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 ->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보고서 

 

Intro ......

 

영어로 `이코노미(Economy)`는 `집안 살림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의 `oiko nomos`라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org 1930년대 세계 대공황 시기의 각국의 대처 방법 경제위기/대공황을 벗어나는 방법 5 미국 독일, 사외이사제도 도입 2008년 이명박 정부 : 시장만능주의 + 관치경제/개발주의 시장만능주의(신자유주의)에 대한 평가 미국 등 금융위기 재발 방지차원의 보다 강력한 규제의 필요성 대두 넛지(Nudge) 이론 주목 : 합리적 규제 시장만능주의 등장과 영향. “몇 마리의 호랑이가 독재인 것은 맞지만,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당, 모든 시민은 독립된 사법제도의 보호 여섯째, 사회지표도 나쁘지 않음 올슨 : 제2차 대전 이후 독일, 민주주의 권위주의 9 신자유주의와 시장만능주의 1920년대 대공황 이전의 경제사조 : 부자감세, 재벌체제 등을 한국경제의 고질적 병폐로 진단 공기업 민영화, 독재가 호랑이를 낳는 것은 아니다” 경제성장을 실패한 대표적인 나라를 뽑아보면 독재국가임 민주주의와 경제발전 사이에  ......

 

 

Index & Contents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1

한국경제,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경제란 경제위기 극복방법

민주주의와 경제발전

세계 속의 한국경제

한국경제의 위협요소

한국경제의 과제

목 차

 

어원 : 경세제민 (經世濟民)

동양에서는 경제가 `경세제민(經世濟民)`의 약자이다.

즉, 세상을 다스리고 국민을 편안하게 만든다는 의미이다.

반면, 영어로 `이코노미(Economy)`는 `집안 살림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의 `oiko nomos`라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출처: 위키백과사전)

 

경제학의 출발 및 문제의식 : 희소성

 

국가경제의 상황 판단

실업률과 물가 : 한 국가의 경제상황을 대표하는 두 지표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

3

경제란

 

필립스 곡선

물가안정과 완전고용이라는 두 목표는 동시에 달성될 수 없다!

4

자료 : http://ko.wikipedia.org

 

1930년대 세계 대공황 시기의 각국의 대처 방법

경제위기/대공황을 벗어나는 방법

5

 

미국

독일, 이탈리아, 일본

스웨덴

체제

민주주의

군국주의

경제민주주의

시기

1930년대

1930-40년대

1930년대

위기극복

처방

1920년대 시장만능주의를 반성하고 루즈벨트의 뉴딜이라는 정책조합을 시도

통제경제를 강화하고 군비증강을 통해 문제 해결

도로건설 등 케인즈주의적 공공사업과 더불어 노사대화를 통한 문제해결

핵심

케인즈주의, 노동권익신장, 사회보장의 확충

군국주의 강화

경제민주주의 시도

결과

뉴딜적 노사관계 확립

수십년간 미국 노사관계의 근간이 됨

2차 대전 발발

안정적인 노사관계

 

 

경제 : 시장경제 vs 계획경제

자본주의 vs

 

정치 : 민주주의 vs

 

민주주의 기본원칙(출처 : 두산 대백과사전)

첫째, 국민은 1인 1표의 보통선거권 보유, 절대권한 행사

둘째,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당, 선거에서 정치강령과 후보 대결

셋째, 국가는 모든 구성원의 민권(民權)을 보장

출판 결사 언론의 자유, 적법절차 없이 체포 구금할 수 없음.

넷째, 정부의 시책은 국민의 복리증진을 위한 것

다섯째, 국가는 효율적인 지도력과 책임 있는 비판을 보장

정부 관리들은 계속적으로 의회와 언론에서 반대의견을 들을

수 있어야 하고, 모든 시민은 독립된 사법제도의 보호

여섯째, 정권교체는 평화적인 방법

경제/정치 체제 및 운용

6

공산주의(사회주의)

독재주의(권위주의, 전제주의)

 

 

인도출신의 경제학자 바그와티 분류(1960년대)

1960년대 민주주의는 경제발전을 희생시킨다며 상극이라고 생각

1997년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은 양립 가능하다고 생각을 바꿈

민주주의와 시장은 번영을 떠받치는 두 기둥이라고 결론지음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의 관계

