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 -> 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Down 

 

Intro ......

 

리,“放/加/弄+형용사/동사” 구조의 복합동사 3.2 형용사, c, ‘보내다’, ‘없애다’ 등이 있다.3 “放/加/弄+형용사/동사” 구조의 복합동사 3..4 “동사+使” 구조의 복합동사 4. 사동사의 유형 3.1 불완전 사동사 3. 즉, ‘조종하다’,, 타동사와의 겸류사 3.4 “동사+使” 구조의 복합동사 4. 위의 예문 중 a, b, 자동사, ‘주다/끼치다’, d는 단형 사동문이고 e는 장형 사동문이다. 어휘적 사동법은 동사의 어근 자체가 사동 표현을 수행하는 것이고 형태적 사동법은 파생적으로나 굴곡적으로 사동표현을 실현하는 경우이다. 이 두 가지 표현 양식 사이에는 의미상 커다란 차이가 있다. 사동사의 유형 3. 장형사동은 사동 보조 동사를 써서 표현하는 사동법으로 “보조 사동법” 또는 긴꼴 사동법(long form)이라고도 하고 단형사동은 사동 접미사를 첨가하여 표현하는 사동법으로 “접미 사동법” 또는 “짧은꼴 사동법(short form)이라고도 한다. 사동사의 명칭과 개념 3. 어휘적 사동법은 구조상으로나 의미상으로 별다른 문제가 없어 여기서는 논외로  ......

 

 

Index & Contents

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1. 서 론 2. 사동사의 명칭과 개념 3. 사동사의 유형 3.1 불완전 사동사 3.2 형용사, 자동사, 타동사와의 겸류사 3.3 “放/加/弄+형용사/동사” 구조의 복합동사 3.4 “동사+使” 구조의 복합동사 4. 결 론 FileSize : 44K

 

1. 서 론 2. 사동사의 명칭과 개념 3. 사동사의 유형 3.1 불완전 사동사 3.2 형용사, 자동사, 타동사와의 겸류사 3.3 “放/加/弄+형용사/동사” 구조의 복합동사 3.4 “동사+使” 구조의 복합동사 4. 결 론국어에서는 사동법을 크게 장형사동과 단형사동으로 분류한다. 사동법은 보통 세 가지로 구분한다. 어휘적 사동법은 동사의 어근 자체가 사동 표현을 수행하는 것이고 형태적 사동법은 파생적으로나 굴곡적으로 사동표현을 실현하는 경우이다. 그리고 통사적 사동법은 원인과 결과를 분리된 두 동사로 각각 실현하는 경우이다. 즉, 영어에서 비-사동동사 die에 대하여 kill로써 사동표현이 실현되는 것은 어휘적 사동법에 해당되고 한국어에서 사동접미사인 이, 히, 기, 리, 우, 추를 첨가하여 표현하는 것은 형태적 사동법에 해당되며 동사에 “-게 만들다” 혹은 “-게 하다”를 첨가하여 만들어내는 표현은 통사적 사동법에 해당되는 것이다. 김형배(1997 : 33~34) 참조, 국어의 어휘적 사동법을 실현하는 동사로는 ‘시키다’, ‘조종하다’, ‘보내다’, ‘주다/끼치다’, ‘없애다’ 등이 있다. 어휘적 사동법은 구조상으로나 의미상으로 별다른 문제가 없어 여기서는 논외로 한다. 장형사동은 사동 보조 동사를 써서 표현하는 사동법으로 “보조 사동법” 또는 긴꼴 사동법(long form)이라고도 하고 단형사동은 사동 접미사를 첨가하여 표현하는 사동법으로 “접미 사동법” 또는 “짧은꼴 사동법(short form)이라고도 한다. 위의 예문 중 a, b, c, d는 단형 사동문이고 e는 장형 사동문이다. 이 두 가지 표현 양식 사이에는 의미상 커다란 차이가 있다.

 
 
사동사 중국어의 중국어의 연구 QT 사동사 QT 연구 현대 올립니다 현대 Down 중문학 Down Down 중문학 중국어의 올립니다 중문학 연구 사동사 현대 QT 올립니다
 

Down -> 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Down 

 

Body Preview

 

중어중문과_21.hwp 중어중문과_21.hwp 중어중문과_21.hwp 중어중문과_21.hwp 중어중문과_21.hwp 중어중문과_21.hwp 중어중문과_21.hwp 중어중문과_21.hwp 중어중문과_21.hwp

 

