌아가게 된다. `조선어문법`, 주시경 : 문자로 표기할 대상이다. 서론 문자체계에 있어 한글 자모를 확립하고 국어를 표기하는 방법 한자(漢字)를 비롯한 외래문자체계에 의한 표기규범은 해당되지 않는다. II. 기존의 해석과 문제점 제 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규범의 변화 1. 그러나 형태소적 표기(기저형 표기)를 원칙으로 하고, 음소적 표기(표면형 표기)를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것이 한글맞춤법의 실제이다. 서론 문자체계에 있어 한글 자모를 확립하고 국어를 표기하는 방법 한자(漢字)를 비롯한 외래문자체계에 의한 표기규범은 해당되지 않는다. 기존의 해석의 문제점 소리대로 대부분은 ‘소리대로’를 ‘소리 나는 대로’라고 해석하지만 이는 잘못됐. 그러나 ‘소리대로’는 한글맞춤법 표기법의 기본 원칙이고, ‘어법에 맞게’는 한글 표기의 구체적인 방법이 되면서 상하의 관계가 된다. 나.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표기의 실제 III. 총칙 제 1항 : 한글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소리와 어법의 개념 V. 제3항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한글맞춤법원리 Up ME . 한글맞춤법원리 Up ME .한글맞춤법원리 한글맞춤법원리 한글맞춤법의 원리 목차 I. 二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 중류 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 소리와 어법의 개념 V. 한글맞춤법 (1988) 1. IV. 소리와 어법의 개념... 문자와 대립되는 개념이다. 그러나 형태소적 표기(기저형 표기)를 원칙으로 하고, 음소적 표기(표면형 표기)를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것이 한글맞춤법의 실제이다. 기존의 해석과 문제점 VI.. 따라서 표기를 결정한다. 한글맞춤법통일안 이전 음절 표기법 : 초성과 중성, 종성을 아울러 표기하는 방법 종성 표기 문자 : 8종성법, 음소적 표기(표면형 표기) 연음 표기 방식 : 어간이나 어근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사나 어미 조사 등이 결합하여. 총칙 제 1항 : 한글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규범의 변화 제 1항에 ‘각 형태소를’을 추가하고, ‘어법에 맞게’를 ‘그 원형을 밝힘을’으로 수정하여 ‘소리대로’와 ‘어법에 맞게’라는 두 개념이 표기법 상 대립되는 개념이 되게 한다. 그러므로 ‘소리대로’는 한글맞춤법 표기법의 기본 원칙이 된다. 소리에는 이치가 있다. 3. III. 한글맞춤법통일안 이전 음절 표기법 : 초성과 중성, 종성을 아울러 표기하는 방법 종성 표기 문자 : 8종성법, 음소적 표기(표면형 표기) 연음 표기 방식 : 어간이나 어근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사나 어미 조사 등이 결합하여 연음이 될 경우에는 연음 되는 대로 표기하는 방식 `국문연구 의정안` 주시경 선생, 본음주의 이론에 의거 형태음소적표기(기저형 표기)법을 주창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1912)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 (1921) `언문철자법` (1930) 이들은 일제의 조선총독부에서 교육용으로 정리한 것으로 초기에는 표음주의를 원칙으로 하였으나, 후기에는 형태주의 표기를 수용하여 전환하게 된다. 한글맞춤법의 원리 목차 I. 이러한 문제점은 소리와 어법의 개념을 잘못 파악한데서 기인한다. 서론 문자체계에 있어 한글 자모를 확립하고 국어를 표기하는 방법 한자(漢字)를 비롯한 외래문자체계에 의한 표기규범은 해당되지 않는다. 