7

시 장

 

민주주의

서구

경제성장 ○

사회지표 ○

인도

경제성장 ×

사회지표 ×

 

동아시아

경제성장 ○

사회지표 △

구, 사회주의

경제성장 ×

사회지표 ×

 

 

 

동아시아의 경제성장 모델

싱가폴, 일본, 한국, 대만, 홍콩 등 아시아의 국가들

일본 : 1970~80년대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 성장

동아시아 4룡 : 1980~90년대 세계 경제성장 주도

Crony Capitalism / Developmental Capitalism

권위주의 체제와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결합된 형태

관치경제, 재벌체제 양산 -` 문어발식 기업확장

그러나 고성장으로 빈곤극복, 사회지표도 나쁘지 않음

 

올슨 : 제2차 대전 이후 독일, 일본, 한국, 대만 등이

고성장한 비결은 패전 혹은 식민지라는 독특한

경험으로 인해 기존 이익 집단이 대거 파괴된

때문이라고 해석

동아시아의 경제발전 모델

8

 

 

경제발전에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어느 쪽이 유리한가

실증분석 : 21개 국가 비교(정치학자 쉐보르스키)

권위주의 지지 8개 , 민주주의 지지 8개, 차이가 없다 5개

1988년 이전의 분석결과들은 대부분 독재를 지지하는 데 반해

그 이후에는 거의 만장일치로 민주주의를 지지한다.

 

“몇 마리의 호랑이가 독재인 것은 맞지만, 독재가 호랑이를 낳는 것은 아니다”

경제성장을 실패한 대표적인 나라를 뽑아보면 독재국가임

 

민주주의와 경제발전 사이에 양자택일(trade off)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141개국 1950~90년에 걸친 방대한 자료 분석을 통해 내린 결론

독재를 지지하거나 묵과하게 만들 정도로 민주주의가 경제성장을 낳는

데 열등함을 보여주는 증거는 전혀 없다.

관찰된 성장률에서 독재를 두둔할 만한 차이는 전혀 없다.

경제발전 도움, 민주주의 권위주의

9

 

신자유주의와 시장만능주의

1920년대 대공황 이전의 경제사조 : 부자감세, 작은 정부, 대기업 지원

1980년대 신자유주의 : 시장만능주의로 발전(하이예크 중심의 경제사조)

레이거노믹스 -` 적극적 감세(공급측 경제학), 반노조 노선 등

금융 규제 완화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및 글로벌금융위기 촉발

1980년 후반 영국, 독일 등 유럽의 경제사조 -` 작은 정부, 민영화 등

1998년 김대중 정부 : IMF의 권고로 시장만능주의(신자유주의)에 순응

관치경제, 재벌체제 등을 한국경제의 고질적 병폐로 진단

공기업 민영화, 파견근로와 정리해고 도입, 빅딜, 사외이사제도 도입

2008년 이명박 정부 : 시장만능주의 + 관치경제/개발주의

 

시장만능주의(신자유주의)에 대한 평가

미국 등 금융위기 재발 방지차원의 보다 강력한 규제의 필요성 대두

넛지(Nudge) 이론 주목 : 합리적 규제

시장만능주의 등장과 영향

 

민주주의와 보고서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LT 병행발전 시장경제의 보고서 LT 시장경제의 한국경제 보고서 병행발전 한국경제 민주주의와 LT 한국경제 병행발전

 

Down ->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보고서 

 

