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 -> 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DownLoad 

 

Intro ......

 

치사율은 1% 이하이다. 8. 어패류에서 흔히 번식하므로 생식을 삼가고 식품의 가열조리와 저온저장에 의하여 예방한다.4℃ 이하)와 냉동실온도(-17. 3. 가스괴저군 식중독 가스괴저균(壞疽菌)은 혐기성(嫌氣性) 박테리아로서 조리 전의 식품 특히 도살한 고기를 실온에 방치하였을 때 이 세균의 좋은 배양기가 되어 빠른 속도로 번식하면서 독소를 내뿜는다. 세균의 오염을 막기 위해서는 식품을 취급할 때 잘 익혀질 때까지 조리하거나 재가열하여야 한다. 6. 발생건수는 적은 편이지만 사망률은 가장 높다. 이것은 지금까지 알려진 독소 중에서 가장 심한 독성을 가진 것으로서 68%의 치사율을 나타내고 있다.8℃ 이하)를 유지하자 12) 조리한 식품은 바로 섭취하자 [참조] 네이버 백과사전 . 보툴리누스중독증 보툴리누스균이 식품에 오염되어 생성한 독소가 원인이 되어 중독된다. 살모넬라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식중독의 가장 일반적인 균으로 인식된다. 7. 구역질·구토·복통·설사 등의 증세를 나타내다가 1∼2일이면 치유되고  ......

 

 

Index & Contents

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사회과학]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1. 자연식중독

동·식물성 자연식품 중에 하나의 정상적인 구성분으로 존재하는 고유한 독성물질에 의한 중독으로서, 복어·모시조개·섭조개 등에 들어 있는 동물성 자연독과, 독버섯 등에 들어 있는 식물성 자연독이 자주 식중독을 일으킨다. 발생건수는 적은 편이지만 사망률은 가장 높다.

 

2. 미생물 독성대사물질에 의한 식중독

맥각중독과 진균독(眞菌毒) 중독이 있다. 맥각곰팡이(Claviceps purpurea)에 오염되어 흑청색으로 변한 보리를 말하며, 그 양이 많은 경우에는 독성물질로 작용한다. 진균독(mycotoxin)은 곰팡이류의 대사산물에 의해 사람이나 동물에게 급성 또는 만성장애를 일으키는 물질군의 총칭으로서, 현재까지 많은 진균독이 발견되었다.

진균류는 쌀·땅콩을 비롯한 탄수화물이 풍부한 농산물이나 곡류에서 잘 번식하며, 특히 한국의 메주에서는 진균독의 일종인 아플라톡신(aflatoxin)이, 변질미에서는 황변미독이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이들 진균독은 동물실험 결과 독성이 매우 강하며 발암성이 있다고 한다.

 

3. 살모넬라증

세균성 식중독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한 후 12∼24시간이 지나면 증세가 나타난다. 주로 구토·복통·설사가 갑자기 나타나면서 두통·오한이 뒤따른다. 이러한 증세는 2∼3일이 지나면 치유되고, 치사율은 1% 이하이다.

살모넬라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식중독의 가장 일반적인 균으로 인식된다.

살모넬라균 보균자의 대변과 쥐·돼지·개·고양이 등의 분변은 세균의 중요한 급원이 되며, 특히 쥐는 이 세균을 배설·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세균의 오염을 막기 위해서는 식품을 취급할 때 잘 익혀질 때까지 조리하거나 재가열하여야 한다. 쥐를 잡아 오염원을 없애도록 하고, 식품을 냉장함으로써 식품 내의 균의 번식을 억제해야 한다. 세균오염의 염려가 있으면 가열하여 세균을 죽인다.

 

4. 보툴리누스중독증

보툴리누스균이 식품에 오염되어 생성한 독소가 원인이 되어 중독된다. 이것은 지금까지 알려진 독소 중에서 가장 심한 독성을 가진 것으로서 68%의 치사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독소는 위나 장관에서 직접 흡수되어 12∼24시간 내에 뇌조직을 침해하여 복시(複視:물체가 이중으로 보임), 연하곤란(嚥下困難)·언어장애·호흡곤란 등을 수반하여 죽게 된다.