어휘적 사동법은 구조상으로나 의미상으로 별다른 문제가 없어 여기서는 논외로 한다.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Down JL . 사동사의 유형 3. 결 론 FileSize : 44K . 서 론 2. 서 론 2. 사동사의 유형 3. 이 두 가지 표현 양식 사이에는 의미상 커다란 차이가 있다. 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Down JL . 위의 예문 중 a, b, c, d는 단형 사동문이고 e는 장형 사동문이다. 장형사동은 사동 보조 동사를 써서 표현하는 사동법으로 “보조 사동법” 또는 긴꼴 사동법(long form)이라고도 하고 단형사동은 사동 접미사를 첨가하여 표현하는 사동법으로 “접미 사동법” 또는 “짧은꼴 사동법(short form)이라고도 한다..2 형용사, 자동사, 타동사와의 겸류사 3. 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Down JL .4 “동사+使” 구조의 복합동사 4. 그리고 통사적 사동법은 원인과 결과를 분리된 두 동사로 각각 실현하는 경우이다. 사동사의 유형 3. 사동법은 보통 세 가지로 구분한다. 즉, 영어에서 비-사동동사 die에 대하여 kill로써 사동표현이 실현되는 것은 어휘적 사동법에 해당되고 한국어에서 사동접미사인 이, 히, 기, 리, 우, 추를 첨가하여 표현하는 것은 형태적 사동법에 해당되며 동사에 “-게 만들다” 혹은 “-게 하다”를 첨가하여 만들어내는 표현은 통사적 사동법에 해당되는 것이다. 김형배(1997 : 33~34) 참조, 국어의 어휘적 사동법을 실현하는 동사로는 ‘시키다’, ‘조종하다’, ‘보내다’, ‘주다/끼치다’, ‘없애다’ 등이 있다.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1. 사동사의 명칭과 개념 3. 결 론국어에서는 사동법을 크게 장형사동과 단형사동으로 분류한다.3 “放/加/弄+형용사/동사” 구조의 복합동사 3. 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Down JL . 사동법은 보통 세 가지로 구분한다.4 “동사+使” 구조의 복합동사 4.1 불완전 사동사 3. 위의 예문 중 a, b, c, d는 단형 사동문이고 e는 장형 사동문이다. 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Down JL . 장형사동은 사동 보조 동사를 써서 표현하는 사동법으로 “보조 사동법” 또는 긴꼴 사동법(long form)이라고도 하고 단형사동은 사동 접미사를 첨가하여 표현하는 사동법으로 “접미 사동법” 또는 “짧은꼴 사동법(short form)이라고도 한다.4 “동사+使” 구조의 복합동사 4. 사동사의 유형 3. 어휘적 사동법은 구조상으로나 의미상으로 별다른 문제가 없어 여기서는 논외로 한다..2 형용사, 자동사, 타동사와의 겸류사 3. 어휘적 사동법은 동사의 어근 자체가 사동 표현을 수행하는 것이고 형태적 사동법은 파생적으로나 굴곡적으로 사동표현을 실현하는 경우이다. 이 두 가지 표현 양식 사이에는 의미상 커다란 차이가 있다. 어휘적 사동법은 동사의 어근 자체가 사동 표현을 수행하는 것이고 형태적 사동법은 파생적으로나 굴곡적으로 사동표현을 실현하는 경우이다.1 불완전 사동사 3. 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Down JL . 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Down JL . 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Down JL . 사동사의 명칭과 개념 3.1 불완전 사동사 3.3 “放/加/弄+형용사/동사” 구조의 복합동사 3.. 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Down JL . 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Down JL .3 “放/加/弄+형용사/동사” 구조의 복합동사 3. 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Down JL .2 형용사, 자동사, 타동사와의 겸류사 3.2 형용사, 자동사, 타동사와의 겸류사 3. 김형배(1997 : 33~34) 참조, 국어의 어휘적 사동법을 실현하는 동사로는 ‘시키다’, ‘조종하다’, ‘보내다’, ‘주다/끼치다’, ‘없애다’ 등이 있다. 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Down JL . 서 론 2. 서 론 2. 즉, 영어에서 비-사동동사 die에 대하여 kill로써 사동표현이 실현되는 것은 어휘적 사동법에 해당되고 한국어에서 사동접미사인 이, 히, 기, 리, 우, 추를 첨가하여 표현하는 것은 형태적 사동법에 해당되며 동사에 “-게 만들다” 혹은 “-게 하다”를 첨가하여 만들어내는 표현은 통사적 사동법에 해당되는 것이다. 그리고 통사적 사동법은 원인과 결과를 분리된 두 동사로 각각 실현하는 경우이다.3 “放/加/弄+형용사/동사” 구조의 복합동사 3. 결 론국어에서는 사동법을 크게 장형사동과 단형사동으로 분류한다..1 불완전 사동사 3.. 결 론 FileSize : 44K사동사의 명칭과 개념 3. 사동사의 명칭과 개념 3.4 “동사+使” 구조의 복합동사 4.중문학 올립니다 현대 중국어의 사동사 연구 .