한글 맞춤법은 표준말의 각 형태소를 소리대로 적되, 그 원형을 밝힘을 원칙으로 한다. → 정리 : ‘소리’란 자연에서 존재하고 있는 실재로, 스스로의 이치를 가지고 있다. 한글맞춤법원리 Up ME . 규범의 변화 2. 표기의 정신 I.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의 중류 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 서론 II. 제1항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2. 규범의 변화 1. 1. 한글맞춤법의 원리 I. 총칙 제 1항에 대한 기존의 해석 소리대로 어법에 맞게 →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음소적 표기 (표면형 표기)를 의미하는 것 ㄴ 한글은 소리글자이기 때문 ex) 감자, 다리, 하늘, 해, 고구마 이 규정은 글자와 소리를 동떨어지게 적는 문제를 막아준다. 규범의 변화 2. 한글 맞춤법은 표준말의 각 형태소를 소리대로 적되, 그 원형을 밝힘을 원칙으로 한다. ‘소리’는 자연에서 존재하는 실재를 의미하는 개념이므로 ‘소리’는 문자 사용, 표기의 기본이 되는 것이다. 훈민정음 창제 개화기 일제강점기 II. 1. 소리에는 이치가 있다. 한글맞춤법원리 Up ME . 어법에 맞게 ‘소리대로’를 ‘소리 나는 대로’로 해석하면, ‘소리대로’와 ‘어법에 맞게’가 대립되는 것으로 오해하게 된다. 三 문장의 명 단어는 띄어 쓰되, 토는 그 웃말에 붙여 쓴다. 기존의 해석과 문제점 VI. 소리의 이치와 문자의 이치가 같다. 어법에 맞게 ‘소리대로’를 ‘소리 나는 대로’로 해석하면, ‘소리대로’와 ‘어법에 맞게’가 대립되는 것으로 오해하게 된다. 각 낱말은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한글맞춤법 (1980) 5. 2. 한글맞춤법원리 Up ME . 한글맞춤법의 원리 목차 I.. 3. IV. 소리와 어법의 개념 V. 그러므로 ‘소리대로’는 한글맞춤법 표기법의 기본 원칙이 된다. 한글맞춤법 (1988) 1. 한글맞춤법통일안 이전 음절 표기법 : 초성과 중성, 종성을 아울러 표기하는 방법 종성 표기 문자 : 8종성법, 음소적 표기(표면형 표기) 연음 표기 방식 : 어간이나 어근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사나 어미 조사 등이 결합하여 연음이 될 경우에는 연음 되는 대로 표기하는 방식 `국문연구 의정안` 주시경 선생, 본음주의 이론에 의거 형태음소적표기(기저형 표기)법을 주창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1912) `보통학교용언문철자법대요` (1921) `언문철자법` (1930) 이들은 일제의 조선총독부에서 교육용으로 정리한 것으로 초기에는 표음주의를 원칙으로 하였으나, 후기에는 형태주의 표기를 수용하여 전환하게 된다. 2. III. 표기의 정신 I. `개정한 한글맞춤법 통일안`(1958)의 총칙 제1항은 `한글맞춤법통일안`의 내용을 그대로 이어가고 있다. 한글맞춤법이란 한글맞춤법의 원리는 `한글맞춤법` 총칙 제 1항에 나타나 있다. IV. 한글맞춤법통일안 이전 음절 표기법 : 초성과 중성, 종성을 아울러 표기하는 방법 종성 표기 문자 : 8종성법, 음소적 표기(표면형 표기) 연음 표기 방식 : 어간이나 어근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접사나 어미 조사 등이 결합하여. → 기본형을 밝혀 적는 형태소적 표기 (기저형 표기)를 의미하는 것 ㄴ 실질 형태소의 원형을 밝히고, 실직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를 구분하여 적는다. 4. 표기의 실제 III. 4. 나. 총칙 제 1항에 대한 기존의 해석 소리대로 어법에 맞게 →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음소적 표기 (표면형 표기)를 의미하는 것 ㄴ 한글은 소리글자이기 때문 ex) 감자, 다리, 하늘, 해, 고구마 이 규정은 글자와 소리를 동떨어지게 적는 문제를 막아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