보툴리누스균은 일종의 단백질인데 열로 파괴(100℃에서 15분 가열)되기 때문에 충분히 가열하면 중독을 막을 수 있다. 이 식중독은 주로 통조림식품이 완전히 살균되지 못했을 때 나타나므로, 통조림식품은 반드시 신용 있는 제조회사에서 만든 제품을 선택하고, 통조림통이 부풀어 오른 것은 먹지 말며, 의심스러운 식품은 폐기하도록 한다.

 

5. 포도상구균 식중독

포도상구균이 식품에 오염되어 생성한 독소가 원인이 되어 중독되는 것으로서, 이 독소는 체내에 들어간 지 2∼3시간 내에 발병하는 것이 특징이다. 구역질·구토·복통·설사 등의 증세를 나타내다가 1∼2일이면 치유되고 치사율은 아주 낮다.

이 세균은 보통 사람의 상기도부(上氣道部)나 피부표면에 붙어서 종기나 전염병을 일으킨다. 따라서 식품을 더러운 손으로 취급하거나, 기침을 할 때 균이 음식에 들어가면 그 음식은 세균의 좋은 배양기(培養基)가 되어 증식하면서 독소를 내뿜는다. 이런 식품은 가열하여도 세균만 죽을 뿐 독소는 열에 강하여 파괴되지 않으므로 식중독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이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하여는 세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품을 냉장보존하고 손을 청결히 하며, 손에 화농이 있는 사람은 조리를 하지 말아야 한다.

 

6. 장염비브리오성 식중독

장염비브리오균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한 후 11∼15시간이 지나면 증세가 나타난다. 주로 복통(상복부 격통)과 발열이 있고, 구토·설사·구역질을 한다. 어패류에서 흔히 번식하므로 생식을 삼가고 식품의 가열조리와 저온저장에 의하여 예방한다. 또한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하게 씻어서 섭취한다.

 

7. 가스괴저군 식중독

가스괴저균(壞疽菌)은 혐기성(嫌氣性) 박테리아로서 조리 전의 식품 특히 도살한 고기를 실온에 방치하였을 때 이 세균의 좋은 배양기가 되어 빠른 속도로 번식하면서 독소를 내뿜는다. 중독증세는 섭취 후 12∼18시간이면 나타나는데, 주로 설사와 복통을 수반하는 비교적 가벼운 증세이고, 열이나 구토가 나는 일은 없다. 예방을 위하여 고기를 깨끗이 처리해서 냉장해야 한다.

 

8. 생활 속 올바른 식중독 예방법

1) 반드시 유통기한을 확인할 것

2) 식품의 용기. 포장에 표시된 보존기준대로 보관 밎 관리되지 않은 식품은 구입하지 말 것.

3) 유통기한 내 소비할 수 있도록 너무 많이 구입치 말 것.

4) 식품의 용기 및 포장이 파손되었거나 찌그러진 것 등 관리상태가 불량한 제품은 구입하지 말 것

5) 개봉한 식품은 가급적 빨리 소비할 것.

6)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폐기하거나 구입처 또는 제조업소에 반품 할 것.

7) 식사하기전과 음식을 할 때에는 꼭 손을 씻자

8) 고기와 생선 날 음식은 피하고 음식 조리 후에는 주변을 청결하게 하자

9) 과일이나 채소는 그냥 먹지 말고 꼭 씻어서 먹자

10) 남은 음식은 2시간 이상 상온에 두지말자

11) 냉장실온도(4.4℃ 이하)와 냉동실온도(-17.8℃ 이하)를 유지하자

12) 조리한 식품은 바로 섭취하자

 

 

 

[참조] 네이버 백과사전

 

 

종류와 자료실 식중독의 아동영양학 DownLoad 식중독의 OU 사회과학 - 및 - 식중독의 대처방안 종류와 및 증상 OU 아동영양학 - OU 대처방안 증상 DownLoad 아동영양학 및 사회과학 종류와 사회과학 자료실 자료실 증상 DownLoad 대처방안

 

Down -> 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DownLoad 

 

Body Preview

 

[사회과학]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hwp [사회과학]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hwp

 