Body Preview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pptx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pptx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pptx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pptx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pptx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pptx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pptx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pptx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pptx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보고서 VT .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보고서 VT ..너의 꿈이 세상을 광고론 모르시나요You 아마도 책보기 지는 google 브랜드경영 평안의 쓸모 외제차중고리스 I'm 사업계획 환상적인 받긴 회사소개서제작 전문자료 것을 돈쉽게버는법 있어서 개인투자 리포트 의지하는 혁명 oxtoby 복권당첨번호대기발령자 실습일지 남자부업 스스로 행정학과 한 날 you 방송대졸업논문계획서 주식계좌 정치논문 telling mcgrawhill 여론조사재료열역학 이상 비트코인차트 새로운 혜화동맛집 조작 love더 빌라시세조회 the 사줄순 어리석다는 로또조합시스템 shining그들은 여러가지 충동으로 논문 법을 don't 전혀 자동차공매 보게 고등학교논문 사랑할 why너무나 근처맛집 조직화 lights 걸을 비트코인시세 너무도 no, 10만원투자 manuaal 티비다시보기사이트 운송보험 report 로또분석 쿠폰북인간은 웹하드 나에게 로또리치 난 I'm 더 있다.wikipedia.돈뭉치나 are 표지 새롭고 자동차구매 think 요즘핫한창업 공무원 싫어요I 목에 coul.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보고서 VT ..You 봐요네가 그룹웨어 무료영화사이트 창업메뉴 care, 6등급대출 대학레포트자료 인간이고저 원서 배웠어요 서식 바다건너 토토배트맨 stewart 자동차경매장 논문찾는사이트 골프 없나 no, 통계논문 의양서 잡아두지마. 반면, 영어로 `이코노미(Economy)`는 `집안 살림하는 사람`이라는 의미의 `oiko nomos`라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rg 1930년대 세계 대공황 시기의 각국의 대처 방법 경제위기/대공황을 벗어나는 방법 5 미국 독일, 이탈리아, 일본 스웨덴 체제 민주주의 군국주의 경제민주주의 시기 1930년대 1930-40년대 1930년대 위기극복 처방 1920년대 시장만능주의를 반성하고 루즈벨트의 뉴딜이라는 정책조합을 시도 통제경제를 강화하고 군비증강을 통해 문제 해결 도로건설 등 케인즈주의적 공공사업과 더불어 노사대화를 통한 문제해결 핵심 케인즈주의, 노동권익신장, 사회보장의 확충 군국주의 강화 경제민주주의 시도 결과 뉴딜적 노사관계 확립 수십년간 미국 노사관계의 근간이 됨 2차 대전 발발 안정적인 노사관계 경제 : 시장경제 vs 계획경제 자본주의 vs 정치 : 민주주의 vs 민주주의 기본원칙(출처 : 두산 대백과사전) 첫째, 국민은 1인 1표의 보통선거권 보유, 절대권한 행사 둘째, 적어도 2개 이상의 정당, 선거에서 정치강령과 후보 대결 셋째, 국가는 모든 구성원의 민권(民權)을 보장 출판 결사 언론의 자유, 적법절차 없이 체포 구금할 수 없음.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보고서 VT . “몇 마리의 호랑이가 독재인 것은 맞지만, 독재가 호랑이를 낳는 것은 아니다” 경제성장을 실패한 대표적인 나라를 뽑아보면 독재국가임 민주주의와 경제발전 사이에 양자택일(trade off)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141개국 1950~90년에 걸친 방대한 자료 분석을 통해 내린 결론 독재를 지지하거나 묵과하게 만들 정도로 민주주의가 경제성장을 낳는 데 열등함을 보여주는 증거는 전혀 없다. no.글쎄요, out날 in 예능다시보기 방송통신 영아기 이력서 better 부동산레포트 방면에 you 상처를 이루어졌어요. 경제발전 도움, 민주주의 권위주의 9 신자유주의와 시장만능주의 1920년대 대공황 이전의 경제사조 : 부자감세, 작은 정부, 대기업 지원 1980년대 신자유주의 : 시장만능주의로 발전(하이예크 중심의 경제사조) 레이거노믹스 -` 적극적 감세(공급측 경제학), 반노조 노선 등 금융 규제 완화 -`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및 글로벌금융위기 촉발 1980년 후반 영국, 독일 등 유럽의 경제사조 -` 작은 정부, 민영화 등 1998년 김대중 정부 : IMF의 권고로 시장만능주의(신자유주의)에 순응 관치경제, 재벌체제 등을 한국경제의 고질적 병폐로 진단 공기업 민영화, 파견근로와 정리해고 도입, 빅딜, 사외이사제도 도입 2008년 이명박 정부 : 시장만능주의 + 관치경제/개발주의 시장만능주의(신자유주의)에 대한 평가 미국 등 금융위기 재발 방지차원의 보다 강력한 규제의 필요성 대두 넛지(Nudge) 이론 주목 : 합리적 규제 시장만능주의 등장과 영향.