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DownLoad HC . 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DownLoad HC . 6)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폐기하거나 구입처 또는 제조업소에 반품 할 것. 자연식중독 동·식물성 자연식품 중에 하나의 정상적인 구성분으로 존재하는 고유한 독성물질에 의한 중독으로서, 복어·모시조개·섭조개 등에 들어 있는 동물성 자연독과, 독버섯 등에 들어 있는 식물성 자연독이 자주 식중독을 일으킨다. 살모넬라증 세균성 식중독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한 후 12∼24시간이 지나면 증세가 나타난다. 주로 구토·복통·설사가 갑자기 나타나면서 두통·오한이 뒤따른다. 보툴리누스균은 일종의 단백질인데 열로 파괴(100℃에서 15분 가열)되기 때문에 충분히 가열하면 중독을 막을 수 있다. 주로 복통(상복부 격통)과 발열이 있고, 구토·설사·구역질을 한다. 또한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하게 씻어서 섭취한다. 세균의 오염을 막기 위해서는 식품을 취급할 때 잘 익혀질 때까지 조리하거나 재가열하여야 한다. 장염비브리오성 식중독 장염비브리오균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한 후 11∼15시간이 지나면 증세가 나타난다. 살모넬라균 보균자의 대변과 쥐·돼지·개·고양이 등의 분변은 세균의 중요한 급원이 되며, 특히 쥐는 이 세균을 배설·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미생물 독성대사물질에 의한 식중독 맥각중독과 진균독(眞菌毒) 중독이 있다. 이러한 증세는 2∼3일이 지나면 치유되고, 치사율은 1% 이하이다. 보툴리누스중독증 보툴리누스균이 식품에 오염되어 생성한 독소가 원인이 되어 중독된다.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사회과학]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1. 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DownLoad HC . 진균류는 쌀·땅콩을 비롯한 탄수화물이 풍부한 농산물이나 곡류에서 잘 번식하며, 특히 한국의 메주에서는 진균독의 일종인 아플라톡신(aflatoxin)이, 변질미에서는 황변미독이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이 세균은 보통 사람의 상기도부(上氣道部)나 피부표면에 붙어서 종기나 전염병을 일으킨다.. 세균의 오염을 막기 위해서는 식품을 취급할 때 잘 익혀질 때까지 조리하거나 재가열하여야 한다. 포장에 표시된 보존기준대로 보관 밎 관리되지 않은 식품은 구입하지 말 것. 어패류에서 흔히 번식하므로 생식을 삼가고 식품의 가열조리와 저온저장에 의하여 예방한다. 이 독소는 위나 장관에서 직접 흡수되어 12∼24시간 내에 뇌조직을 침해하여 복시(複視:물체가 이중으로 보임), 연하곤란(嚥下困難)·언어장애·호흡곤란 등을 수반하여 죽게 된다. 세균오염의 염려가 있으면 가열하여 세균을 죽인다. 2. 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DownLoad HC .8℃ 이하)를 유지하자 12) 조리한 식품은 바로 섭취하자 [참조] 네이버 백과사전 . 8. 세균오염의 염려가 있으면 가열하여 세균을 죽인다. 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DownLoad HC . 4. 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DownLoad HC . 3) 유통기한 내 소비할 수 있도록 너무 많이 구입치 말 것. 따라서 식품을 더러운 손으로 취급하거나, 기침을 할 때 균이 음식에 들어가면 그 음식은 세균의 좋은 배양기(培養基)가 되어 증식하면서 독소를 내뿜는다. 이 식중독은 주로 통조림식품이 완전히 살균되지 못했을 때 나타나므로, 통조림식품은 반드시 신용 있는 제조회사에서 만든 제품을 선택하고, 통조림통이 부풀어 오른 것은 먹지 말며, 의심스러운 식품은 폐기하도록 한다. 포도상구균 식중독 포도상구균이 식품에 오염되어 생성한 독소가 원인이 되어 중독되는 것으로서, 이 독소는 체내에 들어간 지 2∼3시간 내에 발병하는 것이 특징이다. 3. 4. 포장에 표시된 보존기준대로 보관 밎 관리되지 않은 식품은 구입하지 말 것. 살모넬라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식중독의 가장 일반적인 균으로 인식된다. 맥각곰팡이(Claviceps purpurea)에 오염되어 흑청색으로 변한 보리를 말하며, 그 양이 많은 경우에는 독성물질로 작용한다. 3) 유통기한 내 소비할 수 있도록 너무 많이 구입치 말 것. 따라서 식품을 더러운 손으로 취급하거나, 기침을 할 때 균이 음식에 들어가면 그 음식은 세균의 좋은 배양기(培養基)가 되어 증식하면서 독소를 내뿜는다. 중독증세는 섭취 후 12∼18시간이면 나타나는데, 주로 설사와 복통을 수반하는 비교적 가벼운 증세이고, 열이나 구토가 나는 일은 없다. 이 세균은 보통 사람의 상기도부(上氣道部)나 피부표면에 붙어서 종기나 전염병을 일으킨다. 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DownLoad HC . 구역질·구토·복통·설사 등의 증세를 나타내다가 1∼2일이면 치유되고 치사율은 아주 낮다. 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DownLoad HC . 3. 이들 진균독은 동물실험 결과 독성이 매우 강하며 발암성이 있다고 한다. 식품을 냉장보존하고 손을 청결히 하며, 손에 화농이 있는 사람은 조리를 하지 말아야 한다. 7) 식사하기전과 음식을 할 때에는 꼭 손을 씻자 8) 고기와 생선 날 음식은 피하고 음식 조리 후에는 주변을 청결하게 하자 9) 과일이나 채소는 그냥 먹지 말고 꼭 씻어서 먹자 10) 남은 음식은 2시간 이상 상온에 두지말자 11) 냉장실온도(4. 6. 이런 식품은 가열하여도 세균만 죽을 뿐 독소는 열에 강하여 파괴되지 않으므로 식중독을 일으킨다. 8. 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DownLoad HC . 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DownLoad HC . 쥐를 잡아 오염원을 없애도록 하고, 식품을 냉장함으로써 식품 내의 균의 번식을 억제해야 한다. 이러한 증세는 2∼3일이 지나면 치유되고, 치사율은 1% 이하이다. 구역질·구토·복통·설사 등의 증세를 나타내다가 1∼2일이면 치유되고 치사율은 아주 낮다. 7. 가스괴저군 식중독 가스괴저균(壞疽菌)은 혐기성(嫌氣性) 박테리아로서 조리 전의 식품 특히 도살한 고기를 실온에 방치하였을 때 이 세균의 좋은 배양기가 되어 빠른 속도로 번식하면서 독소를 내뿜는다. 이런 식품은 가열하여도 세균만 죽을 뿐 독소는 열에 강하여 파괴되지 않으므로 식중독을 일으킨다.4℃ 이하)와 냉동실온도(-17.8℃ 이하)를 유지하자 12) 조리한 식품은 바로 섭취하자 [참조] 네이버 백과사전 .4℃ 이하)와 냉동실온도(-17. 보툴리누스균은 일종의 단백질인데 열로 파괴(100℃에서 15분 가열)되기 때문에 충분히 가열하면 중독을 막을 수 있다. 4) 식품의 용기 및 포장이 파손되었거나 찌그러진 것 등 관리상태가 불량한 제품은 구입하지 말 것 5) 개봉한 식품은 가급적 빨리 소비할 것. 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DownLoad HC . 주로 복통(상복부 격통)과 발열이 있고, 구토·설사·구역질을 한다. 발생건수는 적은 편이지만 사망률은 가장 높다. 또한 흐르는 수돗물에 깨끗하게 씻어서 섭취한다. 발생건수는 적은 편이지만 사망률은 가장 높다. 5.. 2. 주로 구토·복통·설사가 갑자기 나타나면서 두통·오한이 뒤따른다. 가스괴저군 식중독 가스괴저균(壞疽菌)은 혐기성(嫌氣性) 박테리아로서 조리 전의 식품 특히 도살한 고기를 실온에 방치하였을 때 이 세균의 좋은 배양기가 되어 빠른 속도로 번식하면서 독소를 내뿜는다. 예방을 위하여 고기를 깨끗이 처리해서 냉장해야 한 살모넬라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식중독의 가장 일반적인 균으로 인식된다. 이 식중독은 주로 통조림식품이 완전히 살균되지 못했을 때 나타나므로, 통조림식품은 반드시 신용 있는 제조회사에서 만든 제품을 선택하고, 통조림통이 부풀어 오른 것은 먹지 말며, 의심스러운 식품은 폐기하도록 한다. 6)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은 폐기하거나 구입처 또는 제조업소에 반품 할 것. 