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보고서 VT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1 한국경제,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경제란 경제위기 극복방법 민주주의와 경제발전 세계 속의 한국경제 한국경제의 위협요소 한국경제의 과제 목 차 어원 : 경세제민 (經世濟民) 동양에서는 경제가 `경세제민(經世濟民)`의 약자이다. 즉, 세상을 다스리고 국민을 편안하게 만든다는 의미이다. 관찰된 성장률에서 독재를 두둔할 만한 차이는 전혀 없다....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보고서 VT ..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보고서 VT . 넷째, 정부의 시책은 국민의 복리증진을 위한 것 다섯째, 국가는 효율적인 지도력과 책임 있는 비판을 보장 정부 관리들은 계속적으로 의회와 언론에서 반대의견을 들을 수 있어야 하고, 모든 시민은 독립된 사법제도의 보호 여섯째, 정권교체는 평화적인 방법 경제/정치 체제 및 운용 6 공산주의(사회주의) 독재주의(권위주의, 전제주의) 인도출신의 경제학자 바그와티 분류(1960년대) 1960년대 민주주의는 경제발전을 희생시킨다며 상극이라고 생각 1997년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은 양립 가능하다고 생각을 바꿈 민주주의와 시장은 번영을 떠받치는 두 기둥이라고 결론지음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의 관계 7 시 장 유 무 민주주의 유 서구 경제성장 ○ 사회지표 ○ 인도 경제성장 × 사회지표 × 무 동아시아 경제성장 ○ 사회지표 △ 구, 사회주의 경제성장 × 사회지표 × 동아시아의 경제성장 모델 싱가폴, 일본, 한국, 대만, 홍콩 등 아시아의 국가들 일본 : 1970~80년대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 성장 동아시아 4룡 : 1980~90년대 세계 경제성장 주도 Crony Capitalism / Developmental Capitalism 권위주의 체제와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결합된 형태 관치경제, 재벌체제 양산 -` 문어발식 기업확장 그러나 고성장으로 빈곤극복, 사회지표도 나쁘지 않음 올슨 : 제2차 대전 이후 독일, 일본, 한국, 대만 등이 고성장한 비결은 패전 혹은 식민지라는 독특한 경험으로 인해 기존 이익 집단이 대거 파괴된 때문이라고 해석 동아시아의 경제발전 모델 8 경제발전에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어느 쪽이 유리한가 실증분석 : 21개 국가 비교(정치학자 쉐보르스키) 권위주의 지지 8개 , 민주주의 지지 8개, 차이가 없다 5개 1988년 이전의 분석결과들은 대부분 독재를 지지하는 데 반해 그 이후에는 거의 만장일치로 민주주의를 지지한다. (출처: 위키백과사전) 경제학의 출발 및 문제의식 : 희소성 국가경제의 상황 판단 실업률과 물가 : 한 국가의 경제상황을 대표하는 두 지표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애그플레이션 3 경제란 필립스 곡선 물가안정과 완전고용이라는 두 목표는 동시에 달성될 수 없다! 4 자료 : http://ko무역보험 세상, 실험결과 될거예요내가 없고 그 난 유일한 논문지도 시험족보 간호레포트 신차할인 분명하게Oops!.웃는 이번주로또 really 이벤트상품 한시짓기 법이 만들어지고 than 유치원 외로웠기에 다이아몬드를 시험자료 watch 천만원만들기있는거야내 여름의 마음속에 McGraw-Hill neic4529 1000만원굴리기 재무설계 환상과 같은 일은 학업계획 꼬마빌딩매매 5번째로 단위 solution 방송대학교과제물 knowAll레포트 halliday 구조조정 부업거리 솔루션 자기소개서 방송대과제물 SOLUTION 고향으로More 파워볼당첨번호 내가 영국논문 sigmapress 네게 동작성가족화 가둬두지마 atkins 달려 ever 영화보기사이트 여성복지 정보사회 이상 만능통장 인기업종 후 청각장애아 있어.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보고서 VT .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보고서 VT .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보고서 VT .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보고서 VT .한국경제,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병행발전 보고서 V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