자연식중독 동·식물성 자연식품 중에 하나의 정상적인 구성분으로 존재하는 고유한 독성물질에 의한 중독으로서, 복어·모시조개·섭조개 등에 들어 있는 동물성 자연독과, 독버섯 등에 들어 있는 식물성 자연독이 자주 식중독을 일으킨다.. 중독증세는 섭취 후 12∼18시간이면 나타나는데, 주로 설사와 복통을 수반하는 비교적 가벼운 증세이고, 열이나 구토가 나는 일은 없다. 그러므로 이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하여는 세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생활 속 올바른 식중독 예방법 1) 반드시 유통기한을 확인할 것 2) 식품의 용기. 7. 보툴리누스중독증 보툴리누스균이 식품에 오염되어 생성한 독소가 원인이 되어 중독된다. 7) 식사하기전과 음식을 할 때에는 꼭 손을 씻자 8) 고기와 생선 날 음식은 피하고 음식 조리 후에는 주변을 청결하게 하자 9) 과일이나 채소는 그냥 먹지 말고 꼭 씻어서 먹자 10) 남은 음식은 2시간 이상 상온에 두지말자 11) 냉장실온도(4.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사회과학]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1. 장염비브리오성 식중독 장염비브리오균에 오염된 식품을 섭취한 후 11∼15시간이 지나면 증세가 나타난다. 이것은 지금까지 알려진 독소 중에서 가장 심한 독성을 가진 것으로서 68%의 치사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진균독은 동물실험 결과 독성이 매우 강하며 발암성이 있다고 한다. 사회과학 자료실 아동영양학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 DownLoad HC . 어패류에서 흔히 번식하므로 생식을 삼가고 식품의 가열조리와 저온저장에 의하여 예방한다. 6. 식품을 냉장보존하고 손을 청결히 하며, 손에 화농이 있는 사람은 조리를 하지 말아야 한다. 맥각곰팡이(Claviceps purpurea)에 오염되어 흑청색으로 변한 보리를 말하며, 그 양이 많은 경우에는 독성물질로 작용한다. 4) 식품의 용기 및 포장이 파손되었거나 찌그러진 것 등 관리상태가 불량한 제품은 구입하지 말 것 5) 개봉한 식품은 가급적 빨리 소비할 것. 이 독소는 위나 장관에서 직접 흡수되어 12∼24시간 내에 뇌조직을 침해하여 복시(複視:물체가 이중으로 보임), 연하곤란(嚥下困難)·언어장애·호흡곤란 등을 수반하여 죽게 된다. 그러므로 이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하여는 세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균류는 쌀·땅콩을 비롯한 탄수화물이 풍부한 농산물이나 곡류에서 잘 번식하며, 특히 한국의 메주에서는 진균독의 일종인 아플라톡신(aflatoxin)이, 변질미에서는 황변미독이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예방을 위하여 고기를 깨끗이 처리해서 냉장해야 한. 살모넬라균 보균자의 대변과 쥐·돼지·개·고양이 등의 분변은 세균의 중요한 급원이 되며, 특히 쥐는 이 세균을 배설·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쥐를 잡아 오염원을 없애도록 하고, 식품을 냉장함으로써 식품 내의 균의 번식을 억제해야 한다. 진균독(mycotoxin)은 곰팡이류의 대사산물에 의해 사람이나 동물에게 급성 또는 만성장애를 일으키는 물질군의 총칭으로서, 현재까지 많은 진균독이 발견되었다. 생활 속 올바른 식중독 예방법 1) 반드시 유통기한을 확인할 것 2) 식품의 용기. 진균독(mycotoxin)은 곰팡이류의 대사산물에 의해 사람이나 동물에게 급성 또는 만성장애를 일으키는 물질군의 총칭으로서, 현재까지 많은 진균독이 발견되었다. 5. 미생물 독성대사물질에 의한 식중독 맥각중독과 진균독(眞菌毒) 중독이 있다. 포도상구균 식중독 포도상구균이 식품에 오염되어 생성한 독소가 원인이 되어 중독되는 것으로서, 이 독소는 체내에 들어간 지 2∼3시간 내에 발병하는 것이 특징이다. 살모넬라증 세균성 식중독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한 후 12∼24시간이 지나면 증세가 나타난다. 이것은 지금까지 알려진 독소 중에서 가장 심한 독성을 가진 것으로서 68%의 치사율을 나타내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